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바꾸라"가 아니라 "사람이 바뀌라"
-김찬선신부-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아주 멋진 말입니다.
얼마 전, 저는 새로운 책임자에게 프란치스코 영성학교 강의를
그만 두겠다는 뜻을 전하였습니다.
매주 강의하는 것이 부담스러운 것도 있었지만
전부터 제가 영성학교에서 강의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저는 프란치스코 영성이나 글라라 영성을 전공한 사람이 아닙니다.
전공하지 않았지만 전공하고 싶은 생각도 없습니다.
전공하지 않았지만 제가 강의 못할 것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학문적인 강의는 제가 할 자격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제 주장을 하지 객관적인 주장은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피정 강의는 할 수 있어도
학문적인 강의를 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만 두겠다고 한 더 큰 이유는
영성학교 책임자가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새로운 책임자에 대한 안 좋은 감정 때문은 아닙니다.
새로운 책임자가 새로운 학교를 만들고
새로운 강의와 학사 계획을 짜는데 있어 제가 부담되지 않기 위해서고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이처럼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라는 말에는
새로운 제도와 조직에는 물갈이가 필요하다는 뜻이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 복음에서 말씀하시는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는
이처럼 적합하지 않은 사람을 물갈이하는 것을 뜻하는 것일까요?
오늘 복음에서 새 부대는
기존의 부대를 대체하는 다른 부대가 아니라
새로워진 부대를 말하는 것입니다.
‘사람을 바꾸라!’가 아니라 ‘사람이 바뀌라!’는 얘기지요.
포도주는 새로워졌으니 부대도 새로워져야 한다는 것이겠지요.
그러면 무엇이 새 포도주입니까?
제 생각에 새 포도주는 예수님의 새로운 가르침입니다.
전과 다른 예수님의 새로운 가르침.
복음에서 주님은 자주 가르치셨습니다.
전에는 이렇게 말했지만 이제 나는 이렇게 말한다는 식으로.
요약하면 율법이 아니라 사랑입니다.
그러니 율법에 맞는 율법주의자가 아니라
이제는 사랑에 맞는 사랑 주의자가 되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사람을 법의 잣대로 판단하고 단죄하고 밀어내는 것이 아니라
사랑의 정신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안고 가는 것입니다.
법의 잣대로 사람을 갈아치는 것이 아니라
사랑의 정신으로 사람이 바뀌는 것입니다.
오늘도 저는 내 법의 잣대로 사람을 재고
내 법의 잣대에 맞는 사람이기를 요구하고
요구대로 되지 않으면 사람을 갈아치려 합니다.
그는 저의 사랑을 필요로 하는데
저는 저의 잣대를 그에게 들이댑니다.
“잘못이 아니라 고통을”을 경구삼아
새 해를 시작한지 보름이 지났지만
그래서 아침마다 이 경구를 떠올리며 하루를 시작하지만
새 해가 되었다고 새 부대가 되는 것은 아닌 모양입니다.
'김찬선(레오나르도) OFM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지치지 않고 일하는 법 / 김찬선 신부님 ~ (0) | 2016.01.22 |
---|---|
~ 남의 고통에 무감각해지는 이유 / 김찬선 신부님 ~ (0) | 2016.01.20 |
~ "오히려" / 김찬선 신부님 ~ (0) | 2016.01.17 |
~ 크고 많은 은총의 양동이를! / 김찬선 신부님 ~ (0) | 2016.01.15 |
~ 찾는 사람들을 찾아가는 / 김찬선 신부님 ~ (0) | 2016.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