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사도 17,15.22─18,1
그 무렵 15 바오로를 안내하던 이들은 그를 아테네까지 인도하고 나서, 자기에게 되도록 빨리 오라고 실라스와 티모테오에게 전하라는 그의 지시를 받고 돌아왔다. 22 바오로는 아레오파고스 가운데에 서서 말하였다. “아테네 시민 여러분, 내가 보기에 여러분은 모든 면에서 대단한 종교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23 내가 돌아다니며 여러분의 예배소들을 살펴보다가, ‘알지 못하는 신에게’라고 새겨진 제단도 보았습니다. 여러분이 알지도 못하고 숭배하는 그 대상을 내가 여러분에게 선포하려고 합니다. 24 세상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만드신 하느님은 하늘과 땅의 주님으로서, 사람의 손으로 지은 신전에는 살지 않으십니다. 25 또 무엇이 부족하기라도 한 것처럼 사람들의 손으로 섬김을 받지도 않으십니다. 하느님은 오히려 모든 이에게 생명과 숨과 모든 것을 주시는 분이십니다. 26 그분께서는 또 한 사람에게서 온 인류를 만드시어 온 땅 위에 살게 하시고, 일정한 절기와 거주지의 경계를 정하셨습니다. 27 이는 사람들이 하느님을 찾게 하려는 것입니다. 더듬거리다가 그분을 찾아낼 수도 있습니다. 사실 그분께서는 우리 각자에게서 멀리 떨어져 계시지 않습니다. 28 여러분의 시인 가운데 몇 사람이 ‘우리도 그분의 자녀다.’ 하고 말하였듯이, 우리는 그분 안에서 살고 움직이며 존재합니다. 29 이처럼 우리는 하느님의 자녀이므로, 인간의 예술과 상상으로 빚어 만든 금상이나 은상이나 석상을 신과 같다고 여겨서는 안 됩니다. 30 하느님께서 무지의 시대에는 그냥 보아 넘겨 주셨지만, 이제는 어디에 있든 모두 회개해야 한다고 사람들에게 명령하십니다. 31 그분께서 당신이 정하신 한 사람을 통하여 세상을 의롭게 심판하실 날을 지정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분을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다시 살리시어 그것을 모든 사람에게 증명해 주셨습니다.” 32 죽은 이들의 부활에 관하여 듣고서, 어떤 이들은 비웃고 어떤 이들은 “그 점에 관해서는 다음에 다시 듣겠소.” 하고 말하였다. 33 이렇게 하여 바오로는 그들이 모인 곳에서 나왔다. 34 그때에 몇몇 사람이 바오로 편에 가담하여 믿게 되었다. 그들 가운데에는 아레오파고스 의회 의원인 디오니시오가 있고, 다마리스라는 여자와 그 밖에 다른 사람들도 있었다. 18,1 그 뒤에 바오로는 아테네를 떠나 코린토로 갔다.
복음 요한 16,12-15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12 “내가 너희에게 할 말이 아직도 많지만 너희가 지금은 그것을 감당하지 못한다. 13 그러나 그분 곧 진리의 영께서 오시면 너희를 모든 진리 안으로 이끌어 주실 것이다. 그분께서는 스스로 이야기하지 않으시고 들으시는 것만 이야기하시며, 또 앞으로 올 일들을 너희에게 알려 주실 것이다. 14 그분께서 나를 영광스럽게 하실 것이다. 나에게서 받아 너희에게 알려 주실 것이기 때문이다. 15 아버지께서 가지고 계신 것은 모두 나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령께서 나에게서 받아 너희에게 알려 주실 것이라고 내가 말하였다.”
저는 1989년에 그토록 가고 싶었던 신학교에 입학했습니다. 입학 환영식 때, 어떤 선배님이 제게 이렇게 묻더군요.
“너 그러면 언제 신부가 되는 거야?”
“정상적으로 될 수만 있다면 1999년에 신부가 될 것 같습니다.”
이에 그 선배님은 이렇게 말씀하시더군요.
“1999년이 올까? 더군다나 1999년에 인류가 멸망한다고 하잖아. 어떻게 하니?”
10년이라는 시간, 그때는 정말로 멀게만 느껴졌습니다. 더군다나 그 당시 한창 유행처럼 퍼졌던 노스트라다무스의 인류 멸망에 대한 예언을 기억하면서 신부가 될 수 없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갖지 않을 수가 없었지요.
