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글과 언어

[스크랩] 미리 쓰는 새해 인사

미리 쓰는 새해 인사 12월 21일은 동지인데 24절기의 22번째 절기로 하지의 정반대 절기이니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이제 남은 절기라야 소한과 대한! 언제인가 얘기한 것으로 기억한다. 동지가 음력으로 11월 초순(1일~10일)에 들면 "애 동지", 중순(11일~20일)에 들면 "중 동지", 그믐(21일~그믐)께 들면 "노 동지"라 하는데, 이는 동지가 드는 음력 시기에 따라 달리 부르는 말이다. 그러고 보니 올해 동지는 음력으로 11월 24일이니 노동지다. 동지에는 붉은 팥죽을 쑤어 성주께 빌고 사당에 제 올리고 집안 곳곳에 뿌려 질병 쫓고 액귀를 막아내는 예식을 했다. 애동지에 팥죽을 먹으면 아이들이 좋지 않다하여 죽 대신에 팥 시루떡을 만들어 먹었지만 올 해는 노동지이니 마음 놓고 남. 녀. 노. 소 팥죽 끓여 먹자! 동지는 일 년 중 밤(陰)이 가장 길지만 이 날부터 낮이 노루꼬리 만큼씩 길어져 양(陽)의 기운이 자라기 시작하기에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기도 하다. 그래서 하는 말이 “동지 지나면 새해”라 하고 “작은 설”이라 하여 잔치를 했다. 동지 밤 너무 길어 주체 못할 것 같이 여겨지시거든 돌아 올 동짓날 긴 밤 한 자락 서리서리 잘라 두었다 기다리다 지칠 즘 사랑하는 임 오실 짧은 봄날 밤에 돌아 앉아 살포시 꺼내 펼쳐 이부자리로 깔아보면 어떨까? 점점 사라져 가는 절기에 대한 속설 이야기 하자니 별 관심도 없는 것 같고 몰라도 사는 데 지장 없어 내년부터는 절기 얘기를 접어야 할까보다. 겨울 중에 가장 춥다는 소. 대한이 남았는데 동지 지나면 해 길어지고 그러면 봄 가까워진다는 말에 무슨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냐고 말씀하시겠지만 한 절기가 15일이고 소. 대한 지나면 입춘이니 길어야 45일 후면 봄 알리는 입춘이다. 동지 지나면 새해이니 여기서 미리 새해 인사드리자. 지난 시간 모두 추억이라는 사진첩 속에 잘 정리해 놓으시고 다가오는 새해에는 웃을 일 적더라도 웃어서 좋은 일 많이 생기고 좋은 일로 웃으실 일 많은 한해 되시기를 진심으로 소원합니다. 081220 무지개 생각

    출처 : 미리 쓰는 새해 인사
    글쓴이 : 무지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