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상선(바오로) 신부님

~ 사순 제 4주간 화요일 / 오상선 신부님 ~

사순 제4주간 화요일 (에제 47,1-9.12)(요한 5,1-16)

 

 

 

제1독서:성전 오른쪽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보았네. 그 물이 닿는 곳마다 모두 구원을 받았네(파스카 성야 세례 서약 갱신 후 노래)
  ▥ 에제키엘 예언서의 말씀입니다. 47,1-9.12
그 무렵 천사가 1 나를 데리고 주님의 집 어귀로 돌아갔다. 이 주님의 집 정면은 동쪽으로 나 있었는데, 주님의 집 문지방 밑에서 물이 솟아 동쪽으로 흐르고 있었다. 그 물은 주님의 집 오른쪽 밑에서, 제단 남쪽으로 흘러내려 갔다. 2 그는 또 나를 데리고 북쪽 대문으로 나가서, 밖을 돌아 동쪽 대문 밖으로 데려갔다. 거기에서 보니 물이 오른쪽에서 나오고 있었다.
3 그 사람이 동쪽으로 나가는데, 그의 손에는 줄자가 들려 있었다. 그가 천 암마를 재고서는 나에게 물을 건너게 하였는데, 물이 발목까지 찼다. 4 그가 또 천 암마를 재고서는 물을 건너게 하였는데, 물이 무릎까지 찼다. 그가 다시 천 암마를 재고서는 물을 건너게 하였는데, 물이 허리까지 찼다. 5 그가 또 천 암마를 재었는데, 그곳은 건널 수 없는 강이 되어 있었다. 물이 불어서, 헤엄을 치기 전에는 건널 수 없었다. 6 그는 나에게 “사람의 아들아, 잘 보았느냐?” 하고서는, 나를 데리고 강가로 돌아갔다.
7 그가 나를 데리고 돌아갈 때에 보니, 강가 이쪽저쪽으로 수많은 나무가 있었다. 8 그가 나에게 말하였다. “이 물은 동쪽 지역으로 나가, 아라바로 내려가서 바다로 들어간다. 이 물이 바다로 흘러들어 가면, 그 바닷물이 되살아난다. 9 그래서 이 강이 흘러가는 곳마다 온갖 생물이 우글거리며 살아난다. 이 물이 닿는 곳마다 바닷물이 되살아나기 때문에, 고기도 아주 많이 생겨난다. 이렇게 이 강이 닿는 곳마다 모든 것이 살아난다.
12 이 강가 이쪽저쪽에는 온갖 과일나무가 자라는데, 잎도 시들지 않으며 과일도 끊이지 않고 다달이 새 과일을 내놓는다. 이 물이 성전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그 과일은 양식이 되고 잎은 약이 된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그 사람은 곧 건강하게 되었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5,1-16
1 유다인들의 축제 때가 되어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올라가셨다.
2 예루살렘의 ‘양 문’ 곁에는 히브리 말로 벳자타라고 불리는 못이 있었다. 그 못에는 주랑이 다섯 채 딸렸는데, 3 그 안에는 눈먼 이, 다리저는 이, 팔다리가 말라비틀어진 이 같은 병자들이 많이 누워 있었다. (4)
5 거기에는 서른여덟 해나 앓는 사람도 있었다. 6 예수님께서 그가 누워 있는 것을 보시고 또 이미 오래 그렇게 지낸다는 것을 아시고는, “건강해지고 싶으냐?” 하고 그에게 물으셨다.
7 그 병자가 예수님께 대답하였다. “선생님, 물이 출렁거릴 때에 저를 못 속에 넣어 줄 사람이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가는 동안에 다른 이가 저보다 먼저 내려갑니다.”
8 예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일어나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거라.” 9 그러자 그 사람은 곧 건강하게 되어 자기 들것을 들고 걸어갔다. 그날은 안식일이었다. 10 그래서 유다인들이 병이 나은 그 사람에게, “오늘은 안식일이오. 들것을 들고 다니는 것은 합당하지 않소.” 하고 말하였다.
11 그가 “나를 건강하게 해 주신 그분께서 나에게,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라.’ 하셨습니다.” 하고 대답하자, 12 그들이 물었다.
“당신에게 ‘그것을 들고 걸어가라.’ 한 사람이 누구요?” 13 그러나 병이 나은 이는 그분이 누구이신지 알지 못하였다. 그곳에 군중이 몰려 있어 예수님께서 몰래 자리를 뜨셨기 때문이다.
14 그 뒤에 예수님께서 그 사람을 성전에서 만나시자 그에게 이르셨다. “자, 너는 건강하게 되었다. 더 나쁜 일이 너에게 일어나지 않도록 다시는 죄를 짓지 마라.” 15 그 사람은 물러가서 자기를 건강하게 만들어 주신 분은 예수님이시라고 유다인들에게 알렸다. 16 그리하여 유다인들은 예수님께서 안식일에 그러한 일을 하셨다고 하여, 그분을 박해하기 시작하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미사 독서들은 입당송부터 영성체송까지 온통 물 이야기로 채우고 있어, 그 안에서 맑고 밝은 생명력이 뿜어나오는 듯합니다.

갈릴래아 카나에서 돌아오신 예수님께서 축제를 지내러 예루살렘에 올라가십니다. 그리고 특별히 병자들이 모여있는 벳자타 못으로 가십니다. "그 안에는 눈먼 이, 다리저는 이, 팔다리가 말라비틀어진 이 같은 병자들이 많이 누워 있었다."(요한 5,3)고 합니다. 흡사 응급실이나 야전병원 같은 분위기가 떠오릅니다. 물론 당시 상황을 감안하면 그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열악하고 피폐한 형편이었음은 말할 나위도 없겠지요.

