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 제2주일 ( 인권 주일 )
2008년 12월 8일 -
한국 교회의 수호자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교회는 5세기부터 9월 8일에 ‘동정 마리아 탄신 축일’을 지냈다.
8세기부터는 이날의 9개월 전인 12월 8일을
‘원죄 없이 잉태되신 동정 마리아 축일’로 지냈다.
이 축일은 1476년 식스토 4세 교황 때 로마 전례력에 도입되었고,
1854년 12월 8일 비오 9세 교황은 동정 마리아께서
원죄 없이 잉태되셨음을 ‘믿을 교리’로 선포하였다.
1841년 그레고리오 16세 교황은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님’을
성 요셉과 함께 조선 교회의 수호자로 선언하였다.
말씀의 초대 ―································º································―
낙원에서의 범죄로 아담과 하와는 추방된다.
하느님께서는 왜 명령을 어겼는지 묻고 계신다.
아담은 하와를 지목하고, 하와는 뱀을 지목한다.
뱀은 사탄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이제 사탄과 사람 사이는 화해할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제1독서)
우리를 다시 낙원으로 불러들일 수 있는 분은 그리스도이시다.
하느님께서는 그분을 통해 우리에게 그 은총을 주셨다.
예수님을 통해 우리는 다시 하느님의 자녀가 된 것이다(제2독서)
가브리엘 천사는 나자렛에 살고 있는 한 처녀를 찾아간다.
낙원에서 추방될 때 하느님께서는 사탄의 상징인 뱀에게 말씀하셨다.
“여자의 후손이 너의 머리에 상처를 입힐 것이다”(창세 3,15).
이제 예언은 이루어져 마리아께서는 구세주를 잉태하시게 된다(복음)
제1독서―····································º····································―
<나는 네 후손과 여자의 후손 사이에 적개심을 일으키리라.>
▥ 창세기의 말씀입니다. 3,9-15.20
[사람이 열매를 먹은 뒤],
9 주 하느님께서 그를 부르시며, “너 어디 있느냐?” 하고 물으셨다.
10 그가 대답하였다. “동산에서 당신의 소리를 듣고
제가 알몸이기 때문에 두려워 숨었습니다.”
11 그분께서 “네가 알몸이라고 누가 일러 주더냐?
내가 너에게 따 먹지 말라고 명령한 그 나무 열매를
네가 따 먹었느냐?” 하고 물으시자,
12 사람이 대답하였다.
“당신께서 저와 함께 살라고 주신 여자가
그 나무 열매를 저에게 주기에 제가 먹었습니다.”
13 주 하느님께서 여자에게 “너는 어찌하여
이런 일을 저질렀느냐?” 하고 물으시자, 여자가 대답하였다.
“뱀이 저를 꾀어서 제가 따 먹었습니다.”
14 주 하느님께서 뱀에게 말씀하셨다.
“네가 이런 일을 저질렀으니,
너는 모든 집짐승과 들짐승 가운데에서 저주를 받아,
네가 사는 동안 줄곧 배로 기어 다니며 먼지를 먹으리라.
15 나는 너와 그 여자 사이에,
네 후손과 그 여자의 후손 사이에 적개심을 일으키리니,
여자의 후손은 너의 머리에 상처를 입히고,
너는 그의 발꿈치에 상처를 입히리라.”
20 사람은 자기 아내의 이름을 하와라 하였다.
그가 살아 있는 모든 것의 어머니가 되었기 때문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º····································―
<하느님께서는 세상 창조 이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선택하셨습니다.>
▥ 사도 바오로의 에페소서 말씀입니다. 1,3-6.11-12
3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느님께서 찬미받으시기를 빕니다.
하느님께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하늘의 온갖 영적인 복을 우리에게 내리셨습니다.
4 세상 창조 이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선택하시어,
우리가 당신 앞에서 거룩하고 흠 없는 사람이 되게 해 주셨습니다.
