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소리

~ 선정과 해탈 ~

 


 




      ▣ 9. 坐禪 [ 좌선 ]

         
        선지식들아,
        이 법문 중의 좌선(坐禪)은 원래 마음에 집착하지 않고
        또한 깨끗함에도 집착하지 않느니라
        또한 움직이지 않음도 말하지 않나니,
        만약 마음을 본다고 말한다면,
        마음은 원래 허망한 것이며
        허망함이 허깨비와 같은 까닭에 볼 것이 없느니라.

        만약 깨끗함(淨)을 본다고 말한다면
        사람의 성품은 본래 깨끗함(淨)에도 허망한 생각으로
        진여(眞如)가 덮인 것이므로 허망한 생각을 여의면
        성품은 본래대로 깨끗하느니라.

        자기의 성품이 본래 깨끗함은 보지 아니하고
        마음을 일으켜 깨끗함을 보면 도리어
        깨끗하다고 하는 망상이 생기느니라.

        망상은 처소가 없다(忘無處所).
        그러므로 본다고 하는 것이 도리어 허망된 것임을 알라.
        깨끗함은 모양이 없거늘,
        도리어 깨끗한 모양을 세워서 이것을 공부라고 말하면
        이러한 소견을 내는 이는 자기의 본래 성품을 가로막아
        도리어 깨끗함에 묶이게 되느니라.

        만약 움직이지 않는 이가
        모든 사람의 허물을 보지 않는다면
        이는 자성이 움직이지 않는 것이다.
        미혹한 사람은 자기의 몸은 움직이지 아니하나
        입만 열면 곧 사람들의 옳고 그름을 말하나니,
        도(道)와는 어긋나 등지는 것이니라.

        마음을 보고 깨끗함을 본다고 하는 것은
        도리어 도를 가로막는 인연이니라.

        이제 너희들에게 말하나니,
        이 법문 가운데 어떤 것을 좌선(坐禪)이라 하는가?
        이 법문 가운데는 일체 걸림이 없어서,
        밖으로 모든 경계 위에 생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앉음(坐)이며,
        안으로 본래 성품을 보아 어지럽지 않은 것이 선(禪)이니라.

        어떤 것을 선정(禪定)이라 하는가?

        밖으로 모양을 떠남이 선(禪)이요
        안으로 어지럽지 않음이 정(定)이다.
        설사 밖으로 모양이 있어도 안으로 성품이 어지럽지 않으면
        본래대로 스스로 깨끗하고 스스로 정(定)이니라.

        그러나 다만 경계에 부딪침으로 말미암아 부딪쳐
        곧 어지럽게 되나니,
        모양을 떠나 어지럽지 않은 것이 곧 정(定)이니라.
        밖으로 모양을 떠나는 것이 곧 선(禪)이요
        안으로 어지럽지 않은 것이 곧 정(定)이니,
        밖으로 선(禪)하고 안으로 정(定)하므로
        선정(禪定)이라고 이름하느니라.

        <유마경>에 말씀하기를
        '즉시에 활연히 깨쳐 본래 마음을 도로 찾는다'하였고,
        <보살계>에 말씀하기를
        '본래 근원인 자성(自性)이 깨끗하다'고 하였느니라.

        선지식들아,
        자기의 성품이 스스로 깨끗함을 보아라.
        스스로 닦아서 스스로 지음(自修自作)이 자기 성품인 법신(法身)이며,
        스스로 행함(自行)이 부처님의 행위(佛行)이며,
        스스로 짓고 스스로 이룸이
        부처님의 도이니라(自作自成佛道)
         

        [ 육조단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