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테파노의 가요산책

[스크랩] 간 양 록 / 조 용 필

 

                                                                                               

 

 

 

                                                                                                 

 

 

 

 

 

 

 

 


조용필 - 간양록


이국땅 삼경이면 밤마다 찬서리고
어버이 한숨 쉬는 새벽달일세
마음은 바람 따라 고향으로 가는데
선영 뒷산에 잡초는 누가 뜯으리

허야 허야 허야 허야 어허허 허야 어허허허
허야 허야 허야 어허 허야 어 허허허

피눈물로 한 줄 한 줄 간양록을 적으니
임 그린 뜻 바다 되어 하늘에 닿을세라

허야 허야 허야 허야 어허허 허야 어허허허
허야 허야 허야 어허 허야 어 허허허

 
정유재란 때 일본에 잡혀갔던 강항(姜沆:1567~1618)이

일본에서 견문한 풍속·지리·군사 정세 등을 기록한 책.


목판본. 1권 1책. 규장각도서. ‘간양(看羊)’은 흉노에 포로로 잡혀갔던 소무(蘇武)의 충절을 뜻하는 말로,

본래의 제목은 죄인이라는 뜻에서 《건거록(巾車錄)》이라 하였으나,

1656년(효종 7) 책이 간행될 때 제자들이 강항의 애국충절을 기린다는 의미에서 간양으로 고쳤다.


3년 동안 지내면서 보고 듣고 겪은 일본의 지리 ·풍토 ·인문(人文) ·병비(兵備) 등과

도요토미[豊臣秀吉]의 조선 침략에 대한 내용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또한 포로가 되었을 때부터 귀국하였을 때까지의 일기를

<섭란사적(涉亂事蹟)>이라 하여 권말에 첨부하였다.


강항은 정유재란 때

고향 영광에서 의병을 일으켜 이 충무공 진영으로 가던 중

왜군에게 붙잡히게 되며,

이후 일본 대판으로 끌려가 포로 생활을 하다 선조 32년에 석방되어 귀국.


조정에선 그에게 벼슬을 주어 중용하려 했으나,

스스로를 적군에게 포로가 됐던 죄인이라며

극구 사양한 채 저술 작업 및 학문 연구에만 전념했다고 한다.


강항이 봄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날,

두고 온 조국을 생각하며 읊조린 시 한편이다.

 
 
 
강항(姜沆: 1567-1618)

본관은 진주.
자는 태초(太初), 호는 수은(睡隱)·
사숙재(私淑齋). 전남 영광군 불갑면 금계리 유봉
마을에서 태어났다.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1593년 전주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교서관정자·가주서·교서관박사를 거쳐 96년
공조좌랑에 이어 형조좌랑이 되었다.
 
97년 휴가로 고향에 머물던 중
정유재란일어나 군량미 수송임무를 수행했고
고향에서 김상준(金尙寯)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나
영광이 함락 당하여 가족과 함께
해로를 통해 탈출하려다가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압송, 오쓰성[大津城]에 유폐되었다.

이곳에서 일본의 승려 요시히도[好仁]와
교류하며 그로부터 일본의 역사·지리·관제 등을
알아내어 《적중견문록(賊中見聞錄)》에 수록,
몰래 본국으로 보내기도 했다.
 
98년 교토의 후시미성[伏見城]으로 이송되어
이곳에서 후지와라 세이카[藤原醒窩]·아카마쓰 히로미치
[赤松廣通] 등 일본 성리학 학자와 교류하며 성리학
가르쳤고, 특히 후지와라는 그에게 배운 것을 토대로
일본 주자학의 개조가 되었다
 
 4년여의 억류생활을 하였는데, 일본 막부의
귀화요청을 조선 선비답게 단호히 거절하고 두 제자의
도움을 받아 1600년 가족과 함께 귀국하였고
1602년 대구교수(大邱敎授), 1608년 순천교수(順天敎授)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향리에서 독서와 후학 양성에만 전념했다.
 
일본 억류 중 사서오경의 화훈본(和訓本) 간행에 참여, 
그 발문을 썼고, <곡례전경(曲禮全經)> <소학>
<근사록(近思錄)> 등 16종의 글을 수록한
《강항휘초(姜沆彙抄)》를 남겨 일본의 내각문고에
소장되어 있으며, 《역대명의전략(歷代名醫傳略)》의 서문을 썼다.

그림에도 뛰어나
인물화와 송화(松畵)에 특기가 있었다.
영광의 용계사(龍溪祠)·내산서원(內山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운제록(雲堤錄)》 《강감회요(綱鑑會要)》 《좌씨정화(左氏精華)》
《간양록(看羊錄)》 《문선찬주(文選纂註)》
《수은집(睡隱集)》등이 있다
출처 : 간 양 록 / 조 용 필
글쓴이 : 수정고드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