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 성 안드레아 축일
복음: 마태 4,18-22: 즉시 그물을 버리고 그분을 따랐다
안드레아는 “남성적인” 이란 뜻으로 친절하고 항상 준비되어 있고 열려진 마음을 가진, 열심한 사람으로 나타난다. 벳사이다의 요나의 아들이며(마태 16,17), 베드로의 동생이었다. 그는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고, 거기에서 사도 요한을 알았으며 그와 함께 처음으로 예수를 따랐고, 베드로를 예수님께 인도하였다(요한 1,35-42).
사도단에서 안드레아 사도의 역할을 그리 많지 않으나 매우 의미 있는 일들이었다. 굶주린 군중 앞에 안드레아는 예수께 어린 아이가 보리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고 말씀드린 일이 있다. 여기서 예수께서는 그 아이가 내어놓은 보리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오천 명을 배부르게 하신 기적을 행하셨다.
전승에 의하면 안드레아 사도가 자신의 사도직을 그리스와 소아시아에서 폈다고 전하고 있다. 이 전승에 의하면 사도는 소위 “성 안드레아의 십자가”라는 X형으로 된 십자가 위에서 Patrasso에서 순교하였다고 한다. 바오로 6세 교황은 성 베드로 성당에 보관되어 있던 안드레아 사도의 유해를 동방 교회에 되돌려 주었고, 후에 Patrasso로 옮겼다.
안드레아 사도는 사도들 중에 첫째 “선교사”였다. 처음 부름 받을 때 함께 있던 사도 요한이 그것을 증언하고 있다. 예수님을 만나고 즉시 안드레아는 자기 형 시몬에게 증언하고 있다: “우리는 메시아를 만났소!” 그리고 그를 예수께 데려 갔다(요한 1,41).
우리의 성체성사도 “우리는 주님을 만났다!”는 것을 증거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지향으로 미사에서 출발하지 않고, 다른 형제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하여 그들이 우리와 함께 아버지의 식탁에 모이도록 서두르지 않는다면 소용없는 것으로 남게 될 것이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부르시고 계시다. 제자들은 예수님의 부르심을 받자마자 곧바로 그물을 버렸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에게 이런 즉각적인 순종을 바라신다. 그러면 이 가난한 두 어부가 버렸으면 무엇을 얼마나 많이 버렸겠는가 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보아야 할 것은 사람의 재산보다도 그 마음이다. 자기 자신을 위해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 사람은 많은 것을 버린 것이다.
그러므로 베드로와 안드레아가 탐내는 마음과 무엇을 소유하려는 마음을 버렸을 때, 그들은 많은 것을 버린 것이다. 자기가 소유한 것과 그것을 가지려는 마음 자체를 버리는 사람은 많은 것을 버린 사람이다. 그러기에 예수님을 따른 그 가난한 사람들은, 예수님을 따르지 않아 마음대로 탐낼 수 있었던, 그들보다 잘 사는 사람들이 가진 것만큼 많이 버렸다. 그 버림을 얼마나 큰마음으로 이루었느냐 이다.
“나를 따라오너라. 내가 너희를 사람 낚는 어부로 만들겠다.”(19절) 이 말씀을 따라 어부들은 하늘의 아버지를 얻기 위해 세상의 아버지를 떠났다. 그리고 세속적인 낚시에서 거룩한 낚시로 바뀌었다. 주님께서는 그들이 물고기를 낚듯이 인류의 구원을 위해 깊은 오류의 바다에서 사람들을 낚도록 부르셨다. 그리고 사람들을 미혹시키는 세상, 늘 위험이 도사리고 있으며 누구에게도 안전하지 않은 세상에서 그들이 하느님 말씀의 그물로 사람을 잡도록 사도로 삼으셨다.
사도들은 즉시 그물을 버림으로써 세상의 것을 소유한 채로는 누구나 거룩한 것에 도달할 수 없다는 교훈을 우리에게 가르치고 있다.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이렇게 살면서 결국은 “우리로서는 보고 들은 것을 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사도 4,20)하고 자신 있게 말하도록 하시려는 것이다. 자기의 모든 것을 버리고 그분을 따른 사람들의 복음선포는 은총 체험을 통한 증거이기 때문이다.
사도들의 믿음과 순종을 보자. 주님의 부르심을 받았을 때, 그들은 한창 일하던 중이었지만, 미루거나 꾸물거리지 않았다. 엘리사가 엘리야를 따라갔을 때 그랬던 것처럼(1열왕 19,20-21 참조), 그들은 ‘집에 가서 식구들하고 이야기하게 해 주십시오.’라고 하지 않았다. “그들은 곧바로 그물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랐다.”(20.22절) 하느님의 뜻 앞에는 한 치도 망설임을 허용하지 않으시는 모습이다.
오늘 지금 이 순간에도 주님께서는 우리를 부르고 계시다. 이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응답을 드리며 살고 있는지, 듣기는 하면서도 실천을 올바로 하면서 그분을 따르는지 반성해 보아야 한다. 우리도 지금 이 순간에 하느님의 뜻을 행하기 위하여 우리의 생각과 고정관념을 모두 버리고 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주님을 따른다고 하면서 자꾸 뒤를 돌아다보는 생활을 하지나 않는지 살펴보고 주님 앞에 나의 자세를 올바로 가져야 할 것이다.
좀 더 우리의 삶의 자세를 하느님 안에 이어가게 하는 삶이 될 수 있도록 주님의 도우심을 구하자.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이기심, 교만 그리고 집착을 피하면서 주님의 부르심에 언제나 응답을 드리며 실천할 수 있는 삶이 되어야 한다. 우리의 약한 신앙을 굳게 해주시도록 기도하자.
' 조욱현 신부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대림 1주간 토요일 - 추수할 일꾼들을 위해서 기도 / 조욱현 신부님 ~ (0) | 2015.12.04 |
---|---|
~ 대림 1주 수요일 빵의 기적의 의미 / 조욱현 신부님 ~ (0) | 2015.12.01 |
~ 연중 제 34주간 금요일 - 늘 깨어 있는 생활 / 조욱현 신부님 ~ (0) | 2015.11.28 |
~ 연중 제 34주간 금요일 - 시대의 표징을 보라 / 조욱현 신부님 ~ (0) | 2015.11.26 |
~ 연중 제 34주간 목요일 - 깨어 지켜 보아야 할 삶 / 조욱현 신부님 ~ (0) | 2015.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