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상선(바오로) 신부님

~ 성 바르나바 사도 기념일 / 오상선 신부님 ~

성 바르나바 사도 기념일 (사도 11,21ㄴ-26; 13,1-3 / 마태10,7-13)

제1독서

<바르나바는 착한 사람이며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사람이었다.>
▥ 사도행전의 말씀입니다.11,21ㄴ-26; 13,1-3
그 무렵 21 많은 수의 사람이 믿고 주님께 돌아섰다.
22 예루살렘에 있는 교회는 그들에 대한 소문을 듣고,
바르나바를 안티오키아로 가라고 보냈다.
23 그곳에 도착한 바르나바는 하느님의 은총이 내린 것을 보고 기뻐하며,
모두 굳센 마음으로 주님께 계속 충실하라고 격려하였다.
24 사실 바르나바는 착한 사람이며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사람이었다.
그리하여 수많은 사람이 주님께 인도되었다.
25 그 뒤에 바르나바는 사울을 찾으려고 타르수스로 가서,
26 그를 만나 안티오키아로 데려왔다.
그들은 만 일 년 동안 그곳 교회 신자들을 만나며
수많은 사람을 가르쳤다.
이 안티오키아에서 제자들이 처음으로 ‘그리스도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3,1 안티오키아 교회에는 예언자들과 교사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바르나바, 니게르라고 하는 시메온, 키레네 사람 루키오스,
헤로데 영주의 어린 시절 친구 마나엔, 그리고 사울이었다.
2 그들이 주님께 예배를 드리며 단식하고 있을 때에
성령께서 이르셨다.
“내가 일을 맡기려고 바르나바와 사울을 불렀으니,
나를 위하여 그 일을 하게 그 사람들을 따로 세워라.”
3 그래서 그들은 단식하며 기도한 뒤
그 두 사람에게 안수하고 나서 떠나보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0,7-13
그때에 예수님께서 사도들에게 말씀하셨다.
7 “가서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하고 선포하여라.
8 앓는 이들을 고쳐 주고 죽은 이들을 일으켜 주어라.
나병 환자들을 깨끗하게 해 주고 마귀들을 쫓아내어라.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9 전대에 금도 은도 구리 돈도 지니지 마라.
10 여행 보따리도 여벌 옷도 신발도 지팡이도 지니지 마라.
일꾼이 자기 먹을 것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11 어떤 고을이나 마을에 들어가거든,
그곳에서 마땅한 사람을 찾아내어
떠날 때까지 거기에 머물러라.
12 집에 들어가면 그 집에 평화를 빈다고 인사하여라.
13 그 집이 평화를 누리기에 마땅하면
너희의 평화가 그 집에 내리고,
마땅하지 않으면 그 평화가 너희에게 돌아올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 미사의 말 오늘 미사의 말씀에서는 주님께서 사도들에게 바라시는 바가 잘 드러납니다.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마태 10,7).

예수님께서 사도들을 세상에 파견하십니다. 그들은 예수님께서 수행하시는 복음 선포, 치유, 구마 등 하느님의 일을 할 능력을 받아가지고 길을 나섭니다. 가난하고 억압받는 민중에게 그들이 베풀게 될 구체적 능력들은 그들이 본래부터 가지고 있던 힘이 아니지요. 그것은 파견하시는 분이 당신을 대신할 이들에게 잠시 맡기신 능력입니다. 곧 파견과 동시에 위임받은 하느님의 손가락입니다.

"지니지 마라"(마태 10,9).

자기가 받은 것이 제 능력으로 쌓은 것이 아님을 잘 아는 제자들은 앞으로 필요한 것들도 주님께서 그렇게 채워주시리라는 신뢰를 내적으로만이 아니라 외적으로도 증거해야 합니다. 보통 사람에게 만약을 대비해 무언가 여분의 것을 적당히 챙겨두는 것이 죄는 아니지만, 사도들에게는 그마저도 주님 손에 다 맡기라고 하시는 듯합니다.

"마땅한 사람을 찾아내어 떠날 때까지 거기에 머물러라"(마태 10,11).

"마땅한 사람"의 조건은 저마다 차이가 있을 겁니다. 함께 머무르며 일하기에 누구에게는 이런 사람이, 또 누구에게는 저런 사람이 알맞겠지요. 각자의 성향과 소명에 걸맞는 인연을 만나는 일은 하느님께서 안배해 주셔야 가능합니다. 오늘 제1독서의 바르나바와 사울처럼 말이지요.

"착하고 믿음과 성령이 충만한 바르나바"(사도 11,24 참조)는 친히 사울을 찾아내어 새로운 길에 합류시키고 기꺼이 동료가 되어 줍니다. 사울에 대해 두려움과 의혹이 가시지 않은 이들도 바르나바를 보아서 사울을 받아들였을 것 같습니다.

"떠날 때까지"(마태 10,11).

예수님은 떠남을 전제로 말씀하십니다. 사도는 길을 떠난 사람입니다. 또 머물게 된 그곳에 안주하지 않고 다시 떠날 사람이기도 하지요. 사도의 삶은 순례길을 걷는 우리 모두의 축약판입니다.

"내가 일을 맡기려고 바르나바와 사울을 불렀으니 나를 위하여 그 일을 하게 그 사람들을 따로 세워라"(사도 13,2).

바르나바와 사울이 안티오키아 교회에서 한창 활발히 선교 활동에 전념할 때 성령께서 이르십니다. 하느님의 뜻은 그 둘이 그곳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길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떠나보냈다"(사도 13,3).

그들은 순종합니다. 지상 삶에서, 더우기 제자의 삶에서 영원한 안주란 없습니다. 바람처럼 자유로운 성령에 이끌려 하느님의 뜻이 원하시는 곳 어디로나 떠나는 것이 제자된 삶의 일부입니다.

얼마의 시간이 지난 뒤, 한때 서로에게 "마땅한 사람"이 되어 주었던 바르나바와 사울도 서로를 떠나야 할 때가 올 겁니다(사도 15,37-40 참조). 괜찮습니다. 당장은 갈등과 분열처럼 보일지라도 사심없이 주님의 뜻을 찾고 있다면 주님께서는 모두를 통해 당신의 일을 하실 것이니까요. 착하고 믿음과 성령이 충만한 바르나바 성인은 바오로 사도가 교회에 자리를 잡도록 도와준 일등공신입니다. 그래서인지 우리는 이방인 선교는 물론 초대교회의 신학적 기틀을 마련한 바오로 사도를 기릴 때 그의 진정한 파트너, 바르나바 성인도 함께 떠올리게 되지요. 바르나바 성인은 당장 자신이 빛나지 않더라도, 두각을 드러내는 존재가 꼭 자신이 아니어도 묵묵하고 충실히 하느님의 뜻을 추구한 진짜 사도입니다.

사랑하는 벗님! 바르나바 성인께 우리 모두 착하고 믿음과 성령이 충만한 사람이 되도록 전구를 청합시다.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이에게 기꺼이 손 내밀 수 있고, 그의 곁에서 충직한 협조자로 머무를 수 있는 겸손도 얻어주십사고 청합시다. 주님께 받은 것으로 만족하며 기꺼이 나눌 줄 알고, 또 머무를 때와 떠날 때를 아는 지혜도 청합시다.

성 바르나바,
저희를 위하여 빌어 주소서.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