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사도들은 예수님의 이름으로 말미암아 모욕을 당할 수 있는 자격을 인정받았다고 기뻐하며 물러 나왔다.> ▥ 사도행전의 말씀입니다. 5,34-42 그 무렵 34 최고 의회에서 어떤 사람이 일어났다. 온 백성에게 존경을 받는 율법 교사로서 가말리엘이라는 바리사이였다. 그는 사도들을 잠깐 밖으로 내보내라고 명령한 뒤, 35 그들에게 말하였다. "이스라엘인 여러분, 저 사람들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 잘 생각하십시오. 36 얼마 전에 테우다스가 나서서, 자기가 무엇이나 되는 것처럼 말하였을 때에 사백 명가량이나 되는 사람이 그를 따랐습니다. 그러나 그가 살해되자 그의 추종자들이 모두 흩어져 끝장이 났습니다. 37 그 뒤 호적 등록을 할 때에 갈릴래아 사람 유다가 나서서 백성을 선동하여 자기를 따르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가 죽게 되자 그의 추종자들이 모두 흩어져 버렸습니다. 38 그래서 이제 내가 여러분에게 말합니다. 저 사람들 일에 관여하지 말고 그냥 내버려 두십시오. 저들의 그 계획이나 활동이 사람에게서 나왔으면 없어질 것입니다. 39 그러나 하느님에게서 나왔으면 여러분이 저들을 없애지 못할 것입니다. 자칫하면 여러분이 하느님을 대적하는 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가말리엘의 말에 수긍하고, 40 사도들을 불러들여 매질한 다음 예수님의 이름으로 말하지 말라고 지시하고서는 놓아주었다. 41 사도들은 그 이름으로 말미암아 모욕을 당할 수 있는 자격을 인정받았다고 기뻐하며, 최고 의회 앞에서 물러 나왔다. 42 사도들은 날마다 성전에서 또 이 집 저 집에서 끊임없이 가르치면서 예수님은 메시아시라고 선포하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예수님께서는 자리를 잡은 이들에게 원하는 대로 나누어 주셨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6,1-15 그때에 1 예수님께서 갈릴래아 호수 곧 티베리아스 호수 건너편으로 가셨는데, 2 많은 군중이 그분을 따라갔다. 그분께서 병자들에게 일으키신 표징들을 보았기 때문이다. 3 예수님께서는 산에 오르시어 제자들과 함께 그곳에 앉으셨다. 4 마침 유다인들의 축제인 파스카가 가까운 때였다. 5 예수님께서는 눈을 드시어 많은 군중이 당신께 오는 것을 보시고 필립보에게, "저 사람들이 먹을 빵을 우리가 어디에서 살 수 있겠느냐?" 하고 물으셨다. 6 이는 필립보를 시험해 보려고 하신 말씀이다. 그분께서는 당신이 하시려는 일을 이미 잘 알고 계셨다. 7 필립보가 예수님께 대답하였다. "저마다 조금씩이라도 받아 먹게 하자면 이백 데나리온어치 빵으로도 충분하지 않겠습니다." 8 그때에 제자들 가운데 하나인 시몬 베드로의 동생 안드레아가 예수님께 말하였다. 9 "여기 보리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진 아이가 있습니다만, 저렇게 많은 사람에게 이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10 그러자 예수님께서 "사람들을 자리 잡게 하여라." 하고 이르셨다. 그곳에는 풀이 많았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자리를 잡았는데, 장정만도 그 수가 오천 명쯤 되었다. 11 예수님께서는 빵을 손에 들고 감사를 드리신 다음, 자리를 잡은 이들에게 나누어 주셨다. 물고기도 그렇게 하시어 사람들이 원하는 대로 주셨다. 12 그들이 배불리 먹은 다음에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버려지는 것이 없도록 남은 조각을 모아라." 하고 말씀하셨다. 13 그래서 그들이 모았더니, 사람들이 보리 빵 다섯 개를 먹고 남긴 조각으로 열두 광주리가 가득 찼다. 14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일으키신 표징을 보고, "이분은 정말 세상에 오시기로 되어 있는 그 예언자시다." 하고 말하였다. 15 예수님께서는 그들이 와서 당신을 억지로 모셔다가 임금으로 삼으려 한다는 것을 아시고, 혼자서 다시 산으로 물러가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정인준 파트리치오 신부의 강론말씀 사도 행전이 전해주는 가말리엘이라는 바리사이 인을 보면 얼핏 삼국지의 오나라의 국사 자경(子敬), 노숙(魯肅, 172~217년)이 생각납니다. 중국의 후한 말에 위(魏), 촉(蜀), 오(吳)나라가 각축을 벌이던 시절에 그는 오나라의 손권의 책사였습니다. 208년에 조조(曹操)가 하북의 원소(袁紹)와 관도대전에서 싸워 이기고, 하북을 평정하고 형주마저 점령하여 강동을 위협합니다. 