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상선(바오로) 신부님

~ 연중 제 32주일 / 오상선 신부님 ~

 연중 제32주일

 

제1독서

<지혜를 찾는 이들은 그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 지혜서의 말씀입니다.6,12-16
12 지혜는 바래지 않고 늘 빛이 나서 그를 사랑하는 이들은 쉽게 알아보고
그를 찾는 이들은 쉽게 발견할 수 있다.
13 지혜는 자기를 갈망하는 이들에게 미리 다가가 자기를 알아보게 해 준다.
14 지혜를 찾으러 일찍 일어나는 이는 수고할 필요도 없이
자기 집 문간에 앉아 있는 지혜를 발견하게 된다.
15 지혜를 깊이 생각하는 것 자체가 완전한 예지다.
지혜를 얻으려고 깨어 있는 이는 곧바로 근심이 없어진다.
16 지혜는 자기에게 맞갖은 이들을 스스로 찾아 돌아다니고
그들이 다니는 길에서 상냥하게 모습을 드러내며
그들의 모든 생각 속에서 그들을 만나 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통하여 죽은 이들을 그분과 함께 데려가실 것입니다.>
▥ 사도 바오로의 테살로니카 1서 말씀입니다.4,13-18
13 형제 여러분, 죽은 이들의 문제를 여러분도 알기를 바랍니다.
그리하여 희망을 가지지 못하는 다른 사람들처럼 슬퍼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14 예수님께서 돌아가셨다가 다시 살아나셨음을 우리는 믿습니다.
이와 같이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통하여
죽은 이들을 그분과 함께 데려가실 것입니다.
15 우리는 주님의 말씀을 근거로 이 말을 합니다.
주님의 재림 때까지 남아 있게 될 우리 산 이들이
죽은 이들보다 앞서지는 않을 것입니다.
16 명령의 외침과 대천사의 목소리와 하느님의 나팔 소리가 울리면,
주님께서 친히 하늘에서 내려오실 것입니다.
그러면 먼저 그리스도 안에서 죽은 이들이 다시 살아나고,
17 그다음으로, 그때까지 남아 있게 될 우리 산 이들이
그들과 함께 구름 속으로 들려 올라가 공중에서 주님을 맞이할 것입니다.
이렇게 하여 우리는 늘 주님과 함께 있을 것입니다.
18 그러니 이러한 말로 서로 격려하십시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신랑이 온다. 신랑을 맞으러 나가라.>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25,1-13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이런 비유를 들어 말씀하셨다.
1 “하늘 나라는 저마다 등을 들고 신랑을 맞으러 나간
열 처녀에 비길 수 있을 것이다.
2 그 가운데 다섯은 어리석고 다섯은 슬기로웠다.
3 어리석은 처녀들은 등은 가지고 있었지만 기름은 가지고 있지 않았다.
4 그러나 슬기로운 처녀들은 등과 함께 기름도 그릇에 담아 가지고 있었다.
5 신랑이 늦어지자 처녀들은 모두 졸다가 잠이 들었다.
6 그런데 한밤중에 외치는 소리가 났다. ‘신랑이 온다. 신랑을 맞으러 나가라.’
7 그러자 처녀들이 모두 일어나 저마다 등을 챙기는데,
8 어리석은 처녀들이 슬기로운 처녀들에게
‘우리 등이 꺼져 가니 너희 기름을 나누어 다오.’ 하고 청하였다.
9 그러나 슬기로운 처녀들은 ‘안 된다. 우리도 너희도 모자랄 터이니
차라리 상인들에게 가서 사라.’ 하고 대답하였다.
10 그들이 기름을 사러 간 사이에 신랑이 왔다.
준비하고 있던 처녀들은 신랑과 함께 혼인 잔치에 들어가고, 문은 닫혔다.
11 나중에 나머지 처녀들이 와서
‘주인님, 주인님, 문을 열어 주십시오.’ 하고 청하였지만,
12 그는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나는 너희를 알지 못한다.’ 하고 대답하였다.
13 그러니 깨어 있어라. 너희가 그 날과 그 시간을 모르기 때문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 미사의 말씀은 주님을 맞이하기 위해 우리가 준비해야 할 바에 대해 들려 주십니다.

"슬기로운 처녀들은 등과 함께 기름도 그릇에 담아 가지고 있었다."(마태 25,4)

복음사가는 신랑을 맞으러 나간 열 처녀를 슬기로운 이 다섯과 어리석은 이 다섯으로 나눕니다. 원래 슬기로운 이들이 마침 기름까지 넉넉히 준비한 건지, 기름을 준비해서 슬기롭다고 불리는 건지 인과관계가 모호하지만, 어쨌든 그들은 기다리던 바를 얻습니다.

