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상선(바오로) 신부님

~ 부활 제 4주일 / 오상선 신부님 ~

 
제1독서
<이제 우리는 다른 민족들에게 돌아섭니다.>
▥ 사도행전의 말씀입니다.13,14.43-52
그 무렵 바오로와 바르나바는
14 페르게에서 더 나아가 피시디아의 안티오키아에 이르러,
안식일에 회당에 들어가 앉았다.
43 많은 유다인과 유다교로 개종하여 하느님을 섬기는 이들이 따라오자,
바오로와 바르나바는 그들에게 이야기하며
하느님의 은총에 계속 충실하라고 권하였다.
44 그다음 안식일에는 주님의 말씀을 들으려고 도시 사람들이 거의 다 모여들었다.
45 그 군중을 보고 유다인들은 시기심으로 가득 차 모독하는 말을 하며
바오로의 말을 반박하였다.
46 그러나 바오로와 바르나바는 담대히 말하였다.
“우리는 하느님의 말씀을 먼저 여러분에게 전해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그것을 배척하고
영원한 생명을 받기에 스스로 합당하지 못하다고 판단하니,
이제 우리는 다른 민족들에게 돌아섭니다.
47 사실 주님께서 우리에게 이렇게 명령하셨습니다.
‘땅끝까지 구원을 가져다주도록 내가 너를 다른 민족들의 빛으로 세웠다.’”
48 다른 민족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기뻐하며 주님의 말씀을 찬양하였다.
그리고 영원한 생명을 얻도록 정해진 사람들은 모두 믿게 되었다.
49 그리하여 주님의 말씀이 그 지방에 두루 퍼졌다.
50 그러나 유다인들은 하느님을 섬기는 귀부인들과 그 도시의 유지들을 선동하여,
바오로와 바르나바를 박해하게 만들고 그 지방에서 그들을 내쫓았다.
51 그들은 발의 먼지를 털어 버리고 나서 이코니온으로 갔다.
52 제자들은 기쁨과 성령으로 가득 차 있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
<어린양이 그들을 돌보시고 생명의 샘으로 그들을 이끌어 주실 것이다.>
▥ 요한 묵시록의 말씀입니다.7,9.14ㄴ-17
나 요한이 9 보니, 아무도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큰 무리가 있었습니다.
모든 민족과 종족과 백성과 언어권에서 나온 그들은,
희고 긴 겉옷을 입고 손에는 야자나무 가지를 들고서
어좌 앞에 또 어린양 앞에 서 있었습니다.
원로 가운데 하나가 14 나에게 말하였습니다.
“저 사람들은 큰 환난을 겪어 낸 사람들이다.
저들은 어린양의 피로 자기들의 긴 겉옷을 깨끗이 빨아 희게 하였다.
15 그래서 그들은 하느님의 어좌 앞에 있고
그분의 성전에서 밤낮으로 그분을 섬기고 있다.
어좌에 앉아 계신 분께서 그들을 덮는 천막이 되어 주실 것이다.
16 그들이 다시는 주리지도 목마르지도 않을 것이며
해도 그 어떠한 열기도 그들에게 내리쬐지 않을 것이다.
17 어좌 한가운데에 계신 어린양이 목자처럼 그들을 돌보시고
생명의 샘으로 그들을 이끌어 주실 것이며
하느님께서는 그들의 눈에서 모든 눈물을 닦아 주실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나는 내 양들에게 영원한 생명을 준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0,27-30
그때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27 “내 양들은 내 목소리를 알아듣는다.
나는 그들을 알고 그들은 나를 따른다.
28 나는 그들에게 영원한 생명을 준다.
그리하여 그들은 영원토록 멸망하지 않을 것이고,
또 아무도 그들을 내 손에서 빼앗아 가지 못할 것이다.
29 그들을 나에게 주신 내 아버지께서는 누구보다도 위대하시어,
아무도 그들을 내 아버지의 손에서 빼앗아 갈 수 없다.
30 아버지와 나는 하나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유목(遊牧) 문화에 익숙한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예수님께서 목자의 비유로 당신을 드러내십니다. 목자가 어떤 존재인지, 목자와 양의 관계가 어떠한지 이미 삶으로 체득해 아는 이들에게 이 비유는 다른 설명이 필요 없을 겁니다.

"내 양들은 내 목소리를 알아듣는다. 나는 그들을 알고 그들은 나를 따른다."(요한 10,27)

목자는 양 한 마리 한 마리에 대해 잘 압니다. 성향과 특이점, 건강상태 · 식성 · 약점 · 성질머리까지 샅샅이 알기에 잘 다독이며 돌볼 수 있습니다. 양들은 그런 목자의 목소리를 알기에 그를 따릅니다. 그를 따라가면 물가도 나오고 풀밭도 나온다는 걸 본능으로 또 체험으로 아니까 믿고 따릅니다. 또 목자 곁에 바싹 붙어 있어야 사나운 들짐승의 공격도 도둑의 손길도 피할 수 있다는 걸 압니다. 그래서 귀를 쫑긋 세우고 제 이름을 부르는 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움직입니다. 그에게 목자는 생존과 직결됩니다.

