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사도들은 예수님의 이름으로 말미암아 모욕을 당할 수 있는 자격을 인정받았다고 기뻐하며 물러 나왔다.>
▥ 사도행전의 말씀입니다.5,34-42
그 무렵 34 최고 의회에서 어떤 사람이 일어났다.
온 백성에게 존경을 받는 율법 교사로서 가말리엘이라는 바리사이였다.
그는 사도들을 잠깐 밖으로 내보내라고 명령한 뒤, 35 그들에게 말하였다.
“이스라엘인 여러분, 저 사람들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 잘 생각하십시오.
36 얼마 전에 테우다스가 나서서,
자기가 무엇이나 되는 것처럼 말하였을 때에
사백 명가량이나 되는 사람이 그를 따랐습니다.
그러나 그가 살해되자 그의 추종자들이 모두 흩어져 끝장이 났습니다
37 그 뒤 호적 등록을 할 때에 갈릴래아 사람 유다가 나서서
백성을 선동하여 자기를 따르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가 죽게 되자 그의 추종자들이 모두 흩어져 버렸습니다.
38 그래서 이제 내가 여러분에게 말합니다.
저 사람들 일에 관여하지 말고 그냥 내버려두십시오.
저들의 그 계획이나 활동이 사람에게서 나왔으면 없어질 것입니다.
39 그러나 하느님에게서 나왔으면 여러분이 저들을 없애지 못할 것입니다.
자칫하면 여러분이 하느님을 대적하는 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가말리엘의 말에 수긍하고,
40 사도들을 불러들여 매질한 다음
예수님의 이름으로 말하지 말라고 지시하고서는 놓아주었다.
41 사도들은 그 이름으로 말미암아 모욕을 당할 수 있는
자격을 인정받았다고 기뻐하며, 최고 의회 앞에서 물러 나왔다.
42 사도들은 날마다 성전에서 또 이 집 저 집에서 끊임없이 가르치면서
예수님은 메시아시라고 선포하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예수님께서는 자리를 잡은 이들에게 원하는 대로 나누어 주셨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6,1-15
그때에 1 예수님께서 갈릴래아 호수
곧 티베리아스 호수 건너편으로 가셨는데,
2 많은 군중이 그분을 따라갔다.
그분께서 병자들에게 일으키신 표징들을 보았기 때문이다.
3 예수님께서는 산에 오르시어 제자들과 함께 그곳에 앉으셨다.
4 마침 유다인들의 축제인 파스카가 가까운 때였다.
5 예수님께서는 눈을 드시어 많은 군중이 당신께 오는 것을 보시고 필립보에게,
“저 사람들이 먹을 빵을 우리가 어디에서 살 수 있겠느냐?” 하고 물으셨다.
6 이는 필립보를 시험해 보려고 하신 말씀이다.
그분께서는 당신이 하시려는 일을 이미 잘 알고 계셨다.
7 필립보가 예수님께 대답하였다.
“저마다 조금씩이라도 받아 먹게 하자면
이백 데나리온어치 빵으로도 충분하지 않겠습니다.”
8 그때에 제자들 가운데 하나인 시몬 베드로의 동생 안드레아가 예수님께 말하였다.
9 “여기 보리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진 아이가 있습니다만,
저렇게 많은 사람에게 이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10 그러자 예수님께서 “사람들을 자리 잡게 하여라.” 하고 이르셨다.
그곳에는 풀이 많았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자리를 잡았는데,
장정만도 그 수가 오천 명쯤 되었다.
11 예수님께서는 빵을 손에 들고 감사를 드리신 다음,
자리를 잡은 이들에게 나누어 주셨다.
물고기도 그렇게 하시어 사람들이 원하는 대로 주셨다.
12 그들이 배불리 먹은 다음에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버려지는 것이 없도록 남은 조각을 모아라.” 하고 말씀하셨다.
13 그래서 그들이 모았더니,
사람들이 보리 빵 다섯 개를 먹고 남긴 조각으로 열두 광주리가 가득 찼다.
14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일으키신 표징을 보고,
“이분은 정말 세상에 오시기로 되어 있는 그 예언자시다.” 하고 말하였다.
15 예수님께서는 그들이 와서 당신을 억지로 모셔다가
임금으로 삼으려 한다는 것을 아시고, 혼자서 다시 산으로 물러가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찬미예수님
후배 신부님의 신앙 간증을 들었습니다. 신부님은 교우들과 함께 성지순례를 갔습니다. 야고보 사도의 유해가 있는 성당까지 걸어가는 ‘산티아고 콤포스텔라’입니다. 10일 정도, 약 120킬로를 걷는 순례였습니다. 신부님은 5일째 되는 날 ‘발톱’이 빠지는 아픔이 있었습니다. 교우들과 함께 걷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지만, 도저히 걷기 어려워서 포기하려고 했습니다.
예수님께 걸을 수 있기를 청하며 기도하는데, ‘너는 걸을 수 있다.’라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신기하기도 하고, 소름이 끼치기도 했지만 ‘설마’라는 생각으로 잠이 들었습니다. 다음 날, 아침에 눈을 뜨니 신기하게도 아프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교우들과 함께 마지막까지 걸어서 순례했다고 합니다.