사랑으로 5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를 당신의 자녀로 삼으시기로 미리 정하셨습니다.
이는 하느님의 그 좋으신 뜻에 따라 이루어진 것입니다.
6 그리하여 사랑하시는 아드님 안에서 우리에게 베푸신
그 은총의 영광을 찬양하게 하셨습니다.
11 만물을 당신의 결정과 뜻대로 이루시는 분의 의향에 따라
미리 정해진 우리도 그리스도 안에서 한몫을 얻게 되었습니다.
12 그리하여 하느님께서는 이미 그리스도께 희망을 둔 우리가
당신의 영광을 찬양하는 사람이 되게 하셨습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º········································―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님께서 너와 함께 계시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26-38
그때에 26 하느님께서는 가브리엘 천사를
갈릴래아 지방 나자렛이라는 고을로 보내시어,
27 다윗 집안의 요셉이라는 사람과 약혼한 처녀를 찾아가게 하셨다.
그 처녀의 이름은 마리아였다.
28 천사가 마리아의 집으로 들어가 말하였다.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님께서 너와 함께 계시다.”
29 이 말에 마리아는 몹시 놀랐다.
그리고 이 인사말이 무슨 뜻인가 하고 곰곰이 생각하였다.
30 천사가 다시 마리아에게 말하였다.
“두려워하지 마라, 마리아야. 너는 하느님의 총애를 받았다.
31 보라, 이제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터이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여라.
32 그분께서는 큰 인물이 되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의 아드님이라 불리실 것이다.
주 하느님께서 그분의 조상 다윗의 왕좌를 그분께 주시어,
33 그분께서 야곱 집안을 영원히 다스리시리니,
그분의 나라는 끝이 없을 것이다.”
34 마리아가 천사에게, “저는 남자를 알지 못하는데,
어떻게 그런 일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하고 말하자,
35 천사가 마리아에게 대답하였다.
“성령께서 너에게 내려오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의 힘이 너를 덮을 것이다.
그러므로 태어날 아기는 거룩하신 분,
하느님의 아드님이라고 불릴 것이다.
36 네 친척 엘리사벳을 보아라.
그 늙은 나이에도 아들을 잉태하였다.
아이를 못 낳는 여자라고 불리던 그가 임신한 지 여섯 달이 되었다.
37 하느님께는 불가능한 일이 없다.”
38 마리아가 말하였다. “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그러자 천사는 마리아에게서 떠나갔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º·································―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님께서 너와 함께 계시다.” 천사 가브리엘의 인사말입니다.
그는 나자렛의 마리아를 찾아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기쁨의 원인은 은총이라는 말씀입니다.
주님께서는 언제나 ‘은총과 함께’ 계신다는 표현입니다.
그러므로 사는 것이 즐겁지 않으면
‘은총과 함께’ 살고 있는지 돌아봐야 합니다.
하느님의 기운이 떠나면 누구라도 우울해집니다.
무엇을 해도 허무감이 떠나지 않습니다.
주님의 기운을 안고 살아야
‘어떤 상황, 어떤 처지’에 있든 기쁨이 함께합니다.
가만있어도 마음이 환해집니다.
그러니 천사의 일을 해야 합니다.
누군가에게 다가가 천사의 역할을 해야 합니다.
그래야 주님의 기운이 떠나지 않습니다.
우리는 수없이 성모송을 바쳐 왔습니다.
영세 후 얼마나 많이 이 기도를 외웠는지 모릅니다.
‘묵주 기도’를 한 번 바치면 성모송을 쉰세 번 외우게 됩니다.
한 번 외울 때 한 사람씩만 기억해도 수많은 사람을 기억하게 됩니다.
그를 위해 성모송을 바친다면 그때마다 천사가 됩니다.
악한 생각이 괴롭히고 힘든 사건이
우울하게 할 때 성모송을 외워 보십시오.
정성으로 성모송을 바쳐 보십시오.
어느새 천사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가브리엘 천사가 되어 성모님 곁에 있을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