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되신 동정 마리아 자헌 기념일
제1독서
<딸 시온아, 즐거워하여라. 내가 이제 가서 머무르리라.>
▥ 즈카르야 예언서의 말씀입니다.2,14-17
14 “딸 시온아, 기뻐하며 즐거워하여라.
정녕 내가 이제 가서 네 한가운데에 머무르리라.
주님의 말씀이다.
15 그날에 많은 민족이 주님과 결합하여 그들은 내 백성이 되고
나는 그들 한가운데에 머무르리라.”
그때에 너는 만군의 주님께서 나를 너에게 보내셨음을 알게 되리라.
16 주님께서는 이 거룩한 땅에서 유다를 당신 몫으로 삼으시고
예루살렘을 다시 선택하시리라.
17 모든 인간은 주님 앞에서 조용히 하여라.
그분께서 당신의 거룩한 처소에서 일어나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가리키시며 이르셨다. “이들이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2,46-50
그때에 46 예수님께서 군중에게 말씀하고 계시는데,
그분의 어머니와 형제들이 그분과 이야기하려고 밖에 서 있었다.
47 그래서 어떤 이가 예수님께, “보십시오, 스승님의 어머님과 형제들이
스승님과 이야기하려고 밖에 서 계십니다.” 하고 말하였다.
48 그러자 예수님께서 당신께 말한 사람에게,
“누가 내 어머니고 누가 내 형제들이냐?” 하고 반문하셨다.
49 그리고 당신의 제자들을 가리키시며 이르셨다.
“이들이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다.
50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 미사의 말씀은 주님과 우리의 관계를 고찰하게 해 줍니다.
"그분의 어머니와 형제들이 그분과 이야기하려고 밖에 서 있었다."(마태 12,46)
예수님이 집 안에서 군중들에게 말씀을 들려주고 계실 때 그분의 어머니와 형제들이 집앞에 다다른 것 같습니다. 어느 친절한 이가 예수님께 이를 알리지요. 보통 사람이라면 가족이 우선일 테니까요.
"이들이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다.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다."(마태 12,49-50)
그런데 예수님은 당신 곁에 있는 제자들을 가리키며 어머니고 형제라 하십니다. 육신과 인간 사회의 질서 안에서 태어나 자라셨지만 동시에 하느님과 같은 분이신 예수님은 영의 질서 안에서 모든 것을 포괄하고 또 초월하는 분이십니다.
"안"과 "밖"을 관상합니다. 예수님 말씀을 듣자 하니, 우리와 예수님과의 관계가 제도나 신분, 육적 관계나 물질적 기여도, 관습만으로 좌우되기는 어려워 보이네요. 이런 "밖"의 조건들에서 넉근히 우위를 차지한들, 그것들만으로는 자신이 있는 "밖"으로 예수님을 불러낼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예수님과 진정으로 관계 있는 존재가 되려면 우리가 예수님 곁으로 가야 합니다. 속된 말로 계급장 다 떼고 가면도 다 벗어버리고, 영혼의 민낯과 알몸으로 그분이 계신 "안"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거기서 그분과 맺는 관계를 통해 우리는 주님의 어머니고 형제가 됩니다.
먼저 우리는 예수님이 계신 "안"에 머물러야 합니다. 거기서 말씀을 듣습니다. 그분의 말씀이 우리를 그분과 강하게 결속시킵니다. 그리고 듣고 품은 말씀을 실행해야 합니다. 말씀이 우리 안에 들어와 우리 행동을 통해 세상에 탄생하는 것입니다. 말씀이 우리를 통해 육화하는 것이지요.
그러니 말씀을 듣고 실행하는 이는 예수님의 어머니고 형제일 수밖에 없습니다. 영혼의 태 안에 그토록 귀하신 말씀을 잉태해 품고 세상에 낳아주었으니 말입니다.
제1독서에서는 시온에 당신의 현존을 약속하시는 주님의 밝은 음성이 울려퍼집니다.
"딸 시온아, 기뻐하고 즐거워하여라. 정녕 내가 이제 가서, 네 한가운데에 머무르리라."(즈카 2,14)
주님께서 우리 한가운데에 몸소 들어와 머무르시겠다고 하십니다. 우리가 그분 계신 곳에 들어갈 수 없으니 그분께서 친히 움직이시겠다는 것입니다. 그분께서 우리 가운데 계시게 되면 우리가 있는 곳이 더 이상 "밖"이 아니라 "안"입니다.
"모든 인간은 주님 앞에서 조용히 하여라."(즈카 2,17)
그분께서 우리 "안"에 들어오시는 구원의 때에 모든 인간은 삼가고 경외하며 깨어있어야 합니다. 그분이 들어오시니 모든 분심과 소음은 잠잠해져야 합니다. 말 많고 탈 많은 이 세상에, 우리 존재에 하느님께서 친히 개입하시는 그때, 온갖 인간의 말과 인간의 행위는 그만 숨을 죽이고 그쳐야 합니다. 말씀하시는 분은 오직 주님이셔야 하고, 움직이시는 분도 오직 그분이셔야 합니다. 그분의 시간이 다가왔기 때문입니다.
복음 속 예수님은 어머니 마리아와의 육친관계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마리아께서 육적으로만이 아니라 영적으로도 가장 가까운 관계임을 강조하신 것입니다. 주님께서 마리아 안에 들어 오실 때 마리아는 순종과 침묵으로 인류 역사상 가장 귀한 열매를 품으신 것이니까요. 마리아의 순종은 이 세상에 하느님의 현존을 가능케 했습니다. 구원이 들어와 거처를 삼으신 것이지요.
사랑하는 벗님! 성모님의 봉헌을 기리며, 침묵과 순종 안에 구원의 말씀을 품는 오늘 되시길 축원합니다. 말씀을 품고 살아가며 실천으로 열매 맺는 우리는 이미 주님의 어머니고 형제랍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는 이들은 행복하여라."(복음 환호송)
문 밖에서 서성대지 말고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 예수님 곁으로 다가갑시다. 말씀으로 우리와 함께하시고자 우리에게로 마중나오시고 성체로 우리 안에 들어오시는 주님을 기쁘게 맞이합시다. 그렇게 그분과 하나되어 살아가는 벗님을 축복합니다.
▶ 작은형제회 오 상선 바오로 신부
'오상선(바오로) 신부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연중 제 33주간 목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3.11.23 |
---|---|
~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3.11.21 |
~ 연중 제 32주간 수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3.11.17 |
~ 연중 제 32주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3.11.15 |
~ 연중 제 29주간 금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3.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