"아무도 그들을 내 손에서 빼앗아 가지 못할 것이다."(요한 10,28) 성실하고 책임 있는 목자, 양들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목자는 절대 제 목숨 하나 구하려고 양을 맹수 앞에 버려두고 줄행랑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목숨을 걸고 양을 지키지요. 양 한마리가 곧 재산이라서가 아닙니다. 계산으로 따지자면 줄행랑쳐서 제 안위를 지키는 게 훨씬 남는 장사니까요.

그런데 이 말씀에 이어 예수님은 "아무도 그들을 내 아버지의 손에서 빼앗아 갈 수 없다"(요한 10,29)고 덧붙이십니다. 그동안의 복음을 통해 우리는 아버지께서 우리에게 아드님을 보내셨고, 또 동시에 우리를 아드님께로 이끄셨음을 깨달았지요. 절대로 우리를 놓치지 않는 목자 예수님의 손이 곧 아버지의 손과 동일시 됩니다. 그러더니 급기야, "아버지와 나는 하나다"(요한 10,30) 고 하시네요. 예수님께서 유다인들이 참 듣기 거북해하는 문제적 발언을 하신 것입니다. 양에 대한 목자 예수님의 사랑과, 아버지의 사랑이 다르지 않듯, 당신과 아버지는 하나라고 밝히신 것인데, 이 말씀은 당신 자신을 영광스럽게 하시려는 목적이 아닙니다. 당신이 양들에게 주시고자 하는 "영원한 생명"(요한 10,28)의 약속을 확인시켜 주시려는 것입니다.

제1독서인 사도행전에서는 바오로와 바르나바의 선교 이야기가 등장합니다. "영원한 생명을 얻도록 정해진 사람들은 모두 믿게 되었다"(사도 13,48)고 하지요. 지역과 민족, 인종과 언어, 문화와 역사가 달라도 양떼는 제 목자를 알아보는 법입니다. 그의 목소리를 알아듣습니다.

그런데 누구나 복음을 받아들인 건 아니었지요. 하지만 사도들은 실망하지 않고 다른 지역으로 가서 복음을 전합니다. 아직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구석구석 숨어 있는 잠재적 주님의 양떼를 찾아서 멈추거나 주저앉지 않고 걸음을 계속하는 것입니다. "제자들은 기쁨과 성령으로 가득 차 있었다."(사도 13,52) 주님의 양떼를 찾아나서는 마음은 성령의 불로 타오르고 기쁨이 넘칩니다. 거부와 박해도 이를 꺽지 못합니다.

제2독서에서는 "모든 민족과 종족과 백성과 언어권에서 나온"(묵시 7,9) 구원받은 이들이 등장합니다. 하느님의 어린양이신 예수님 앞에서 영원한 생명을 누리는 그들은 이 지상의 삶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 때문에 "큰 환난을 겪어낸 사람들"(묵시 7,14)입니다. 목자이신 예수님께서 당신 양떼에게 약속하신 영원한 생명의 특권으로, "그들은 하느님의 어좌 앞에 있고 그분의 성전에서 밤낮으로 그분을 섬기고"(묵시 7,15) 있습니다. 영원한 생명을 얻은 이들은 평생을 믿고 추구하고 사랑해온 분 앞에 머물며 그분만을 섬기는 복된 삶을 누리고 있는 것입니다.

이어지는 묵시록의 대목이 어찌나 아름답고 또 지상 순례길에 지친 우리에게 커다란 위안을 주는지 그대로 옮겨봅니다. "그들은 다시는 주리지도 목마르지도 않을 것이며 해도 그 어떠한 열기도 그들에게 내리쬐지 않을 것이다. 어좌 한가운데 계신 어린양이 목자처럼 그들을 돌보시고 생명의 샘으로 그들을 이끌어 주실 것이며 하느님께서는 그들의 눈에서 모든 눈물을 닦아 주실 것이다."(묵시 7,17)

사랑하는 벗님 여러분, 이미 목자의 품 안에 들어 있는 우리는 영원한 생명을 앞당겨 살고 있는 복된 존재들입니다. 주님 앞에 머물며 그분을 사랑하고 섬기는 일은 무겁고 성가신 의무가 아니라 구원받은 우리의 특권입니다. 도처에 문이 활짝 열린 성당이 있고, 매일 미사가 봉헌되고, 감실에서 예수님이 우리를 기다리십니다. 고해성사를 집전할 사제와, 나를 위해 기도하는 숨은 이들이 있는 세상, 아직은 아니지만 이미 와 있는 하느님 나라입니다. 아멘. 착한 목자이신 예수님의 일을 계속할 사제들과 수도자, 선교사들이 많이 나올 수 있도록 마음모아 기도하는 오늘 되시길 축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