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욱현 신부님

~ 세례자 요한의 탄생과 할례 / 조욱현 신부님 ~



12월 23일: 세례자 요한의 탄생과 할례

복음: 루가 1,57-66: 세례자 요한의 탄생과 할례

교회는 성탄 바로 전에 세례자 요한의 탄생을 배치하여 세례자 요한과 예수 그리스도와의 연결을 제시하고, 구약과 신약을 연결하는 고리로 보고 있다. 그러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이라는 정점으로 이끌어가고 있다. 오늘 복음은 세례자 요한의 탄생과 할례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며 이름을 요한이라고 지었다고 한다.

늙은 엘리사벳은 마지막 예언자를 낳았고, 젊은 처녀 마리아는 천사들의 주님을 낳았다. 아론의 자손은 광야에서 외치는 소리(이사 40,3)를 낳았고, 다윗의 자손은 권능의 하느님을 낳았다. 아이 못 낳는 여자는 죄를 탕감하는 사람을 낳았지만, 동정녀는 죄를 없애시는 분(요한 1,29)을 낳았다.







엘리사벳은 회개를 통하여 사람을 화해시키는 사람을 낳았고, 마리아는 더러운 땅을 정화시키는 분을 낳았다. 늙은 여인은 선조 야곱의 집안에 등불을 밝혔고, 요한이 바로 그 등불이다(요한 5,35). 젊은 여인 동정녀 마리아는 “의로움의 태양”(말라 3,20)을 낳았다. 오늘은 세례자 요한의 탄생 대축일이다.

세례자 요한은 “여드레째 되는 날”(59절) 할례를 받는다. 여드레째 되는 날에 받은 할례는 예수님께서 부활하시는 날 모든 피조물이 죽음에서 풀려나는 것을 예시한다. 즈카르야와 엘리사벳의 아들이 요한이라는 이름을 받은 것은 그 이름이 “하느님의 은총” 또는 “은총을 지닌 자”를 뜻하기 때문이다. 이 이름은 요한이 장차 선포할 복음의 은총, 그 은총을 세상에 내리실 주님을 가리킨다.

또한 즈카르야가 요한의 이름을 확인해 주고 입이 열려 말을 하고 하느님을 찬미한 것은 그 아기의 이름이 지닌 힘이었다. 세례자 요한은 자기 아버지에게 목소리를 되찾아 주었고, 사제에게 말하는 능력을 회복시켜 주었다. 가브리엘이 잠근 것을 갓난아기가 열었다. 요한이 태어나 할례를 받았을 때, 그의 아버지는 예언자요 사제가 되었고, 말이 쓸모 있게 되었다.

아이를 못 낳는 태에 성령께서 생기를 불어넣으시어 잉태된 기적 같은 출생은, 죽은 세상을 그리스도의 빛으로 깨우는, 회개를 외치는 요한의 설교를 말해주고 있다. 그리고 요한이 할례를 받고 이름을 받았을 때, “이웃이 모두 두려움에 휩싸였다. 그리고 이 모든 일이 유다의 온 산악 지방에서 화제가 되었다.”(65절)고 한다. 그것은 가문에서는 사용하지도 않던 요한이라는 이름을 부부가 고집하는 것과, 성전에 들어갔다가 나온 즈카르야가 벙어리가 되었다가 요한이 할례를 받던 날, 입이 열려 하느님을 찬미하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세례자 요한은 “자라면서 정신도 굳세어졌다.”(80절) 사람을 강하게 하는 것은 정신이다. “마음은 간절하나 몸이 따르지 못한다.”(마르 14,38)고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강해지고자 하는 사람은 정신이 강해져야 한다. 더구나 하느님의 운동선수인 우리는 정신이 강해져야 한다. 그래야 육체의 지혜, 하느님의 뜻을 거스르는 지혜를 이길 수 있다. 정신이 육신을 굴복시킬 수 있다. 우리가 그러해야 한다.

예수께서는 세례자 요한을 두고 이렇게 말씀하셨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여자에게서 태어난 이들 가운데 세례자 요한보다 더 큰 인물은 나오지 않았다.”(마태 11,11). 세례자 요한은 자신의 삶이 “오시는 분”(묵시 1,4)을 위해 그 길을 닦고, 준비하는 것임을 공공연히 말하면서 사신 분이시다. 그분은 어머니의 태중에서부터 성령을 가득히 받으신 분이다.

세례자 요한의 탄생은 많은 사람들에게 하느님께 대한 경외심을 갖게 한 사건이었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우리와 똑같은 사람으로 오시는 하느님의 아들의 탄생은 어떠해야 하겠는가? 또한 그분의 탄생 앞에 우리가 내어 놓아야 할 예물은 어떤 것으로 준비를 해야 하겠는가? 그분의 탄생자체가 우리 인간의 구원의 시작이며, 그분의 탄생은 이미 십자가를 품고 있는 탄생일 것이다.

세례자 요한이 먼저 와서 주님의 길을 준비하였듯이, 우리 자신 역시 그분을 바라보며, 그분의 오심을 준비하는, 길을 만드는 삶으로 다른 사람들을 주님께로 이끄는 삶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지금 이 순간을 올바로 사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