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글과 언어

[스크랩] 장미(薔薇)를 노래한 한시(漢詩)



장미(薔薇)를 노래한 한시(漢詩)


장미(薔薇) 身老傷春老(신노상춘노) 몸이 늙음에 따라 청춘도 늙어감이 슬퍼 種花愛種薇(종화애종미) 꽃을 심어도 장미꽃을 아껴 심는다 百花零落盡(백화영락진) 온갖 꽃 모두다 덜어진 뒤에야 一樹始芳菲(일수시방비) 한결같이 향기롭게 피어나기 때문이다. = 조선시대 임수간(任守幹) =

장미와 철쭉(薔薇躑躅) 交花接葉許多叢(교화접엽허다총) 얽힌 꽃이 잎이 붙은듯 수만흔 꽃떨기 黃紫相爭小院中(황자상쟁소원중) 노란꽃 자주꽃이 비좁은 뜰에 가득하네 蜂蝶一時輕自附(봉접일시경자부) 일시에 가벼이 붙은 저 벌 나비 不知榮落兩成空(부지영락양성공) 둘다 떨어질 꽃임을 알지 못하네 = 조선시대 박장원(朴長遠) =

들장미(野薔薇) 每年塍塹雪紛紛(매년승참설분분) 해마다 들판과 구덩이에 흰 눈을 흩날리며 馥郁淸香遠近聞(향욱청향원근문) 먼 곳 가까운 곳에 짙고 맑은 향기를 퍼뜨리면서 自落自開誰復賞(자락자개유복상) 홀로 피고 지는 꽃을 누가 감상 하리오 田家只用候耕耘(전가지용후경운) 농가에서 다만 밭갈고 김맬 대를 알아낼 뿐이로다 = 조선시대 김창업(金昌業) =

장미(薔薇) 紅房深淺翠條低(홍방심천취조저) 짙고 옅은 붉은 망울 푸른 가지 드리워져 滿架淸香敵麝臍(만가청향적사제) 주위에 가득한 향기 사향과 맞먹겠네 擧折若無花底刺(거절약무화저자) 꺽을 때 꽃 밑에 가시만 없었다면 豈敎桃李獨成蹊(개교도이독성혜) 복숭아 도화 밑에민 길이 났을까 = 중국 송(宋) 하송(夏竦) =

장미(薔薇) 濃似猩猩初染素(농사성성초염소) 빛 짙기는 성성전에 처음 물들인듯 輕於燕燕欲凌空(경어연연욕능공) 가볍기는 제비가 하늘을 치솟을 듯 可憐細麗難勝日(가린세려난승일) 가늘고 부드러운 것이 햇빛을 이기지 못하여 照得深紅作淺紅(조득심홍작천홍) 진분홍 꽃이 연분홍 꽃을 비춰주고 있구나 = 중국 당(唐) 피일휴(皮日休) =

장미(薔薇) 繡難相似畵難眞(수난상사화난진) 수를 놓아도 비슷하게 못하고 그려도 닮게 그리기 어려워 明媚鮮姸絶比倫(명미선연절비륜) 아름답고 선명함이 다른 꽃들과 견줄 수 없네 露壓盤條方倒地(로압반조방도지) 이슬이 내리면 꽃무더기는 땅으로 엎드려지고 風吹艶色欲燒春(풍취염색욕소춘) 바람이 불면 요염한 자태는 봄을 불태우는 듯 하다 斷霞轉影侵西壁(단하전영침서벽) 노을이 지고 서쪽벽에 그림자가 옮겨 갈 땐 濃麝分香入四鄰(농사분향입사린) 사향같이 짙은 향은 이웃으로 번져간다 看取後時歸故里(간취후시귀고리) 고향집으로 돌아갈 때 이 곷을 옮겨다 심는다면 庭花應讓錦衣新(정화응양금의신) 정원 안의 모든 화초 응당 머리를 숙이겠지 = 중국 당(唐) 방간(方干) =


2008/ 05 / 30 / 메데이아
출처 : 장미(薔薇)를 노래한 한시(漢詩)
글쓴이 : 메데이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