순례의 마지막 날에 신부님은 자신에게 있었던 놀라운 ‘체험’을 이야기했다고 합니다. 신부님이 이야기를 마치자, 교우들은 눈물을 흘렸다고 합니다. 본인들에게도 이번 성지순례가 마치 은총 같았다고 합니다. 묵주기도 하면서 자기의 잘못을 뉘우치기도 했고, 무엇보다 지금까지 이끌어주신 하느님께 감사드렸다고 합니다.
루르드 성지에 가면 환자들이 놓고 간 목발이 있는데 신부님은 ‘실감’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설마 하는 의심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번에 발톱이 빠졌음에도 무사히 걸어서 순례를 하면서 토마 사도처럼 믿음이 부족했던 신부님에게 하느님께서 은총을 주셨다며 감사했다고 합니다.
신부님의 간증을 들으면서 저 자신이 부끄러웠습니다. 저는 후배 신부님처럼 신기한 목소리를 듣지 못하였습니다. 돌아보면 부끄러운 일들이 많았습니다. 지난번 성당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한 청년이 아버지를 위해서 ‘병자성사’를 청하였습니다. 병자성사를 청하면 보통은 총구역장, 해당 구역장, 반장과 함께 갑니다. 총구역장에게 연락하고, 시간을 정했습니다.
병자성사를 청한 청년이 전화했습니다. 시간을 바꾸고 싶다고 하였습니다. 다시 연락했습니다. 병자성사 시간이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시간이 바뀌었기 때문에 내일 해야 할 일들도 바꾸었습니다. 그런데 밤에 또 전화하였습니다. 복잡한 일이 생겨서 병자성사는 다음에 받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순간 저도 화가 났습니다. 또다시 총구역장님께 전화해야 하고, 일정을 조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겨우 두 번 전화했는데, 저는 참지 못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두 번이 아니라 수십 번 저를 참아 주셨습니다. 저는 하루에도 몇 번씩 하느님의 마음을 아프게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하느님께서는 제게 화를 내시지 않으셨고, 저를 기다려주셨습니다. 고작 두 번 바뀐 것을 가지고, 저는 화를 내고야 말았습니다. 말 못 할 사정이 있는 것을 이해하고, 다음에 할 수 있도록 하자고 말은 했지만, 속으로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오천 명을 먹이신 큰 기적을 행하신 후에도 아무 미련 없이 그곳을 떠나 다른 곳으로 가셨습니다. 오천 명을 먹이신 곳에 성당을 세우고, 밤샘 기도를 하면 엄청나게 많은 사람이 몰려올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소유하려 하지 않으시고, 또 다른 곳으로 향해 길을 걸어가셨습니다.
눈에 보이는 기적과 치유의 은사가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가르쳐 주셨습니다. 참된 하느님의 나라는 ‘기적과 치유’를 통해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십자가의 희생 위에서 세워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화려한 권력과 명예는 오래 갈 것 같지만, 연기처럼 사라지는 것을 우리는 보았습니다.
재물로 눈에 보이는 성전을 세울 수는 있지만 재물이 많아야 하느님께로 갈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하느님께로 갈 수 있습니다. ‘염불보다 제삿밥에’ 관심이 많아서는 안 될 것입니다. 하느님을 소유하여 욕심을 채워도 안 될 것입니다.
오늘 제1독서에서 가말리엘은 자신의 권위와 능력을, 자신을 위해서 행사하지 않았습니다. 기득권을 유지하고 자신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하느님의 뜻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하였습니다. 가말리엘은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내가 여러분에게 말합니다. 저 사람들 일에 관여하지 말고 그냥 내버려두십시오.
저들의 그 계획이나 활동이 사람에게서 나왔으면 없어질 것입니다. 그러나 하느님에게서 나왔으면 여러분이 저들을 없애지 못할 것입니다. 자칫하면 여러분이 하느님을 대적하는 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커다란 능력이 있었음에도 미련 없이 세상의 명예와 권력을 뿌리치고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 떠나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이 와서 당신을 억지로 모셔다가 임금으로 삼으려 한다는 것을 아시고, 혼자서 다시 산으로 물러가셨다.” 권위는 있었지만 권위적이지 않았던 예수님을 생각합니다. 힘은 있었지만, 그 힘을 언제나 약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서 사용하셨던 예수님을 생각합니다.
“주님, 아드님의 십자가로 저희를 구원하셨으니, 주님 사랑으로 저희를 지켜주시어,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영광에 이르게 하소서.”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여러 신부님들의 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 사도 축일 / 송영진 신부님 ~ (0) | 2025.05.03 |
---|---|
~ 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 사도 축일 / 정인준 신부님 ~ (0) | 2025.05.03 |
~ 부활 제 2주간 금요일 / 전삼용 신부님 ~ (0) | 2025.05.02 |
~ 부활 제 2주간 금요일 - 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 / 송영진 신부님 ~ (0) | 2025.05.02 |
~ 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 / 정인준 신부님 ~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