오나라 손권의 신하들은 모두 조조에게 항복하여 오나라의 평화를 지키자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노숙은 촉의 유비(劉備)와 동맹을 맺고 조조와 항전하자고 차근히 주장합니다. 손권 왕은 그의 의견을 받아들여 촉나라와 동맹을 맺습니다. 손권은 노숙의 사람됨됨이를 알고 늘 존경해 왔던 것입니다. 그는 과격하지 않고 늘 평화와 중도의 제안을 해 왔던 것입니다. 그렇게하여 노숙은 촉 나라의 유비와 합세해서 오나라의 명장 주유를 주축으로 조조군을 맞아 적벽대전에서 승리를 이끌어 냅니다. 그의 온화한 인품이 그것을 가능하게 했던 것입니다. 독선적이고 배타적인 유대인들에게 차근차근 설명하면서 성급한 판단을 삼가야 한다는 가말리엘의 조언은 오나라의 노숙과 비슷한 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노숙은 성품이 온화할 뿐 아니라 상대에 대한 배려가 깊어서 신뢰를 쌓게 합니다. 가말리엘도 배타 일변도인 유대인들과 사도들의 위치를 배려하며 하느님의 뜻을 헤아리려 했던 것입니다. 가말리엘은 과거의 테우다스나 갈릴래아 유다가 사람들을 선동해서 들고 일어났지만 통치자가 지도자를 살해하자 다들 흩어져 없어졌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그래서 예수님을 죽이고 나서 사도들도 그런 경우이니 기다려 보아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웁니다. 그래서 그는 추종자인 사도들을 처벌할 것이 아니라고 좀 기다려 보자는 의견으로 유대인들 지도자들에게 설명합니다. “저 사람들 일에 관여하지 말고 그냥 내버려 두십시오. 저들의 그 계획이나 활동이 사람에게서 나왔으면 없어질 것입니다. 그러나 하느님에게서 나왔으면 여러분이 저들을 없애지 못할 것입니다. 자칫하면 여러분이 하느님을 대적하는 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사도 5,38-39) 최고 의회에 모였던 유대인들은 가말리엘의 말을 듣고 수긍하며 다시는 예수님의 이름으로 말하지 말라고 하며 사도들에게 매질을 하고 풀어 줍니다. 그렇지만 그곳을 떠나는 사도들의 모습을 적은 성경 말씀이 우리에게는 큰 교훈을 던져 줍니다. “사도들은 그 이름으로 말미암아 모욕을 당할 수 있는 자격을 인정받았다고 기뻐하며, 최고 의회 앞에서 물러 나왔다.”(41절) 그리고 사도들은 날마다 성전에서 또 이 집 저 집을 다니며 끊임없이 가르치면서 예수님은 메시아시라고 선포하였습니다. 주님께서는 오천 명을 먹이시는 기적에 앞서 사도들은 엄청 비싼 돈을 걱정하며 한탄을 합니다. 시몬 베드로의 동생 안드레아는 그 심정을 주님께 전하고 있습니다. "여기 보리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진 아이가 있습니다만, 저렇게 많은 사람에게 이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요한 6,9) 놀랍게도 주님께서는 그 빵과 포도주를 드시고 감사들 드리신 다음 그 많은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셨습니다. 그 수가 장정만도 그 수가 오천 명이나 되었습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엄격하고 속좁은 사람의 가르침보다도 넓고 중용의 인품의 사람들의 가르침이 난관을 타결하고 완성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도 내 이웃에 대해서 객관적이면서도 너그럽고 넓은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하고 그리스도를 위해서 박해를 받는 것을 기뻐하는 사도들의 모습을 본받도록 합시다. 주님께서는 우리가 갖고 있는 빵 다섯 물고기 두 마리를 원하십니다. 우리의 성실, 진실을 원하시는 것입니다.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하는 하루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정인준 신부님 - |
'여러 신부님들의 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부활 제 2주간 금요일 / 전삼용 신부님 ~ (0) | 2025.05.02 |
---|---|
~ 부활 제 2주간 금요일 - 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 / 송영진 신부님 ~ (0) | 2025.05.02 |
~ 부활 제 2주간 목요일 / 김동희 신부님 ~ (0) | 2025.05.01 |
~ 부활 제 2주간 목요일 / 이수철 신부님 ~ (0) | 2025.05.01 |
~ 부활 제 2주간 목요일 / 이영근 신부님 ~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