"준비하고 있던 처녀들은 신랑과 함께 혼인 잔치에 들어가고, 문은 닫혔다."(마태 25,10)

슬기로운 처녀들의 준비는 하루 아침에 뚝딱 이루어진 일회성 임기응변의 산물이 아닙니다. 슬기는 원하고 사랑하고 노력하는 이에게 주어지는 은총의 선물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깨어 있어라. 너희가 그 날과 그 시간을 모르기 때문이다."(마태 25,13)

깨어 있음은 단지 잔칫집 문 앞에서 졸음을 떨쳐내며 버티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깨어 있음은 전 생애 동안 지니고 가야 하는 호흡과도 같은 필수적 내공입니다.

제1독서는 지혜의 특성을 아름답게 풀어놓았습니다.

"지혜는 자기를 갈망하는 이들에게 미리 다가가, 자기를 알아보게 해 준다."(지혜 6,13)

지혜서는 "지혜"를 마치 사람처럼 의인화해서 묘사합니다. 이스라엘 민족에게 "지혜"는 "이스라엘의 역사와 하느님께서 창조하신 세상에서 이루어지는 그분의 모든 '계시'와 동일시"된다고 학자들은 이야기하지요. 그래서 지혜는 하느님의 사랑을 실현하고 완성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미리 예시한다고 봅니다.

지혜는 자신을 드러내고 나누기 위해 역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하십니다. 지혜를 찾고 갈망하는 이를 먼저 알아보고, 기꺼이 그에게 다가가 당신을 보여주시지요. 지혜를 알고자 하는 마음은 세상 표면 위로 흘러가는 질서 이면에 어떤 심오한 이치와 원리가 있다고 믿는 이들에게 허락됩니다.

"지혜를 얻으려고 깨어 있는 이"(지혜 6,15)

오늘 복음의 가르침을 떠올리게 해 주는 말씀입니다. 지혜 역시 어느 한 순간 즉흥적인 호기심이 발동해서 불러 본다고 얻어지지 않습니다. 지혜가 나지막이 말을 건넬 때 그 순간을 놓치지 않고 껴안을 수 있는 힘은 영혼이 지혜를 향해 활짝 열려 있는 상태에서 발휘됩니다. 이것이 곧 깨어 있음일 것입니다.

제2독서는 삶에서 죽음으로, 곧 삶에서 새 삶으로 이어지는 희망을 이야기합니다.

"희망을 가지지 못하는 다른 사람들처럼 슬퍼하지 말라는 것입니다."(1테살 4,13)

우리 모두는 누구도 예외없이 언젠가 주님의 날을 맞이할 것입니다. 지상에 사는 동안 깨어 있으면서 지혜, 슬기를 얻은 이에게 그 건너감은 새로운 행복의 시작이 되겠지요. 평생 갈망하고 그리던 신랑과 함께 영원한 혼인 잔치에 들어갈 것이니 슬픔이 아니라 오히려 기뻐 뛰어야 합니다.

 

"우리는 늘 주님과 함께 있을 것입니다." (1테살 4,17)

오늘 신랑과 함께 혼인 잔치에 들어간 복음 속 슬기로운 처녀들처럼, 우리도 주님과 함께 있을 것입니다. 이 지상에서 신앙과 사랑으로, 성체와 말씀으로 늘 주님 현존 안에 머물던 우리가 마침내 삶의 질곡과 고통에서 벗어나 가장 순수한 영혼으로 가장 아름다우신 그분과 일치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 깨어 있음은 얼마나 큰 행복을 부르는지요!

몰라서 그토록 두렵고, 또 그토록 기대되는 행복의 "그 날과 그 시간"을 기다리며 우리는 깨어 있어야 합니다. 때로는 두려움으로, 때로는 설렘으로 깨어 있는 것입니다. 모르기 때문에 깨어 있지만, 깨어 있기 때문에 지혜와 슬기가 우리 영혼의 등잔 안에 차오릅니다. 사랑의 불은 이 기름으로 타올라 빛을 냅니다.

사랑하는 벗님! 이제 전례 주년으로 이 한해가 두어 주정도 남았습니다. 남은 시간, 주님 향한 사랑의 불을 밝혀 줄 지혜를 얻기 위해 깨어 갈망하며 애쓰시길 기원합니다. 지혜께서 우리 집 문간에서 기다리고 계시니, 묵은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그 지혜를 발견하고 얼싸안는 기쁨 누리시길 축원합니다.

 

▶작은형제회 오 상선 바오로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