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러 신부님들의 강론

~ 연중 제 5주간 목요일 / 송영진 신부님 ~

<연중 제5주간 목요일 강론>(2025. 2. 13. 목)(마르 7,24-30)


복음
<상 아래에 있는 강아지들도 자식들이 떨어뜨린 부스러기는 먹습니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7,24-30
그때에 24 예수님께서 티로 지역으로 가셨다.
그리고 어떤 집으로 들어가셨는데,
아무에게도 알려지기를 원하지 않으셨으나 결국 숨어 계실 수가 없었다.
25 더러운 영이 들린 딸을 둔 어떤 부인이 곧바로 예수님의 소문을 듣고 와서,
그분 발 앞에 엎드렸다.
26 그 부인은 이교도로서 시리아 페니키아 출신이었는데,
자기 딸에게서 마귀를 쫓아내 주십사고 그분께 청하였다.
27 예수님께서는 그 여자에게, “먼저 자녀들을 배불리 먹여야 한다.
자녀들의 빵을 집어 강아지들에게 던져 주는 것은 옳지 않다.” 하고 말씀하셨다.
28 그러자 그 여자가, “주님, 그러나 상 아래에 있는 강아지들도
자식들이 떨어뜨린 부스러기는 먹습니다.” 하고 응답하였다.
29 이에 예수님께서 그 여자에게 말씀하셨다.
“네가 그렇게 말하니, 가 보아라. 마귀가 이미 네 딸에게서 나갔다.”
30 그 여자가 집에 가서 보니,
아이는 침상에 누워 있고 마귀는 나가고 없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송영진 모세 신부의 복음강론

 
『미신과 우상숭배에 빠지는 것은 마귀 편에 서는 것입니다.』

1) 이 이야기는, 어떤 우상 숭배자를 예수님께서 ‘하느님의 자녀’로 변화시켜 주셨다는 이야기입니다.

여기서 “티로 지역, 이교도, 시리아 페니키아 출신, 강아지들”이라는 말들은,
이 이야기에 나오는 여자가 ‘우상을 숭배하고 있는 이방인’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수님의 소문’은, 예수님께서 병자들을 고쳐 주시고, 마귀들을 쫓아내신다는 소문일 것입니다.
“자녀들의 빵을 집어 강아지들에게 던져 주는 것은 옳지 않다.” 라는 말씀은,
“하느님의 은총을 우상 숭배자들에게 줄 수는 없다.” 라는 뜻입니다.
‘자녀들’은 ‘하느님을 믿고 있는 사람들’이고, ‘강아지들’은 ‘우상 숭배자들’입니다.


<이 말씀은, “너는 지금 우상을 숭배하고 있으니 하느님께 은총을 청할 자격이 없다.” 라는 뜻으로
하신 말씀입니다.> 이 말씀은, 산상 설교에 있는 다음 말씀에 연결됩니다.


“거룩한 것을 개들에게 주지 말고, 너희의 진주를 돼지들 앞에 던지지 마라.
그것들이 발로 그것을 짓밟고 돌아서서 너희를 물어뜯을지도 모른다(마태 7,6).” 이 말씀에서,
‘개들, 돼지들’은 우상 숭배자들을 뜻합니다.
‘거룩한 것, 진주’는 하느님의 은총, 예수님의 복음, 성사 등을 뜻합니다.
“그것들이 발로 그것을 짓밟고 돌아서서 너희를 물어뜯을지도 모른다.” 라는 말씀은,
우상 숭배자들이 하느님을 모독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성경에서 우상 숭배자들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하는 ‘개들’은 떠돌아다니는 ‘들개’입니다.
예수님 말씀의 ‘강아지’는 집에서 키우는 애완견입니다.
여자를 배려하기 위해서 표현을 조금 바꾸신 것 같습니다.>


“먼저 자녀들을 배불리 먹여야 한다.” 라는 말씀은,
여기서는 “먼저 자녀가 되어라.”로 해석됩니다.
<“자녀들의 빵을 먹고 싶다면 먼저 자녀가 되어라. 강아지인 채로는 그 빵을 먹을 수 없다.”입니다.
즉 “하느님께 은총을 청하려면 먼저 하느님의 자녀가 되어라.”입니다.
우상 숭배를 버리지 않은 상태에서 하느님께 은총을 청하는 것은,
하느님을 모독하는 죄를 짓는 일이 될 뿐입니다.>

2) 여자 입장에서는 예수님 말씀이 ‘거절’로 들릴 수도 있었고, 자존심이 상하는 말씀이 될 수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여자는 ‘절박한 심정’ 때문에 물러서지 않고 끈질기게 간청했습니다.
<자존심을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는 것입니다.>
“상 아래에 있는 강아지들도 자식들이 떨어뜨린 부스러기는 먹습니다.” 라는 말은,
“은총의 부스러기라도 주십시오.” 라고 간청하는 말입니다.


이 말은, 자신이 ‘강아지’ 라는 것을 인정한다는 뜻이기도 하고,
이제부터는 우상 숭배를 버리고 하느님의 자녀가 되겠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예수님께서 ‘강아지’ 라는 표현을 사용하신 것은
여자를 변화시키기 위한 충격 요법과 같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우상 숭배가 얼마나 헛되고 어리석은 일인지를 깨닫게 하기 위한 충격 요법.
예수님과 여자 사이에 더 많은 대화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어떻든 여자는 예수님께서 이끄시는 대로 잘 따라와서 변화되었고,


올바른 믿음을 갖게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여자가 간청한 은총도 주셨고, 청하지 않았던 은총도 주셨습니다.
여자가 하느님의 자녀로 변화된 일은, 여자 자신이 생각하지 못했고,
청하지 않았던 은총인데, 딸에게서 마귀를 쫓아낸 것보다 더 큰 은총입니다.>

3) ‘우상 숭배’에 관해서 바오로 사도는 이렇게 말합니다.

“우상에게 바쳤던 제물이 무엇이라도 된다는 말입니까?
우상이 무엇이라도 된다는 말입니까? 아닙니다.
사람들이 바치는 제물은 하느님이 아니라 마귀들에게 바치는 것이라는 말입니다.
나는 여러분이 마귀들과 상종하는 자가 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이 주님의 잔도 마시고 마귀들의 잔도 마실 수는 없습니다.
여러분이 주님의 식탁에도 참여하고 마귀들의 식탁에도 참여할 수는 없습니다(1코린 10,19ㄴ-21).”


우상은 ‘아무것도 아닌 것’이지만, 우상 숭배는 ‘아무것도 아닌 일’이 아니라, 마귀들을 섬기는 일입니다.
<하느님을 등지고 마귀들을 따라가는 일이라는 것입니다.>
‘아무것도 아닌 것’에게 소원을 빌고, 앞일을 물어보는 것은 주님을 배반하는 ‘큰 죄’를 짓는 일이고,
어리석은 일입니다.
<우리 교회에서 미신과 우상 숭배로 규정하는 일들에 대해서,
‘미신이 아니라 과학적인 통계다. 학문이다.’ 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는데,
그렇게 주장하는 것 자체가 마귀의 유혹에 넘어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송영진 모세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