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6/1_20_32_8_blog68863_attach_0_4.jpg?original)
이국땅 삼경이면 밤마다 찬서리고
어버이 한숨 쉬는 새벽달일세
마음은 바람 따라 고향으로 가는데
선영 뒷산에 잡초는 누가 뜯으리
허야 허야 허야 허야 어허허 허야 어허허허
허야 허야 허야 어허 허야 어 허허허
피눈물로 한 줄 한 줄 간양록을 적으니
임 그린 뜻 바다 되어 하늘에 닿을세라
허야 허야 허야 허야 어허허 허야 어허허허
허야 허야 허야 어허 허야 어 허허허
정유재란 때 일본에 잡혀갔던 강항(姜沆:1567~1618)이
일본에서 견문한 풍속·지리·군사 정세 등을 기록한 책.
목판본. 1권 1책. 규장각도서. ‘간양(看羊)’은 흉노에 포로로 잡혀갔던 소무(蘇武)의 충절을 뜻하는 말로,
본래의 제목은 죄인이라는 뜻에서 《건거록(巾車錄)》이라 하였으나,
1656년(효종 7) 책이 간행될 때 제자들이 강항의 애국충절을 기린다는 의미에서 간양으로 고쳤다.
3년 동안 지내면서 보고 듣고 겪은 일본의 지리 ·풍토 ·인문(人文) ·병비(兵備) 등과
도요토미[豊臣秀吉]의 조선 침략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또한 포로가 되었을 때부터 귀국하였을 때까지의 일기를
<섭란사적(涉亂事蹟)>이라 하여 권말에 첨부하였다.
강항은 정유재란 때
고향 영광에서 의병을 일으켜 이 충무공 진영으로 가던 중
왜군에게 붙잡히게 되며,
이후 일본 대판으로 끌려가 포로 생활을 하다 선조 32년에 석방되어 귀국.
조정에선 그에게 벼슬을 주어 중용하려 했으나,
스스로를 적군에게 포로가 됐던 죄인이라며
극구 사양한 채 저술 작업 및 학문 연구에만 전념했다고 한다.
강항이 봄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날,
두고 온 조국을 생각하며 읊조린 시 한편이다.
본관은 진주.
사숙재(私淑齋). 전남 영광군 불갑면 금계리 유봉
마을에서 태어났다.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1593년 전주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해로를 통해 탈출하려다가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압송, 오쓰성[大津城]에 유폐되었다.
이곳에서 일본의 승려 요시히도[好仁]와
그림에도 뛰어나
《수은집(睡隱集)》등이 있다
'스테파노의 가요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병희 노래 " 유리창엔 비" (0) | 2009.06.16 |
---|---|
사랑해- SG 워너비 노래 (0) | 2009.05.03 |
[스크랩] 아름다운 강산 / 이선희 (0) | 2009.04.12 |
[스크랩] 등려군 (鄧麗君) - 愛 人 (0) | 2009.04.03 |
[스크랩] 연탄 한장 / 안치환 (0) | 2009.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