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창세 14,18-20
그 무렵 18 살렘 임금 멜키체덱이 빵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다.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의 사제였다. 19 그는 아브람에게 축복하며 이렇게 말하였다. “하늘과 땅을 지으신 분,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께 아브람은 복을 받으리라. 20 적들을 그대 손에 넘겨주신 분,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께서는 찬미받으소서.” 아브람은 그 모든 것의 십분의 일을 그에게 주었다.
제2독서 1코린 11,23-26
형제 여러분, 23 나는 주님에게서 받은 것을 여러분에게도 전해 주었습니다. 곧 주 예수님께서는 잡히시던 날 밤에 빵을 들고 24 감사를 드리신 다음, 그것을 떼어 주시며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너희를 위한 내 몸이다. 너희는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 25 또 만찬을 드신 뒤에 같은 모양으로 잔을 들어 말씀하셨습니다. “이 잔은 내 피로 맺는 새 계약이다. 너희는 이 잔을 마실 때마다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 26 사실 주님께서 오실 때까지, 여러분은 이 빵을 먹고 이 잔을 마실 적마다 주님의 죽음을 전하는 것입니다.
복음 루카 9,11ㄴ-17
그때에 예수님께서 군중에게 11 하느님 나라에 관하여 말씀해 주시고 필요한 이들에게는 병을 고쳐 주셨다. 12 날이 저물기 시작하자 열두 제자가 예수님께 다가와 말하였다. “군중을 돌려보내시어, 주변 마을이나 촌락으로 가서 잠자리와 음식을 구하게 하십시오. 우리가 있는 이곳은 황량한 곳입니다.” 13 예수님께서 “너희가 그들에게 먹을 것을 주어라.” 하시니, 제자들은 “저희가 가서 이 모든 백성을 위하여 양식을 사 오지 않는 한, 저희에게는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밖에 없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14 사실 장정만도 오천 명가량이나 되었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이르셨다. “대충 쉰 명씩 떼를 지어 자리를 잡게 하여라.” 15 제자들이 그렇게 하여 모두 자리를 잡았다. 16 예수님께서는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손에 들고 하늘을 우러러 그것들을 축복하신 다음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군중에게 나누어 주도록 하셨다. 17 사람들은 모두 배불리 먹었다. 그리고 남은 조각을 모으니 열두 광주리나 되었다.
예전의 모 개그 프로그램에서 보았던 것이 생각납니다. 아마 ‘대화가 필요해’라는 프로였는데,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아들이 조용히 식사를 하다가 문득 아들이 무슨 생각이 났는지 아버지에게 묻습니다.
“아버지! 아버지께서는 어머니와 연애 결혼했어요? 아니면 중매 결혼했어요?”
그러자 아버지께서는 잠시 생각하다가 이렇게 말하지요.
“나? 음... 나는.... 사기 결혼했다.”
뜻밖의 말이지요. 그런데 솔직히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종종 있더라는 것입니다. 왜 사기결혼이라고 생각할까요? 자기가 손해를 보고 있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자신의 입장에서만 생각하고, 또한 결혼을 마치 사회의 장사처럼 내가 어떤 이득을 보기 위해서 하는 것처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신앙 안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신앙을 나의 입장으로만 생각하고, 이 세상의 기준을 내세워서 이득을 보기 위한 도구로 사용할 때 종종 주님으로부터 사기 당했다는 식으로 이야기하지요.
‘주님께 열심히 기도했는데 아무런 응답도 얻지 못했어요.’, ‘도대체 주님께서 내게 해 준 것이 뭐 있어요?’, ‘바빠 죽겠는데 귀찮은 것만 요구하고 있으니, 내가 신앙을 가져서 얻는 것이 뭐죠?’
주님을 믿음으로서 얻는 손해가 크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하는 말들입니다. 그러나 이 세상의 기준으로 신앙을 평가해서는 안 됩니다. 그보다 훨씬 큰 가치인 사랑의 기준으로 생각하고 판단해야 하는 것입니다.
오늘 우리들은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을 보내고 있습니다. 사제가 거행하는 성체성사로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화되어 우리에게 오시는 주님의 현존을 기념하고 묵상하는 날입니다. 솔직히 이해하기 힘들지요. 어떻게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인가? 그러나 사랑의 기준으로 생각한다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며 감사할 일입니다.
사실 부족하고 나약한 우리의 모습으로는 혼자서 살아갈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님의 사랑을 받으며 주님과 함께 살아야 합니다. 문제는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직접 모실 수는 없다는 것이지요. 피가 뚝뚝 떨어지는 살을 어떻게 모실 수 있겠어요? 그래서 우리들이 편하게 모실 수 있도록 우리가 평상시에 먹는 빵과 포도주에 사제의 축성으로 내재하시는 것이지요.
이러한 사랑 깊은 배려가 우리가 영하는 성체 안에 담겨 있는 것입니다. 그러한 사랑의 기준으로 바라보십시오. 과연 내가 받고 있는 것들이 손해인 것인지요? 아닙니다. 우리가 손해가 아니라, 주님께서 늘 손해셨습니다.
주님의 사랑을 생각해보십시오. 얼마나 많은 사랑을 또 큰 사랑을 주셨는지를... 어쩌면 사기를 치고 있는 것은 우리 쪽이 아닐까요?
무언가에 홀리듯 깊이 매료되었을 때, 불행의 이유들은 먼저처럼 바람에 날린다. 내게 ‘몰입’은 행복의 다른 말이다.(정해종)
이스라엘의 빵의 기적 성당
빵 다섯개와 물고기 두 마리
오늘 복음에서는 오병이어의 기적 이야기가 나옵니다.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장정만도 5천명을 배부르게 먹이셨다는 것이지요. 생각해보세요. 어떻게 배불리 먹었을까요? 하늘에서 빵과 물고기가 떨어졌을까요?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누군가가 봉헌한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라는 것입니다. 즉,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커다란 기적이 나온 것이 아니라, 봉헌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것이지요.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는 한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양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5천명이 넘는 사람이 먹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5천명이 먹을 수 있는 것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내어놓지 않습니다. 그래서 기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입니다.
전 세계에 굶어 죽는 사람들이 자그마치 10억 명이 넘는다고 하지요.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굶어 죽을까요? 나누지 않기 때문에, 봉헌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먼 훗날 주님 앞에 섰을 때, 왜 너는 나누지 못했니? 봉헌하지 않았니? 라고 묻는다면 어떻게 대답하시겠습니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