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 제1주일
제1독서
<주님께서 영원한 평화의 하느님 나라로 모든 민족들을 모아들이신다.>
▥ 이사야서의 말씀입니다.2,1-5
1 아모츠의 아들 이사야가 유다와 예루살렘에 관하여 환시로 받은 말씀.
2 세월이 흐른 뒤에 이러한 일이 이루어지리라.
주님의 집이 서 있는 산은 모든 산들 위에 굳게 세워지고
언덕들보다 높이 솟아오르리라.
모든 민족들이 그리로 밀려들고
3 수많은 백성들이 모여 오면서 말하리라.
“자, 주님의 산으로 올라가자. 야곱의 하느님 집으로!
그러면 그분께서 당신의 길을 우리에게 가르치시어
우리가 그분의 길을 걷게 되리라.”
이는 시온에서 가르침이 나오고
예루살렘에서 주님의 말씀이 나오기 때문이다.
4 그분께서 민족들 사이에 재판관이 되시고
수많은 백성들 사이에 심판관이 되시리라.
그러면 그들은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고 창을 쳐서 낫을 만들리라.
한 민족이 다른 민족을 거슬러 칼을 쳐들지도 않고
다시는 전쟁을 배워 익히지도 않으리라.
5 야곱 집안아, 자, 주님의 빛 속에 걸어가자!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
<우리의 구원이 더 가까워졌습니다.>
▥ 사도 바오로의 로마서 말씀입니다.13,11-14ㄱ
형제 여러분, 11 여러분은 지금이 어떤 때인지 알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잠에서 깨어날 시간이 이미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가 처음 믿을 때보다 우리의 구원이 더 가까워졌기 때문입니다.
12 밤이 물러가고 낮이 가까이 왔습니다.
그러니 어둠의 행실을 벗어 버리고 빛의 갑옷을 입읍시다.
13 대낮에 행동하듯이, 품위 있게 살아갑시다.
흥청대는 술잔치와 만취, 음탕과 방탕, 다툼과 시기 속에 살지 맙시다.
14 그 대신에 주 예수 그리스도를 입으십시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너희는 준비하고 깨어 있어라.>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24,37-44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37 “노아 때처럼 사람의 아들의 재림도 그러할 것이다.
38 홍수 이전 시대에 사람들은 노아가 방주에 들어가는 날까지
먹고 마시고 장가들고 시집가고 하면서,
39 홍수가 닥쳐 모두 휩쓸어 갈 때까지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다.
사람의 아들의 재림도 그러할 것이다.
40 그때에 두 사람이 들에 있으면, 하나는 데려가고 하나는 버려둘 것이다.
41 두 여자가 맷돌질을 하고 있으면, 하나는 데려가고 하나는 버려둘 것이다.
42 그러니 깨어 있어라. 너희의 주인이 어느 날에 올지 너희가 모르기 때문이다.
43 이것을 명심하여라. 도둑이 밤 몇 시에 올지 집주인이 알면,
깨어 있으면서 도둑이 자기 집을 뚫고 들어오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다.
44 그러니 너희도 준비하고 있어라.
너희가 생각하지도 않은 때에 사람의 아들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묵은 어둠을 밀어내고 새해가 시작되었습니다. 버겁고 힘겨운 현실을 벗어버리지 않고, 한걸음도 건너뜀 없이 타박타박 오늘 여기까지 걸어오신 여러분을 축복하며 새 날 새 빛의 기쁨을 전합니다.
"그러니 깨어 있어라. 너희의 주인이 어느 날에 올지 너희가 모르기 때문이다"(마태 24,42).
예수님 탄생을 기다리는 대림 첫날 복음은 우리에게 종말을 상기시킵니다. 깨어 있음! 주님께서 우리에게 당부하고 또 당부하시는 말씀입니다. 깨어 있다는 건 잠들지 않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잠시의 휴식이랄 수 있는 육신의 잠은 정지와 멈춤, 죽음의 상태로 보이지만, 그 안에 휴식과 생성, 회복 등 긍정적 움직임도 함께 지니고 있지요.
"나는 잠들었지만 내 마음은 깨어 있었지요"(아가 5,2).
