기경호(프란치스코) OFM
~ 연중 제 7주일 / 기경호 신부님 ~
천상의모후(=수호천사)
2025. 2. 23. 07:20
2월 23일 (녹) 연중 제7주일 (루카 6,27-38)
복음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6,27-38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27 “내 말을 듣고 있는 너희에게 내가 말한다.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여라. 너희를 미워하는 자들에게 잘해 주고, 28 너희를 저주하는 자들에게 축복하며, 너희를 학대하는 자들을 위하여 기도하여라. 29 네 뺨을 때리는 자에게 다른 뺨을 내밀고, 네 겉옷을 가져가는 자는 속옷도 가져가게 내버려두어라. 30 달라고 하면 누구에게나 주고, 네 것을 가져가는 이에게서 되찾으려고 하지 마라. 31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 32 너희가 자기를 사랑하는 이들만 사랑한다면 무슨 인정을 받겠느냐? 죄인들도 자기를 사랑하는 이들은 사랑한다. 33 너희가 자기에게 잘해 주는 이들에게만 잘해 준다면 무슨 인정을 받겠느냐? 죄인들도 그것은 한다. 34 너희가 도로 받을 가망이 있는 이들에게만 꾸어 준다면 무슨 인정을 받겠느냐? 죄인들도 고스란히 되받을 요량으로 서로 꾸어 준다. 35 그러나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여라. 그에게 잘해 주고 아무것도 바라지 말고 꾸어 주어라. 그러면 너희가 받을 상이 클 것이다. 그리고 너희는 지극히 높으신 분의 자녀가 될 것이다. 그분께서는 은혜를 모르는 자들과 악한 자들에게도 인자하시기 때문이다. 36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37 남을 심판하지 마라. 그러면 너희도 심판받지 않을 것이다. 남을 단죄하지 마라. 그러면 너희도 단죄받지 않을 것이다. 용서하여라. 그러면 너희도 용서받을 것이다. 38 주어라. 그러면 너희도 받을 것이다. 누르고 흔들어서 넘치도록 후하게 되어 너희 품에 담아 주실 것이다. 너희가 되질하는 바로 그 되로 너희도 되받을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작은형제회 기경호 프란치스코 신부의 말씀나눔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루카 6,36) 수없이 사랑에 대해 말하고 사랑의 존재가 되려고 애쓴다. 사람으로 태어나 살면서 여러 가지 이유로 후회를 하게 마련이지만 가장 후회스런 것은 마음껏 사랑 하지 못한 경우일 것이다. 또 사랑을 받아야 할 때 사랑 받지 못하는 것만큼 외롭고 허전한 일도 없을 것이다. 사랑으로 지음 받은 인간은 사랑 없이는 살 수 없기에 사랑에 목숨을 걸기도 한다. 오늘의 말씀들은 하느님의 자비를 서로 건네주고 나누어줌으로써 사랑의 존재가 되는 길을 가르쳐준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일반적으로 우리의 사랑에서 제외되었거나 가까이 다가가기 힘든 그런 대상들을 사랑의 우선적인 대상으로 언급하신다. 나의 원수, 나를 미워하고 저주하고 학대하는 이들을 사랑한다는 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사랑의 쏠림 현상이 나타난다. 예수님께서는 말씀하신다. “너희가 자기를 사랑하는 이들만 사랑한다면 무슨 인정을 받겠느냐? 죄인들도 자기를 사랑하는 이들은 사랑한다.”(6,32) 그리스도인의 고유한 정체성은 바로 원수까지도 사랑하는 데 있다. 예수님의 사랑법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히려’에 있다. 원수가 지닌 나에 대한 적대감과 반감, 나를 미워하는 이 안에 있는 미움의 감정, 나를 저주하는 이 안에 있는 남에 대한 배려와 존중의 결여, 나를 학대하는 이 안에 있는 폭력성과 사랑의 결핍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끌어안는 것이다. 곧 내 안에 계신 하느님의 자비로 그들을 품어 미움과 폭력, 생명 경시 등에 새로운 숨을 불어넣으라는 것이다. 나아가 말씀하신다. “네 뺨을 때리는 자에게 다른 뺨을 내밀고, 네 겉옷을 가져가는 자는 속옷도 가져가게 내버려 두어라. 달라고 하면 누구에게나 주고, 네 것을 가져가는 이에게서 되찾으려고 하지 마라.”(6,29-30) 그들을 끌어안기 위해 그 악과 폭력과 잔인함과 미움이 사라질 만큼의 여백과 기다림을 지니라는 말씀이리라. 악에 악으로 맞서고, 폭력을 폭력으로 되갚으며, 미움을 또 다른 미움으로 되돌린다면 폭력의 악순환만 계속될 뿐이다. 바오로 사도의 말씀처럼 악은 선으로 이겨야 한다. ‘오히려’ 원수에게 잘해 주고, 아무것도 바라지 말고 꾸어주며(6,35), 남을 심판하지도 단죄하지도 말아한다(6,37). 이제 우리도 예수님처럼 상대방이 어떤 상태에 있고 어떤 마음을 품고 있든지 그 사람을 있는 그 자체로 사랑하도록 힘쓰자. 내 중심에서 벗어나 뭔가를 받으려 말고 ‘남이 자신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남에게 해 주도록’(6,31) 하자. 아씨시 성 프란치스코처럼 오직 “하느님 때문에”(propter Dei) 원수를 사랑하고 그 안의 악이 선으로 바뀌고 그의 영혼이 사랑으로 치유되기를 바라고 기도해야겠다. 예수님처럼 사랑하려면 먼저 악을 이기고도 남을 만큼의, 원수를 사랑하고도 넘칠 만큼의 사랑을 지녀야 한다. 그리고 그 사랑이 말과 생각과 표양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우리는 언제나 남이 미워질 때, 사람들이 싫어질 때, 내 뜻대로 하고 싶을 때 내 안에 사랑이 고갈되었음을 눈치 챌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영적인 민감성이다. 이런 민감성이 우리를 우리답게 하고 우아하게 하는 것이 아닐지! 바오로 사도의 말씀처럼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동정과 호의와 겸손와 온유와 인내를 입고, 서로 참아주고 용서해주며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 입음으로써”(콜로 3,12-14) 하느님의 거룩한 사람, 사랑받는 사람답게 살아가기를 간절히 기도드린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기경호 신부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