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활 제2주간 목요일 (사도5,27-33)(요한 3,31-36) |
제1독서
<우리는 이 일의 증인입니다. 성령도 증인이십니다.>
▥ 사도행전의 말씀입니다.5,27-33
그 무렵 경비병들이 27 사도들을 데려다가
최고 의회에 세워 놓자 대사제가 신문하였다.
28 “우리가 당신들에게 그 이름으로 가르치지 말라고 단단히 지시하지 않았소?
그런데 보시오, 당신들은 온 예루살렘에 당신들의 가르침을 퍼뜨리면서,
그 사람의 피에 대한 책임을 우리에게 씌우려 하고 있소.”
29 그러자 베드로와 사도들이 대답하였다.
“사람에게 순종하는 것보다 하느님께 순종하는 것이 더욱 마땅합니다.
30 우리 조상들의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이 나무에 매달아 죽인 예수님을 다시 일으키셨습니다.
31 그리고 하느님께서는 그분을 영도자와 구원자로 삼아
당신의 오른쪽에 들어 올리시어, 이스라엘이 회개하고 죄를 용서받게 하셨습니다.
32 우리는 이 일의 증인입니다.
하느님께서 당신께 순종하는 이들에게 주신 성령도 증인이십니다.”
33 그들은 이 말을 듣고 격분하여 사도들을 죽이려고 하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아버지께서는 아드님을 사랑하시고 모든 것을 그분 손에 내주셨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3,31-36
31 위에서 오시는 분은 모든 것 위에 계신다.
땅에서 난 사람은 땅에 속하고 땅에 속한 것을 말하는데,
하늘에서 오시는 분은 모든 것 위에 계신다.
32 그분께서는 친히 보고 들으신 것을 증언하신다.
그러나 아무도 그분의 증언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33 그분의 증언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하느님께서 참되심을 확증한 것이다.
34 하느님께서 보내신 분께서는 하느님의 말씀을 하신다.
하느님께서 한량없이 성령을 주시기 때문이다.
35 아버지께서는 아드님을 사랑하시고 모든 것을 그분 손에 내주셨다.
36 아드님을 믿는 이는 영원한 생명을 얻는다.
그러나 아드님께 순종하지 않는 자는 생명을 보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하느님의 진노가 그 사람 위에 머무르게 된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 복음 내용은 누구의 목소리인지 좀 헷갈립니다. 어제로 니코데모와 예수님의 담화는 끝을 맺고, 뒤이어 잠시 예수님에 대한 세례자 요한의 증언(요한 3,22-30)이 나오더니 곧 오늘의 대목으로 이어집니다. 그러니 세례자 요한의 증언이 계속되는 것일 수도 있고, 당신을 3인칭으로 표현하시는 예수님의 목소리일 수도 있고, 복음사가의 직접적인 해설이 될 수도 있겠네요. 아무튼 문맥상으로는 니코데모와의 대화와 자연스레 연결되면서 "위"와 "아래", "영"과 "육", "아버지"와 "아드님"의 관계가 잘 요약되어 있습니다.
"위에서 오시는 분은 모든 것 위에 계신다."(요한 3,31)
"모든 것"은 하늘의 일과 세상의 일 모두를 포괄합니다. "하늘에서 온 이, 곧 사람의 아들"(요한 3,13)만이 이 모두를 아우르실 수 있지요. 그분은 완전한 신성과 완전한 인성을 모두 갖추신 분이니까요. 그런데 "모든 것"에 대한 권한은 당신 스스로 만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에게서 옵니다. "아버지께서는 아드님을 사랑하시어 모든 것을 그분 손에 내주셨"(요한 3,35)기 때문입니다.
"하느님께서 보내신 분께서는 하느님의 말씀을 하신다. 하느님께서 한량없이 성령을 주시기 때문이다."(요한 3,34)
보내어진다는 것, 파견을 받는 것은 보내신 분, 파견하신 분의 목소리가 되는 것입니다. 현존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아무것도 당신 뜻대로 하시지 않고 "아버지께서 하시는 것을 그대로 할 따름"(요한 5,19)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누군가의 목소리가 되고 현존이 될 수 있는 원동력은 바로 "사랑"입니다. 아드님에 대한 아버지의 극진한 사랑, 제자들에 대한 예수님의 지고지순한 사랑이 아니면, 권위나 명령만으로는 절대 불가할 일입니다.
제1독서 사도행전에서는 사도들과 최고의회 구성원과의 대립이 급박하게 반복되고 있습니다. 그야말로 사도들이 풀려난 지 몇 시간만에 또 잡혀온 겁니다.
"그 이름으로 말하지 말라고 단단히 지시하지 않았소? ... 당신들은 그 사람의 피에 대한 책임을 우리에게 씌우려 하고 있소."(사도 5,28) 그들은 자기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 하고 있습니다. 보내신 분의 목소리가 사도들의 심장에서 요동을 치는데 누가 이 성령의 거룩한 충동을 억누르고 사랑의 요구를 거부할 수 있겠습니까만, 보내어진 이, 파견된 이의 심장이 되어보지 못한 이들에게는 그저 제 손으로 무덤을 파는 이해 못할 일탈일 뿐인가 봅니다.
"피에 대한 책임"
사실 이 아픈 표현은 사도들의 입에서 나온 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빌라도 앞에서 유다인들 자신이 온 백성과 함께 "그 사람의 피에 대한 책임은 우리와 우리 자손들이 질 것이오."(마태 27,25) 하고 외친 적이 있지요. 사도들은 헤로데와 빌라도, 유다인들이 하느님의 뜻을 실행한 것으로 역사를 재해석하고 있건만(사도 4,27-28), "무식하고 평범한" 사도들의 담대한 선포와 행보에 당황한 유다인 지도층은 자기 내면에 자리한 죄책감이 이 말을 소환하고 있다는 걸 미처 깨닫지 못합니다.
"사람에게 순종하는 것보다 하느님께 순종하는 것이 더욱 마땅합니다."(사도 5,29)
보내어진 이, 파견받은 이는 보내신 분, 파견하신 분의 뜻에 순종하는 것 외엔 달리 할 말도, 할 일도 없습니다. 그 존재가 이미 파견하신 분의 것이 되었기에 그렇습니다. 만일 거기에 자기 것, 제 이름과 명예와 업적을 섞게 되면 보내어진 이로서 그의 소명은 빛을 잃고 한갓 "사람의 일, 세상 일"로 전락해 버릴 겁니다.
사랑하는 벗님 여러분, 우리는 하느님의 부르심과 은사를 받고 사도로 파견된 이들 중에 초심을 잃고 자기 영예를 추구함으로써 그 은사를 잃어버리고 추락하게 된 이들을 우리 주위에서 가끔 보게되지요. 그러니 우리가 받은 은사와 그 은사를 통한 영적 · 사도적 결실 앞에서 끊임없이 더욱 겸손해지고 하느님께 감사와 영광을 돌려드리는데 소홀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깨어지켜야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아무도 이미 놓인 기초 외에 다른 기초를 놓을 수 없습니다. 그 기초는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영성체송) 아멘.
'오상선(바오로) 신부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부활 제 2주간 토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04.30 |
---|---|
~ 부활 제 2주간 금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04.29 |
~ 부활 제 2주간 수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04.27 |
~ 부활 제 2주간 화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04.26 |
~ 부활팔일 축제내 토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