1991년 7월에 저 역시 대한민국의 건강한 남자로 군대에 입대했습니다. 한 고참이 제게 제대가 언제냐고 묻더군요. 저는 “네. 1994년 1월 제대입니다.”라고 씩씩하게 말했습니다. 이 고참은 크게 웃으면서, “1994년 1월? 그날이 올까?”라고 말합니다. 제가 생각해도 정말로 까마득하게 느껴지는 시간이었습니다(더군다나 지금이야 군복무 기간이 21개월이었지만, 제가 군복무 할 때에는 30개월이었거든요).
‘그날이 올까?’라는 생각이 들었던 시간들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이 2013년이니까 어떻습니까? 오지 않을 것 같은 시간이 지나도 한참 지났습니다. 이렇게 그날은 분명히 옵니다. 문제는 지금이라는 현재에는 그 시간이 너무나도 멀게 느껴진다는 것이지요.
너무 까마득하다고 아직 멀었다는 생각을 가져서는 안 됩니다. 또한 내가 목표로 하는 날이 오지 않을 것이라고 포기해버리는 바보 같은 모습 역시 갖춰서는 안 됩니다. 계속해서 미루거나 또 포기해버리면 미래의 멋진 내가 존재할 수 없음을 기억하면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미루거나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그러나 인간의 나약함과 부족함으로 인해서 말처럼 쉽지는 않지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를 도울 협조자가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이 협조자가 오늘 복음에 나오는 진리의 영인 성령입니다. 그래서 우리 모두를 진리 안으로 이끌어주실 것입니다. 진리의 영인 성령의 이끄심에 따를 때, 절대로 미루거나 포기하지 않습니다. 지금이라는 시간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주님께서 원하시는 뜻이며 참 진리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성령의 가르침은 예수님께서 가르치신 것 외의 또 다른 교리를 가르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예수님께서 가르치신 것을 제자들이 깨닫고 사람들에게 가르치도록 도와주고 격려하여 주시는 일입니다. 이로써 예수님께서 가르치신 길로 제자들을 이끄시는 인도자 역할을 하기에 “앞으로 올 일들을 너희에게 알려 주시어, 그분께서 나를 영광스럽게 하실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이 진리의 영인 성령의 이끄심을 따라야 할 것입니다. 바로 나를 높이고, 하느님의 영광을 높이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새로움은 새로운 곳에 없다. 새로운 기회를 찾기 위해서는 ‘세상에 없는 것에 대한 관심’이 아니라 ‘세상에 있는 것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이명우).
꽃보다 더 아름다우신 우리의 부모님. 모두 건강하세요.
권효가(勸孝歌)
어버이날을 맞이하여 어떤 지인으로부터 받은 글을 올립니다. 우리 모두 효도합시다.
부생모육(父生母育) 그 은혜는 하늘같이 높건만/ 청춘남녀 많은데도 효자효부 드물구나.
출가하는 딸아이는 시부모를 싫어하고/ 장가드는 아들네는 살림나기 바쁘도다.
제자식이 장난치면 싱글벙글 웃으면서/ 부모님이 훈계하면 듣기싫어 외면하고 시끄러운 아이소리 듣기좋아 즐겨하며/ 부모님이 두말하면 잔소리라 관심없네.
제자식의 오줌똥은 손으로도 주무르나/ 부모님의 흘린침은 더럽다고 멀리하고 과자봉지 들고와서 아이손에 쥐어주나/ 부모위해 고기한근 사올줄은 모르도다.
개가아파 쓰러지면 가축병원 달려가며/ 늙은부모 쓰러지면 노환이라 생각하네.
열자식을 키운부모 한결같이 키웠건만/ 열자식은 한부모를 귀찮다고 생각하네.
자식위해 쓰는돈은 계산없이 쓰건만은/ 부모위해 쓰는돈은 계산하기 바쁘고나.
자식들을 데리고서 바깥외식 자주하며/ 늙은부모 모시고는 외식한번 힘들구나.
살아생전 불효하고 죽고나면 효심날까/ 예문갖춰 부고내고 조문받고 부조받네.
그대몸이 소중커든 부모은덕 생각하고/ 서방님이 소중커든 시부모를 존중하라.
가신후에 후회말고 살아생전 효도하면/ 하늘에서 복을주고 자식에게 효를받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