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論 / 성사 53 회
성사 (聖事) Sacrament :
예수 그리스도가 제정하고 교회에 맡긴 은총의 효과적인 표징들.
이 표징을 통해서 하느님의 은총이 인간들에게 틀림없이 전달되며,
합당한 마음가짐으로 성사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서 이 은총은 결실을 맺는다.
(용어사용) 신약성경 : 신약성경에서는 구원에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예식들,
즉 세례, 성찬례, 안수, 병자 도유(塗油) 등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것들을 포괄
하는 일반적인 개념으로 사용된 ‘성사’ 라는 단어는 발견되지 않는다. ‘성사’라는
의미를 지닌 라틴어 ‘사크라멘툼’ (Sacramentum)은 2 -3 세기의 고대 라틴어
역 성경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그리스어 ‘뮈스테리온’ 의 번역이다. 일반적으로
‘신비’ 라고 번역되는 이 용어는 복음서에 3번 (마르코 4, 11 ; 마태 13,11 ; 루가
8, 10), 그 외의 신약 문헌에 24번 나오는데, 이 용어는 본래 종말의 비밀을
가르키는 묵시 문학적인 표현으로서 사도 바오로를 비롯하여 초대 교회에서 즐겨
사용되었다. 바오로에게 있어 ‘신비’란 “하느님의 심오하고 감추어저 있던 지혜”
(1코린 2, 7)를 뜻하며, 이 지혜는 역사적으로 “십자가에 처형되신 그리스도”
(1고린 1, 23) 안에서 실현되었다. 그러므로 하느님의 신비는 바로 그리스도
(골로 2, 2) 이다. 그런데 하느님의 신비는 그리스도의 몸이며 신부인 교회 (예페
5, 32) 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그 신비가 여러 세기와 여러 세대 동안 숨겨져
있었으나 이제는 그 분의 성도들에게 들어났습니다“ (골로 1, 26). 그러므로 바오로
서간에 나타난 ‘신비’ 란 그리스도 안에서 실현된 하느님의 숨겨진 구원 경륜이며,
신비인 그리스도는 교회 안에서 현존한다.
* 참고 : 한국가톨릭대사전 제7권 1995년 판
- 계 속 -
'그리스도의 생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42회 " (0) | 2011.08.30 |
---|---|
" 그리스도론 / 성사 54회 " (0) | 2011.08.29 |
" 하느님은 사랑이 십니다 40회 " (0) | 2011.08.14 |
" 그리스도론 / 교회 52회 " (0) | 2011.08.14 |
" 하느님은 사랑 이십니다. 39회 " (0) | 2011.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