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論 . 공의회 13 회
* 세계 공의회의 역사
가톨릭교회에서는 21번의 공식적인 세계공의회
가 있었다. 공의회를 통해 교회는 학문적인면과
실천적인 면에서 발전하였다. 그러나 이들 공의
회를 전체적으로 인정하는 교황의 법적인 선언
은 없었다. 로마에서 갈라진 동방교회는 초기의
7개 공의회만 세계공의회로 인정한다.(여기에
692년의 트를로스 공의회도 첨가한다) 성공회
는 초기의 4개 공의회만 인정한다. 가톨릭에서
도 초기의 4개 공의회를 특별히 중요시한다.
이들 공의회는 삼위일체론과 그리스도론에 관
한 기본 교의들이 신조로 선포되었고, 이러한
신앙 고백들은 가톨릭 신앙의 기초가 되었다.
* 세계 공의회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1) 초기의 공의회 :
제1차 니체아 (325년),
제1차 콘스탄티노풀 (381),
에페소 (431),
칼체돈 (451),
제2차 콘스탄티노풀 (553),
제3차 콘스탄티노풀 (680),,
제2차 니체아 (787),
제4차 콘스탄티노풀 (869) 공의회 들이다.
황제는 식견이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의회
를 주재하였고, 때로는 그들의 주장까지 강요
하였다. 이 공의회는 정치적인 면들과 매우
관련이 깊었다. 교황은 여기에 직접 참석하지
않았으나, 제1, 제2 콘스탄티노풀 공의회에
교황 대리인이 참석하지 못한 것을 제외하고
는 모두 교황 사절들이 참석하였다. 적어도
칼체돈공의회 이후부터는 사절들이 주교는 아
니더라도 교황을 대리하여 공의회를 주재하였
고 참석자 대다수가 동방 교회의 주교들이었
다.
다루어진 안건들은 주로 신앙 문제로서, 특히
삼위일체교의와 그리스도의 위격에 관한 교의
들이었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풀의 수도 이전
(330), 서로마 제국의 멸망 (476), 게르만 민
족들의 출현 (5-6 세기), 이스람의 친입 (7-8
세기), 교황과 비잔틴 간의 정치적 알력, 칼대
제의 대관식(800년) 등 정치적인 사건들이
동서교회를 서서히 분열시키면서 마침내 1054
년 동서 교회를 완전히 분열시켰다.
2) 중세기의 공의회 :
참고 : 한국가톨릭대사전 제1권 1995년 판
'그리스도의 생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하느님은 사랑 이십니다. 1회 * (0) | 2010.12.01 |
---|---|
" 그리스도론 공의회 14회 " (0) | 2010.12.01 |
" 그리스도론 12회 " (0) | 2010.11.17 |
" 그리스도론 11회 " (0) | 2010.11.10 |
" 그리스도론 공의회 10회 " (0) | 2010.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