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상선(바오로) 신부님

~ 성 티모테오와 성 티토 주교 기념일 / 오상선 신부님 ~

성 티모테오와 성 티토 주교 기념일


제1독서
<나는 그대 안에 있는 진실한 믿음을 기억합니다.>
▥ 사도 바오로의 티모테오 2서 시작입니다.1,1-8
1 하느님의 뜻에 따라, 또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 있는 생명의 약속에 따라
그리스도 예수님의 사도가 된 바오로가,
2 사랑하는 아들 티모테오에게 인사합니다.
하느님 아버지와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님에게서
은총과 자비와 평화가 내리기를 빕니다.
3 나는 밤낮으로 기도할 때마다 끊임없이 그대를 생각하면서,
내가 조상들과 마찬가지로 깨끗한 양심으로 섬기는 하느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4 나는 그대의 눈물을 생각하면서
그대를 다시 볼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그렇게 된다면 내가 기쁨으로 가득 찰 것입니다.
5 나는 그대 안에 있는 진실한 믿음을 기억합니다.
먼저 그대의 할머니 로이스와 어머니 에우니케에게 깃들어 있던 그 믿음이,
이제는 그대에게도 깃들어 있다고 확신합니다.
6 그러한 까닭에 나는 그대에게 상기시킵니다.
내 안수로 그대가 받은 하느님의 은사를 다시 불태우십시오.
7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비겁함의 영을 주신 것이 아니라,
힘과 사랑과 절제의 영을 주셨습니다.
8 그러므로 그대는 우리 주님을 위하여 증언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그분 때문에 수인이 된 나를 부끄러워하지 마십시오.
오히려 하느님의 힘에 의지하여 복음을 위한 고난에 동참하십시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수확할 것은 많은데 일꾼은 적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0,1-9
그때에 1 주님께서는 다른 제자 일흔두 명을 지명하시어,
몸소 가시려는 모든 고을과 고장으로 당신에 앞서 둘씩 보내시며,
2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수확할 것은 많은데 일꾼은 적다.
그러니 수확할 밭의 주인님께 일꾼들을 보내 주십사고 청하여라.
3 가거라. 나는 이제 양들을 이리 떼 가운데로 보내는 것처럼 너희를 보낸다.
4 돈주머니도 여행 보따리도 신발도 지니지 말고,
길에서 아무에게도 인사하지 마라.
5 어떤 집에 들어가거든 먼저 ‘이 집에 평화를 빕니다.’ 하고 말하여라.
6 그 집에 평화를 받을 사람이 있으면 너희의 평화가 그 사람 위에 머무르고,
그렇지 않으면 너희에게 되돌아올 것이다.
7 같은 집에 머무르면서 주는 것을 먹고 마셔라.
일꾼이 품삯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이 집 저 집으로 옮겨 다니지 마라.
8 어떤 고을에 들어가든지 너희를 받아들이면 차려 주는 음식을 먹어라.
9 그곳 병자들을 고쳐 주며,
‘하느님의 나라가 여러분에게 가까이 왔습니다.’ 하고 말하여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 미사의 말씀은 예수님을 따르는 이들을 격려하십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파견하십니다. 당신이 가시려는 곳으로 제자들을 먼저 보내시는 겁니다. 예수님께서 먼저 말씀과 치유로 환대의 분위기를 형성하신 데가 아닌, 불모지로 가라는 뜻입니다. 거기서 제자들은 예수님이 누구신지 모르고, 그러니 제자인 자기들이 누군지 더더욱 모르는 사람들 틈에서 그분이 오실 길을 준비해야 합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이 거기서 겪을 일을 모르시지 않습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세상에는 믿는 이들의 신앙과 헌신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지요. 하지만 그렇다고 예수님이 제자들을 금이야 옥이야 당신 품에만 끼고 계시지는 않습니다.

이 세상에 성자를 파견하실 때의 성부 마음처럼, 예수님도 각별히 아끼시는 제자들과 사랑의 기회를 공유하시는 겁니다. 사랑에 자신의 목숨을 던지는 공동 운명이 파견에서 파견으로 이어집니다.


낯선 곳에 들어서는 제자들에게는 이렇다 할 자기 방어 수단이 없습니다. 정말로 이리 떼 가운데로 보내지는 양의 처지인 셈입니다. 제자들은 그저 신뢰하는 순수한 마음으로 다가가 먼저 평화를 내밀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 평화는 참 신비스럽고 매력적입니다. 평화를 빌어 준 곳에 평화를 받을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에게 평화가 머무르고, 그렇지 않으면 평화를 인사한 제자에게 되돌아온다니 말입니다. 평화를 갈망하던 이에게는 그대로 전해지고, 거부하는 이에게는 그를 거쳐 다시 제자에게 되돌아오니, 결국 이 세상에 주님께서 주신 평화의 총량은 사라지거나 감소하지 않습니다.    

제1독서에서 사도 바오로는 티모테오에게 용기를 북돋워줍니다.


신앙이 밥 먹여 주는 게 아니고 권력과 재물과 명예를 보장하지도 않습니다. 어쩌면 세속적 성공과는 반대의 길을 향한다는 표현이 더 맞을지도 모르겠네요. 게다가 세속의 눈에서는 스승의 약함이 곧 제자의 수치일 수 있으니, 사형수로 비참하게 돌아가신 예수님이나, 연이어 투옥되고 순교하는 사도들이나 믿음이 약한 이들에게는 의혹과 부끄러움의 이유도 될 수 있습니다.

믿지 않는 이들이나 신앙이 악세사리 정도인 이들 앞에서 죽음으로 사랑을 완성하신 분의 길을 따르는 제자의 모습은 자칫 사회부적응자나 웃음거리로 치부될 수 있습니다. 이 또한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지요.     

사도 바오로는 그런 인간적 한계를 모르지 않으면서도, 되레 더 단단해지라고 촉구합니다. 부끄러움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고, 오히려 거기서 성큼 더 나아가 복음을 위한 고난에 동참하라고 초대하지요.


성령으로 받은 은사는 열정을 일깨워 우리를 다시 일으켜 세우고 뜨겁게 합니다. 마음 안에 심어진 사랑의 불이 꺼지지 않으려면, 사랑의 상태, 곧 관상의 상태에 머물러 있어야 하지요. 복잡하고 험난한 세상 안에서도 기도의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분의 제자인 우리는 불이신 주님과 연결된, 불이 되어야 합니다.

낯선 이에게, 또 자신과 반목하는 이에게 평화를 건네는 힘은 주님의 불로 정화된 뜨거운 마음에서 우러납니다. 나약하고 냉소하는 마음에서 나오는 건 평화가 아니라 외면이거나 무관심이지요. 평화는 선과 정의를 부끄러워하지 않고 오해와 가난과 모욕에도 흔들리지 않는 힘입니다. 평화의 군왕이신 예수님이 보여 주신 힘이고, 복음의 고난에 동참하는 제자들을 통해 우리에게까지 전달되어 세상 곳곳을 흐르는 힘입니다.   

사랑하는 벗님! 벗님이 주님에게서 받은 은사를 불태우는 오늘 되시길 기원합니다. 복음의 고난에 동참해 뜨겁게 사랑하는, 평화의 전달자인 벗님을 축복합니다.  





▶ 작은형제회 오 상선 바오로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