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성화, 미술 " 성서가 있는 정물 / 빈센트 반 고흐 " 천상의모후(=수호천사) 2010. 5. 10. 20:36 제목 : 성서가 있는 정물 (Still Life with Bible, 1885) 작가 : 빈센트 반 고흐 (Vincent van Gogh, 1853- 1890) 크기 : 65X 78, 캔버스 유채 소재지 : 네델란드 암스텔담 반 고흐 미술관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이 있기 전까지 유럽 예술의 대종은 교회 미술이었으며 그러기에 교회는 예술을 선교의 도구로 활용하면서 예술의 후원자요 옹호자였다. 그러나 마르틴 루터가 종교개혁을 일으키면서 갈라진 형제들은 <오직 성서만으로>라는 자기들의 잣대로 가툴릭 신앙과 결별하게 되면서 교회 예술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게 되었다.순수한 복음으로 돌아가고픈 열망이 강했던 개신교 형제들에게 가톨릭교회는 예술을 핑계 삼아 복음 자체를 망각한 지나친 사치 행각을 하고 있다는 부정적 인상을 주었고 또 예술의 옹호자였던 고위 성직자, 교황들, 작가들의 관계 중에서 부끄럽고 눈살 찌푸릴 일들도 있었는데, 예를 들면 교황 율리오 2세는 도덕성이나 명예욕에 있어 부끄러운 오점을 남긴 교황이었다.미켈란젤로는 그가 죽자 그의 거대한 무덤 공사를 맡게 되었고, 그 무덤의 중심 작품으로 모세(Moses) 상을 만들면서, 교황의 얼굴을 모델로 했기에 여기에 분개한 당시 유명한 인문학자인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Erasmus)가 이 파렴치함을 비난할 정도였으니, 미술이 교회 예술 활동의 한 부분이긴 해도 맑은 마음을 지닌 사람들에게 큰 분심과 실망을 주었음은 틀림이 없다.그러나 이런 정서적, 역사적 과오의 관점 보다 근본적인 것은 바로 개신교 신자들이 십계명 중 둘째 계명으로 여기고 있는 출애굽기 20장 4-5절의 말씀에 대한 태도이다.: “너희는 내 앞에서 다른 신을 모시지 못한다. 너희는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 위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속에 있는 어떤 것이든 그 모양을 본 따 새긴 우상을 섬기지 못한다.”유럽 계통의 개신교에서는 이것의 포괄적 의미를 이해하는 차원에서 출애굽기 25장에서 30장 사이에 있는 ‘성전 전례에 사용할 제구를 만들어라’는 말씀과 연관시켜 그것을 선용하되 신으로 공경하지 말라는 뜻으로 알아었다. 우리나라에 대종을 이루는 미국계통의 근본주의(Fundamentalist)적인 보수경향이 강한 개신교단에서는 이것을 매우 편협하게 알아들어 교회에서 사용하는 모든 성상이나 제구를 우상으로 몰아치우는 비이성적인 광신적 태도가 지배적이며 일년에 수십건의 훼불(毁佛)사건이나 성상파괴 사건이 광신적 개신교 신자들의 의해 저질러지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다.사실 교회 역사에서 보면 오늘의 우리나라 개신교 신자들이 매우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는 예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개신교 신자들이 자주 인용하는 독일 남부 레겐스부르그(Regensburg)에서 <아름다운 마리아>라는 성모님 상본을 경배하기 위해 하루 5만명의 사람들이 모여 추태를 부린 것을 1519년 미하엘 오스텐도르프(Michael Ostendorfer)가 제작한 <새 교회에 모인 순례자들> 판화로 남아있기도 한데, 이것을 빌미삼아 성상이나 성화를 모두 우상숭배로 몰아붙이는 것은 침소봉대(針小棒大)의 과장이다. 