아가의 신부가 고백하는 신비로운 이 상태가 곧 님을 기다리는 우리의 깨어 있음을 가리키지 않을까 싶습니다. 몸은 휴식하고 있어도 영혼은 오시는 님을 향해 활짝 열려 있습니다. 그분의 목소리, 기척, 향기의 미세한 변화도 포착할만큼 민감히 열린 상태입니다. 주인이 언제 오실지 모르는 무지로 인해 영혼이 더 섬세하고 영롱하게 벼리어집니다. 언제 오실지 모르는 분을 언제라도 맞이하려면 그래야 합니다.
제1독서는 모든 이가 평화를 누리는 구원의 날을 노래합니다.
"세월이 흐른 뒤에 이러한 일이 이루어지리라"(이사 2,1).
잘 알다시피 이스라엘은 외적으로는 강대국 사이에서, 내적으로는 가난한 이들에 대한 공정과 정의가 훼손된 상태에서 위협과 대립, 갈등 상황을 지속해 왔습니다. 그런 와중에 민중의 마음에 싹튼 평화에 대한 열망은 주님께서 오시어 "민족들 사이에 재판관이 되시고 수많은 백성들 사이에 심판관이 되시"(이사 2,4)는 그날을 향합니다.
"자, 주님의 빛 속에 걸어가자"(이사 2,5).
아직 신산하고 어두운 현실을 걷는 이들을 독려하는 목소리입니다. 아직 오지 않은, 그러나 반드시 오실 빛! 나를 둘러싼 어둠에서 한 발 밖으로 내디딜 때 이미 빛으로 들어선 것입니다. 그러니 아직도 여전히 복잡하고 버거운 현실에 묶여 있다고 주저할 필요가 없습니다.
"기뻐하며 주님의 집으로 가리라"(화답송).
기쁨은 반드시 기쁠 이유가 있어야 생기는 감정적 반응을 넘어서, 주님을 향해 깨어 있는 영혼에게서 흘러나오는 생기입니다. 아직 완성되지는 않았지만 반드시 이루어질 약속된 평화, 구원, 하나 됨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전율하는 영혼의 설레임이 곧 기쁨입니다.
"기뻐하여라"(루카 1,28).
마리아가 천사에게서 들은 첫마디입니다. 하느님께서 벌이시는 일이 자신에게 인간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 미처 깨닫기도 전에 그녀는 기뻐하라는 과제를 받습니다. 그 말씀이 전달되는 순간 기쁨이 이미 그녀 안에서 솟아나기 시작합니다. 정결하고 신심 깊은 유다 처녀로서 메시아를 깨어 기다려온 마리아는 이미 오시는 주님을 향해 깨어 있는 상태였기 때문입니다.
제2독서에서 사도 바오로는 오시는 주님을 맞이할 준비를 촉구합니다.
"여러분이 잠에서 깨어날 시간이 이미 되었습니다"(로마 13,11).
"때"가 가까이 온 것입니다. 깨어 있음은 "어둠의 행실을 벗어 버리고 빛의 갑옷을"(로마 13,12) 입는 것입니다. 어둠을 헤치고 번지는 빛은 포말처럼 퍼져 나가는 기쁨과 같습니다. 기쁨을 소유한 이는 "주 예수 그리스도를 입"(로마 13,14)은 사람입니다.
깨어 있음은 기쁨으로 열린 상태입니다. 주님이 오실 때 우리 안의 기쁨이 '오시는 기쁨'을 알아보고 맞이할 것입니다. 이 기쁨이 서로를 끌어당겨 하나가 되면 더 큰 기쁨이 이웃과 온 누리를 향해 번져나갈 것입니다.
새해를 시작하며 말씀께서 기쁨을 선사해 주십니다. 깨어 있는 이는 기쁨을 잉태할 "태"가 준비된 영혼입니다. 그 "태" 역시 기쁨입니다. 그러니 기쁠 일 없이, 힘겹고 고통스럽고 신산한 가운데 한 해가 가고 새해가 와버렸다고 황망해하기보다, 내 존재 어딘가에 숨죽이고 있는 기쁨, 길어올려지기를 기다리고 있는 기쁨을 찾읍시다. 그 기쁨의 "태"는 오시는 주님을 껴안을 희망으로 설레며 일렁입니다. 우리의 영혼도 그러할 것입니다.
새해는 주님께서 주시는 기쁨이 여러분의 영혼을 온통 차지하시길 빕니다. 아멘.
'오상선(바오로) 신부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대림 1주간 화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11.29 |
---|---|
~ 대림 1 주간 월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11.28 |
~ 연중 제 34주간 토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11.26 |
~ 연중 제 34주간 금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11.25 |
~ 연중 제 34주간 목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