거기에 모인 병자들은 "이따금 주님의 천사가 그 못에 내려와 물을 출렁거리게 하는데, 물이 출렁거릴 때 맨 먼저 못에 내려가는 이는 무슨 질병에 걸렸더라도 건강하게 되었기 때문"(요한 5,4 각주)에 모여든 이들입니다. 장애가 덜해 기민하게 움직일 수 있는 이, 부축해 줄 가족이나 종을 거느린 이에게는 제법 유리한 조건일 터이고, 그들은 진작에 치유되어 그 못을 떠났을 겁니다. 그중 서른여덟 해나 앓아온 이에게 예수님의 눈길이 머무릅니다. 그 역시 처음 이곳에 왔을 때는 낫고자 하는 의지가 가득했을텐데 그 긴 시간을 그저 부러움과 자책으로 보내다 이제는 무기력만 남은 듯 보입니다.

"건강해지고 싶으냐?"(요한 5,6)

예수님께서 그의 원의를 물으십니다. 강렬하고 순수하고 절실했던 첫 바람을 일깨우시려는 것입니다. 그러나 오랜 시간 좌절과 실망을 쌓아온 그는 순수하고 단순한 응답 대신 여태 이러고 있을 수밖에 없는 이유를 구구절절 설명합니다. 도와줄 이가 없어서 그렇다는 원망이 살짝 섞여 있기도 하지요.

예수님은 아무 조건 없이 그를 고쳐 주십니다. 원망 섞인 동문서답 이면에 자리한 바람을 읽으셨기 때문입니다. 출렁이는 연못의 물이 물리적으로 몸에 직접 닿아야 낫는다고 믿는 이에게, 생명의 물이신 분이 다가오셔서 말씀으로 치유해 주신 것입니다. 진정 치유는 매개물을 통하건 통하지 않건 궁극적으로 하느님의 업적임이 드러납니다. 이제는 낫기 위해 요행을 바라며 다른 병자들과 경쟁하기보다 몸소 생명의 물이 되신 예수님을 만나고 믿으면 살아난다는 진리가 선포되는 순간입니다.

훗날 십자가 위에서 예수님은 옆구리의 상처를 통해 세상으로 피와 물을 흘려보내셨습니다. 에제키엘 예언서의 가장 아름다운 대목 중 하나인 오늘의 독서 말씀이 이를 미리 보여줍니다.

"주님의 집 문지방에서 물이 솟아"(에제 47,1)나는데, "이 강이 닿는 곳마다 모든 것이 살아난다"(에제 47,11)고 합니다. 우리가 매일 마시고 쓰는 물이 그렇듯이, 예수님께서 주시는 물은 세상을 정화하고 치유하고 풍요롭게 되살립니다. 복음의 병자가 연못의 물이 아니라 예수님의 말씀으로 치유되어 새 삶을 살게 된 것처럼 말입니다.

그런데 이 치유는 예수님 박해의 전주곡이 되어 버립니다. "너는 치유를 받아 네 힘으로 짐을 챙겨 걸어갈 만큼 건강해졌으니, 이제 그만 여기를 떠나도 된다."는 뜻으로 "일어나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거라."(요한 5,8) 하셨는데, 여기서 곡해가 일어난 것입니다.

유다인들이 서른여덟 해나 앓던 이가 멀쩡히 걸어가는데도 축하와 격려를 건네기는 커녕 안식일에 들것을 들었다고 지적하자, 병이 나은 이는 당장 위기를 모면하고자 예수님이 시키신 것이라고, 그분 말씀을 문자 그대로 전합니다. 들것을 들고 가라는 말씀의 의미보다 그렇게 문자의 외피만을 전하다보니 다른 의혹을 불러일으키게 됩니다.

게다가 그는 자기를 고쳐주신 예수님의 신원을 유다인들에게 알려주기까지 합니다. 분명 예수님께서 "자, 너는 건강하게 되었다. 더 나쁜 일이 너에게 일어나지 않도록 다시는 죄짓지 마라"(요한 5,14) 하셨고, 그분에 대한 유다인들의 의도를 모르지 않았을 텐데 생명의 은인을 고자질하는 모습이 사실 적잖게 당혹스럽습니다. 육신의 병은 나았을지 몰라도 여전히 영혼은 비틀려 있었던 걸까요? 아니면 자기가 무슨 말을 하는지도 모르면서 책임을 면하는데 급급했던 걸까요?

예수님 삶이 그랬고 우리 인생사가 그렇듯이, 하느님의 뜻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많은 사람과 사건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그 역시 유다나 가야파나 빌라도처럼 구원사에서 부정적이나마 제 역할을 한 것이라면 연민이 들기도 하고요.

사랑하는 벗님 여러분, 예수님은 생명이십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자비와 사랑이신 예수님께서 주신 당신의 생명으로 치유받고 회복되어 날아갑니다. 그런데 과연 우리가 진정으로 책임 있게 그 생명을 누리며 사는지 돌아보게 됩니다. 우리를 되살리고 고치시려고 부어주신 은총을 과연 하느님께 감사로 되돌려 드리는지, 아니면 그분 앞에 걸림돌을 놓는지 깊이 깊이 바라보는 사순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