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우리가 무엇을 청하든지 하느님께서 들어 주신다.> ▥ 요한 1서의 말씀입니다. 5,14-21 사랑하는 여러분, 우리가 하느님의 아드님에 14 대하여 가지는 확신은 이것입니다. 우리가 무엇이든지 그분의 뜻에 따라 청하면 그분께서 우리의 청을 들어 주신다는 것입니다. 15 우리가 무엇을 청하든지 그분께서 들어 주신다는 것을 알면, 우리가 그분께 청한 것을 받는다는 것도 압니다. 16 누구든지 자기 형제가 죄를 짓는 것을 볼 때에 그것이 죽을죄가 아니면, 그를 위하여 청하십시오. 하느님께서 그에게 생명을 주실 것입니다. 이는 죽을죄가 아닌 죄를 짓는 이들에게 해당됩니다. 죽을죄가 있는데, 그러한 죄 때문에 간구하라고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17 모든 불의는 죄입니다. 그러나 죽을죄가 아닌 것도 있습니다. 18 하느님에게서 태어난 사람은 아무도 죄를 짓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는 압니다. 하느님에게서 태어나신 분께서 그를 지켜 주시어 악마가 그에게 손을 대지 못합니다. 19 우리는 하느님께 속한 사람들이고 온 세상은 악마의 지배 아래 놓여 있다는 것을 압니다. 20 또한 하느님의 아드님께서 오시어 우리에게 참되신 분을 알도록 이해력을 주신 것도 압니다. 우리는 참되신 분 안에 있고 그분의 아드님이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습니다. 이분께서 참하느님이시며 영원한 생명이십니다. 21 자녀 여러분, 우상을 조심하십시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신랑 친구는 신랑의 목소리를 듣게 되면 크게 기뻐한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3,22-30 그때에 22 예수님께서는 제자들과 함께 유다 땅으로 가시어, 그곳에서 제자들과 함께 머무르시며 세례를 주셨다. 23 요한도 살림에 가까운 애논에 물이 많아, 거기에서 세례를 주고 있었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가서 세례를 받았다. 24 그때는 요한이 감옥에 갇히기 전이었다. 25 그런데 요한의 제자들과 어떤 유다인 사이에 정결례를 두고 말다툼이 벌어졌다. 26 그래서 그 제자들이 요한에게 가서 말하였다. “스승님, 요르단 강 건너편에서 스승님과 함께 계시던 분, 스승님께서 증언하신 분, 바로 그분이 세례를 주시는데 사람들이 모두 그분께 가고 있습니다.” 27 그러자 요한이 대답하였다. “하늘로부터 주어지지 않으면 사람은 아무것도 받을 수 없다. 28 ‘나는 그리스도가 아니라 그분에 앞서 파견된 사람일 따름이다.’ 하고 내가 말한 사실에 관하여, 너희 자신이 내 증인이다. 29 신부를 차지하는 이는 신랑이다. 신랑 친구는 신랑의 소리를 들으려고 서 있다가, 그의 목소리를 듣게 되면 크게 기뻐한다. 내 기쁨도 그렇게 충만하다. 30 그분은 커지셔야 하고 나는 작아져야 한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주님 세례축일을 앞두고 교회의 전례는 세례자 요한의 이야기를 요한 복음을 통하여 전하고 있습니다. 세례자 요한의 제자들은 이미 요르단 강에서 세례를 받으셨던 예수님에 대한 근황을 스승에게 전해주고 있습니다. “스승님, 요르단 강 건너편에서 스승님과 함께 계시던 분, 스승님께서 증언하신 분, 바로 그분이 세례를 주시는데 사람들이 모두 그분께 가고 있습니다.”(요한 3,26) 제자들 사이에는 자신들의 스승이 최고이고 빛나기를 바라는 것은 세상의 같은 심리일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자신들의 스승을 제치고 인기가 올라가는 것이 걱정되는 눈치도 담겨 있습니다. 그런데 세례자 요한의 대답은 제자들의 예상을 넘어섭니다. “신부를 차지하는 이는 신랑이다. 신랑 친구는 신랑의 소리를 들으려고 서 있다가, 그의 목소리를 듣게 되면 크게 기뻐한다. 내 기쁨도 그렇게 충만하다. 그분은 커지셔야 하고 나는 작아져야 한다.” (요한 3,29-30) 세례자 요한은 참으로 겸손한 사람입니다. 자신을 한 없이 낮추는 모습에서 우리는 감명을 받습니다. ‘그분은 커지셔야 하고 나는 작아져야 한다.’라는 삶의 깨달음이라 고백이 있다면 우리도 세례자 요한의 겸손을 따를 수 있겠지요. 겸손한 사람은 나 외의 대상을 존중하고 사랑할 수 있습니다. 내 교만이 그 반대로 상대를 깎아내리고 망가트릴 수 있습니다. 그 겸손이 인간에게서 나왔다면 그 뿌리가 약해서 결국 인간적인 욕심을 벗어나지 못하고 다시 교만이나 자만으로 시들어 버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겸손이 하느님께 둔다면 시들지 않는 바탕으로 사랑을 가꿀 수 있겠지요. 세례자 요한은 탄생으로부터 이미 하느님에게 속한 사람으로서 예수님을 알아 보고 그분을 존중했던 것입니다. 새 사제가 되기 전에 받았던 대품 피정 중에 지도신부님께서 하셨던 말씀을 잊지 않고 저의 원칙으로 삼은 것이 있습니다. ‘내가 인간적으로 밉고 또 시기의 대상이 되더라도 그 상대가 능력이 있으면 그것 자체를 인정하고 길러주어라. 만일 그것을 죽여 버린다면 하느님 앞에 큰 잘못을 저지르는 것이다.’라는 말씀이었습니다. 세례자 요한은 예수님에 대해서 자신의 제자들이 경쟁의 대상으로 부추기려 했지만 그분은 주님을 아셨던 것이지요. 바로 하느님의 사람이었기 때문입니다. 세례자 요한으로 말미암아 우리 주님께서는 ‘하느님의 어린양’으로 그리고 ‘크신 분’으로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입니다. 주님의 세례축일을 앞 두고 우리가 묵상할 것은 세례자 요한의 겸손과 주님께 대한 고백입니다. 그 어떤 세력이나 세상의 것도 그분을 흔들어 놓지 못했습니다. 그분은 정의와 겸손을 가지신 분으로 주님의 선구자 역할을 충실히 하셨던 것입니다. -정인준 신부님 - |
'여러 신부님들의 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님 공현 후 토요일 / 반영억 신부님 ~ (0) | 2025.01.11 |
---|---|
~ 주님 공현 대축일 후 토요일 / 송영진 신부님 ~ (0) | 2025.01.11 |
~ 주님 공현 대축일 후 금요일 / 김동희 신부님 ~ (0) | 2025.01.10 |
~ 주님 공현 대축일 후 금요일 / 이영근 신부님 ~ (0) | 2025.01.10 |
~ 주님 공현 대축일 후 금요일 / 이수철 신부님 ~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