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욱현 신부님

~ 연중 제 23주간 금요일 / 조욱현 신부님 ~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 학자 기념일


복음
<눈먼 이가 눈먼 이를 인도할 수야 없지 않으냐?>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6,39-42
그때에 예수님께서 비유를 들어 제자들에게 39 이르셨다.
“눈먼 이가 눈먼 이를 인도할 수야 없지 않으냐?
둘 다 구덩이에 빠지지 않겠느냐?
40 제자는 스승보다 높지 않다.
그러나 누구든지 다 배우고 나면 스승처럼 될 것이다.
41 너는 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면서,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
42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보지 못하면서,
어떻게 형제에게 ‘아우야! 가만, 네 눈 속에 있는 티를 빼내 주겠다.’
하고 말할 수 있느냐?
위선자야, 먼저 네 눈에서 들보를 빼내어라.
그래야 네가 형제의 눈에 있는 티를 뚜렷이 보고 빼낼 수 있을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 루카 6,39-42: 이 위선자야, 먼저 네 눈에서 들보를 빼내어라


주님께서는 남을 심판하지 말라고 하신다주님의 제자들은 정확하게 구원의 복음을 전해야 한다눈먼 이를 이끄는 눈먼 이가 되지 않아야 한다무지의 어둠에 묻혀있는 자가 똑같이 어둠에 묻혀있는 자를 진리로 이끌 수 없다주님께서는 남을 심판하는 것이 얼마나 악하고 위험한 일인지 말씀하셨다남을 심판하려는 마음조차 먹지 말라고주님께서는 단호하게 말씀하신다우리의 잘못들과 하느님의 뜻을 거역하는 길에서 먼저 나 자신을 벗어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그다음 작은 죄를 지은 사람을 바로 잡을 자격이 있는 것이다.


사실 인간에게는 어느 한 사람 완전한 사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남을 비판하며그 비판이 도를 지나서 냉혹하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이런 일은 우리 신자들에게도 예외는 아니다그리스도의 말씀을 항상 접하고 생활한다고 자부하고 있는 신자들 가운데도 남보다 자신이 잘났다는 우월감과 색안경을 통해서 남을 쳐다보고 비판함으로써 남의 결점을 하나도 놓치지 않고 잡아내어 몰아세우는 일들이 있다내가 그보다 무엇이 잘났기 때문에 충고하고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우리 인간은 언제나 실수할 수 있으며상대방의 처지가 될 수도 있고 그보다 더 나쁜 상황에 부닥칠 수도 있다자신에게는 관대하고 상대에게는 엄격한 위선적인 것보다자신에게 더 엄격하고 상대에게는 관대한 자세를 가져야 한다왜냐하면신앙인들은 모든 인류를 하느님의 뜻에 따라 하느님께로 인도해야 할 의무가 있으므로 개개인은 모두 사회 스승의 표양을 보여야 하기 때문이다그 표양은 예수께서 보여주셨기 때문이다.


그리스도께서는 간음하다 들킨 여인(요한 8,1-11)을 용서하신 것또 일흔일곱 번 용서하라(마태 18,21-22) 하신 말씀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그리스도께서 보이신 이 모범들은 우리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으로 오늘 복음을 통하여 말씀하고 계시다주님께서는 인간의 역사 이래로 지은 모든 죄를 용서해 주셨다우리가 사회에 표양을 보여야 할 본분이 있으므로 관대함으로써 모든 사람을 대하고 엄격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다스리라고 하신다


우리가 하느님께 용서를 청하듯이나에게 잘못한 사람을 용서할 수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이 말씀을 마음에 새기고 우리 이웃을 대함으로써 진정으로 형제적 사랑 안에 하나가 되는 삶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며 기쁘게 신앙인의 삶을 살아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조욱현 신부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