이런 것들은 구텐베르그(Gutenberg: 1400- 1468)에 의해 활판 인쇄술이 발명되기 전까지 아주 효과적이고 훌륭한 교리 교재로서의 역할을 했음을 무시할 수 없다.더욱이 출애굽기의 말씀은 형상을 만들어 신으로 공경하지 말라는 뜻이지 형상 자체를 만들지 말라는 뜻이 아니며, 신약에서는 그리스도가 인간이 되심으로서 형상은 새로운 관점으로 부각되었다. 즉 구약에서는 하느님이 형상을 그릴 수 없는 분으로 나타나신 반면, 신약의 그리스도는 우리와 같은 인간이 되심으로서 하느님이 형상(ICON)으로 우리에게 나타나시게 되었다.골로사이서 1장 15절의 “그리스도께서는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형상이시며 만물에 앞서 태어나신 분이십니다 ”라는 말씀에서 성미술(聖美術)의 가치와 당위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개신교 형제들은 구약의 어떤 구절을 물고 늘어지는 편협성에서 탈피해서 성서 전체에 함축되어 있는 성미술의 의미성과 가치를 재발견해야 하고, 우리 가톨릭 역시 성서 위주의 철저한 삶을 살고자 했던 개신교 형제들의 아름다운 전통에서 배움의 교훈을 얻을 때 성미술이 더 복음적이며 풍요로워 질것이라 생각한다.이런 면에서 대림절을 시작하면서 개신교 신자인 반 고호의 작품을 통해 우리와 다른 관점의 성미술을 보도록 하자.작가는 성미술을 떠나 해바라기 그림으로 우리들에게도 많이 알려진 화가이며 네덜란드 북부 호르테준테르에서 경건한 개신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짧으면서도 험난한 그의 인생 편력 때문에 그의 출신 배경에서부터 비극적인 요소를 보고자 하나 이것은 잘못이고 그의 집안은 명망 있는 좋은 집안이었다.그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는 휼륭한 목회를 한 목사였으며, 그의 숙부 중 세 명이 당시 미술계에 영향력이 있는 화상(畵商)이어서 그들을 통해 작가는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그림에 접근할 수 있었으며 어릴 때 이미 영어와 불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을 만큼 좋은 교육을 받았다.1875년 당시 유행하던 인도주의의 영향을 받아 숙부가 하던 화랑에서의 일을 그만두고 조국으로 돌아와 목사가 되기 위한 공부를 하고자 했으나, 계속되는 낙방으로 신학교 입학이 어려워지자 1878년 벨기에 보리나주 탄광촌에 가서 소외된 광부들을 위한 전도사로 일하면서 그리스도처럼 가장 낮은자로서 그들의 애환을 함께 하며 살기를 원하고 그들과 같은 열악한 조건에서 가난, 질병, 불행 등을 함께 나누며 살고자 했다.그러나 제도적인 가톨릭교회와 또 다르게 당시 그의 고향에서는 개신교도 목사라면 상류사회로 인정되는 직종이기에 작가처럼 가난에 대한 극단의 투신은 성직자들의 품위를 실추시킨다는 여론이 형성되면서 생활을 바꾸길 바라는 압력이 거세지자, 비성서적인 위선과 권위의식에 가득 찬 기성 교회에 실망을 느끼고 미련 없이 떠나게 된다.그는 이런 위선적인 삶에 익숙해야 하는 성직을 떠나 화가가 되기로 결심했으나 그는 일생 동안 그리스도처럼 가난한 이웃과 모든 것을 함께 나누며 살아가는 삶에의 동경을 버릴 수 없었으며 이것은 그의 삶과 작품성을 일관하는 것이었다.