봐야할 것을 보는 행복한 눈
-김찬선신부-
“너희가 보는 것을 보는 눈은 행복하다.
많은 예언자와 임금이
너희가 보는 것을 보려고 하였지만 보지 못하였고,
너희가 듣는 것을 들으려고 하였지만 듣지 못하였다.”
살면서 이것저것, 온갖 것을 다 겪은 걸 일컬어
산전수전 다 겪었다고 하고,
볼 꼴 못 볼 꼴 다 봤다고도 하는데
행복한 일과 불행한 일을 다 겪었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볼 꼴>이란 보면 좋을 것,
꼭 봐야할 것을 얘기하는 것이고,
<못 볼 꼴>이란 안 보면 좋을 것,
보지 말아야 할 것을 얘기하는 거겠지요.
그러므로 불행한 사람은 이런 사람입니다.
봐야 할 것은 못 보고 보지 말아야 할 것은 보는 사람입니다.
살아가면서 자식이 먼저 죽는 것은 보지 말아야 하고,
자식들이 재산 때문에
서로 고소하며 싸우는 것도 보지 말아야 하며.
돈 안 준다고 부모에게
온갖 패악 질을 하는 것도 보지 말아야 합니다.
그런데 이런 것을 보지 말아야 한다고 하는데
이런 것을 보고 싶어서 보는 부모는 아무도 없을 겁니다.
정말 이런 꼴 보고 싶지 않은데
봐야만 하니 보는 거고 그래서 불행합니다.
자기 힘으로는 도저히 막을 수 없는,
곧 불가항력적不可抗力的으로 보게 되는 불행이고,
봐야만 하는 불행입니다.
반대로 봐야 할 것을 못 보는 불행도 있습니다.
아직 손자를 못 봤다고 할 때
이 말은 자식이 손자를 안 보여줘서가 아니라
자식이 아직까지 아이를 못 낳아서
보고 싶은 손자가 없다는 말입니다.
또 이런 경우도 있지요.
아이를 낳았는데 맹인 부모는
그 사랑스런 아이의 얼굴을 볼 수 없습니다.
그래서 손으로 만져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손으로 만져서 보는 것입니다.
그런데 만져서 보는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있게 되면 얼마나 행복할까요?
이것이 소박한 인간의 행복이라면
신앙인의 행복이 있습니다.
나의 구원자이신 아기 예수를 만져보고
더 나아가 눈으로 보는 것입니다.
루카복음을 보면 시메온이라는 노인이 나옵니다.
그토록 고대하던 구원자
아기 예수를 보고 그 행복을 이렇게 노래합니다.
“주님, 이제야 말씀하신 대로
당신 종을 평화로이 떠나게 해 주셨습니다.
제 눈이 당신의 구원을 본 것입니다.
이는 당신께서 모든 민족들 앞에서 마련하신 것으로
다른 민족들에게는 계시의 빛이며
당신 백성 이스라엘에게는 영광입니다.”
우리는 성무일도 끝기도 때 이 찬미가를 매일 바칩니다.
노인 시메온처럼 죽을 때
이런 말을 하며 죽을 수 있게 해달라는 겁니다.
그런데 주님의 구원을 보는 것,
아니 구원이신 주님을 보는 것,
이것이 평생소원이고,
그 평생소원이 이뤄지는 것을 보는 것,
이것이 행복이고,
이것을 보지 못하면 불행입니다.
그렇다면 누가 이 구원을 보고 어떻게 봅니까?
오늘 복음에서 주님께서는
제자들이 이것을 봤다고 하십니다.
“너희가 보는 것을 보는 눈은 행복하다.
슬기롭다는 사람과 지혜롭다는 사람은 못 보고
철부지는 본다고도 하십니다.
슬기롭다는 사람은 참으로 슬기로운 사람이 아니고
자기가 슬기롭다고 자처하는 사람이고,
한 마디로 교만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교만한 사람에게는
눈에 뵈는 것이 없어서 보지 못합니다.
그래서 오히려 철부지들이 봅니다.
맑은 눈, 깨끗한 눈, 성령의 눈을 가져서
하느님께서 보여주시는 대로 보기 때문입니다.
오늘, 이 눈을 주님께 청합니다
'김찬선(레오나르도) OFM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행복 타령 / 김찬선 신부님 ~ (0) | 2015.12.03 |
---|---|
~ 그러니 우리 모두 산에 가자 / 김찬선 신부님 ~ (0) | 2015.12.02 |
~ 내게 영원히 남는 말씀 / 김찬선 신부님 ~ (0) | 2015.11.27 |
~ 위기는 좋은 기회 / 김찬선 신부님 ~ (0) | 2015.11.25 |
~ 언젠가는 허물어 질 것입니다. / 김찬선 신부님 ~ (0) | 2015.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