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영성이야기

++ 평신도 ++

1. 움직임의 시간과 한숨의 시간




    오늘은 평신도 주일입니다.
    본당에서 열심히 봉사하시는 모든 분께 하느님의 축복을 빕니다.

    오늘 마태오 복음과 비슷한 설정이 루카 복음 19장에도 나옵니다.
    그런데 루카 복음보다는 맡겨진 금액이 훨씬 큰 것이 눈에 띕니다.
    루카 복음에서는 각각 한 미나(100데나리온=60분의 1 탈렌트)씩만 맡기지만,
    마태오 복음에서는 첫 사람에게 다섯 탈렌트(=30,000데나리온),
    둘째 사람에게는 두 탈렌트(=12,000데나리온),
    셋째 사람에게는 한 탈렌트(=6,000데나리온)를 맡깁니다.
    아주 큰 금액이 맡겨진 것입니다.
    제일 적게 받은 사람에게도 사실 충분한 금액이 맡겨졌습니다.

    충분한 금액과 충분한 탈렌트! 우리가 받은 것이 적다고만 할 수 있을까요?
    내 인생에는 정말 초라한 탈렌트만 주어졌을까요? 혹시 초라하다고
    생각한 것은 다른 사람이 가진 것을 보고 지레 겁먹은 것이 아닐까요?
    남보다 적게 받아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감히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오랜 뒤에 종들의 주인이 와서 그들과 셈을 하게 되었다.”(마태 25,19)
    이 ‘오랜 뒤’는 주인의 입장에서 종들에게 위탁 재산을 활용할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주었다는 뜻이 됩니다. 금방 셈하시지 않고 시간까지 충분히 주셨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내 삶의 시간 속에서 열심히 일하는 ‘움직임의 시간’과
    세상을 탓하는 ‘한숨의 시간’이 잘못 섞여 버리지는 않았는지요?
    움직이면 될 것을, 한숨으로 나를 어딘가에 숨기고 있지는 않는지요?
    마치 맡겨진 한 탈렌트마저 “땅을 파고 주인의 그 돈을 숨겼다.”(마태 25,18)라는
    말씀처럼 말입니다. 땅에 돈을 그냥 묻어 두는 행동은 주인이 돌아올 때를
    대비하여 그에게 해명할 명분만을 준비하느라 시간을 보내고 있는 듯합니다.
    변명거리를 미리 준비해 두느라 아무것도 하지 않습니다. 시작도 안 한 것입니다.
    그냥 숨겨둔 채 숨죽이고 시간만 보내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 가운데도 숨겨둔 수많은 탈렌트들이 있습니다. 우리 공동체에도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탈렌트들이 그냥 묻혀진 채 또 시간이 지나고 있음을 봅니다.
    아주 작은 봉사라도 지금 당장 나설 것을 청합니다.

    “주인님, 저는 주인님께서 모진 분이시어서… 두려운 나머지… 도로 받으십시오.”
    (마태 25,24-25) 셋째 종의 변명입니다. 논리적으로는 맞는 듯이 보이지만,
    문제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우선 주인의 위탁을 자신의 일로 여기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일로 여길 때 무엇을 할 것인지 생각이 납니다.
    내가 무엇인가를 해야 할 사람이라고 스스로 여길 때 문이 열릴 것입니다. 또
    그는 주인의 됨됨이를 관대함이 아닌 탐욕과 냉혹함으로 잘못 판단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두려움과 게으름을 먼저 탓하기 전에 주인을 판단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느님과 세상에 대한 원망과 탓은 내가 무엇을 해야 할지 알 수 없게 만들고
    맙니다. 두려움에서 벗어난다면 나에게 주어진 탈렌트로 더 많은 것을 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풍성한 주님의 은총을 기도합니다.


    서울대교구  강귀석 아우구스티노 신부

                     

                     

                    2. 참으로 기쁜 빵

                    우리에게 오시는

                    주님의 목적은 단 하나,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그분을 심심하게

                    내버려 두겠습니까?

                    안됩니다.

                    절대 안됩니다!
                    그분이 그분을 통하여

                    열매를 맺도록 합시다.
                    열매를 맺지 못한 채

                    남아 있는 성체가 하나도
                    없게 합시다.

                    우리 구원자께서는

                    얼마나 선하신지!
                    최후의 만찬은

                     세 시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사랑의 수난이었습니다.

                    그 빵은 너무나

                    값진 빵이었습니다.

                    사람들은

                    "빵이 너무 비싸다"

                    고 말합니다.
                    그렇지만 하늘의 빵,

                    생명의 빵에

                    비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이 빵을 먹읍시다.

                    그것은 우리의 것입니다.
                    주님이 우리를 위해서

                    가져오셨고 우리를 위해

                    당신생명을 지불하셨습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주십니다.

                    우리는 그 빵을

                    먹기만 하면 됩니다.
                    얼마나 엄청난 영광입니까?
                    얼마나 엄청난 사랑입니까?
                    -성체 안에 참으로 살아계시는 예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