먼저 그는 우리에게도 <만종>이라는 가난한 농부의 삶을 주제로 한 그림으로 잘 알려진 불란서 화가 밀레(Jean-Francois Millet: 1814- 1875)에게서 많은 감동을 받으며 별로 배운 것도 가진 것도 없으면서도 한 점의 위선이나 가식도 없이 살아가는 농부와 광부의 삶에서 노동을 통한 건강하고 신성한 종교성을 발견하게 된다.이런 과정에서 목사인 아버지의 속을 무던히 썩이게 되었고 1885년 아버지의 죽음 소식을 듣고 이 그림을 그리게 된다. 항상 성서적인 경건한 삶의 테두리를 지키며 살아온 목사인 아버지에게 아들의 타협을 모르는 극단적인 성격과 행동은 매번 실망과 염려의 대상이 되었다. 사촌 여동생을 사랑하노라 집요히 꽁무니를 쫒다가 거절되자, 이 좌절감과 울분의 해소책으로 창녀에게 빠지는 자식을 보면서 아버지는 분노했고, 목사가 뇌졸중으로 갑자기 사망하자 이웃 사람들은 입을 모아 아버지의 속을 너무 썩인 반 고호 때문에 그 착한 목사가 죽었다고 수군거리게 되었다. 이 작품은 일생 동안 아버지 가슴에 못을 박고 산 자식으로서 불효를 뉘우치는 마음으로 아버지에게 바친 애절한 사부곡(思父曲)이라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구성이 너무 간단하고 색깔 처리 역시 단조로워 <오직 성서만의 신앙: Sola Scriptura>을 강조하는 개신교 적인 분위기를 물씬 풍기고 있다. 큰 성서가 펼쳐진 조그만 탁자엔 두 개의 촛불이 있는데, 성서는 일생을 경건한 생활로 일관한 목사 아버지를 상징하며 불 켜진 촛불은 아버지의 생의 순간, 불 꺼진 초는 죽음을 상징하고 있다.펼쳐진 성서위에는 ISAIE라고 적혀 있는데 구약의 이사야서 1장 2절은 이런 말씀으로 시작된다. : “하늘아 들어라, 땅아 귀를 기울여라. 야훼께서 말씀하신다. 자식이라 기르고 키워놓으니 도리어 나에게 반항을 하는구나 !”작가는 자식 때문에 애간장을 태우며 살아야 했던 목사 아버지의 마음을 성서 구절로 표시하고 있다.가장자리에 잘 놓인 성서와 대조적으로 밑에 아무렇게나 던져진 것처럼 놓인 작고 허름한 책 한권은 과학적 실증주의에 바탕을 두고 개인 보다 집단, 특히 하층 대중의 추악함을 고발함으로서 당시 유럽 젊은이들을 열광시키던 에밀 졸라(Emile Zola: 1840-1902)의 소설 <생의 기쁨: La goie de vivre>인데, 이것은 하느님의 말씀을 유일한 삶의 기준으로 여기는 목사에겐 용납할 수 없는 것이기에 아버지의 속을 썩힌 작가를 상징한다. 성서 옆에 수직으로 서있는 촛대는 가부장적인 권위의식으로 빈틈없이 무장된 아버지의 흔들리지 않는 권위를 상징하며 성서나 촛불이나 다 당당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에 반해 팽개치듯 놓인 에밀 졸라의 책은 너무도 당당한 아버지의 권위에 주눅이 든 상태에서 반항하는 자식의 초라한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이 요한 신부>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 ** ~ 천상의 모후(=수호 천사) ~**~ '가톨릭 성화, 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아기 예수님을 경배하는 성모 / 스테판 로흐느 " (0) 2010.05.15 " 성모 마리아 / 마르크 샤갈 " (0) 2010.05.11 " 최후의 심판 / 미켈란젤로 " (0) 2010.05.08 " 에스델의 실신 " (0) 2010.05.06 " 오르가즈 백작의 매장 / 엘 그레코 " (0) 2010.05.05 '가톨릭 성화, 미술' Related Articles " 아기 예수님을 경배하는 성모 / 스테판 로흐느 " " 성모 마리아 / 마르크 샤갈 " " 최후의 심판 / 미켈란젤로 " " 에스델의 실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