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하느님처럼 되어서 선과 악을 알게 될 것이다.>
▥ 창세기의 말씀입니다.3,1-8
1 뱀은 주 하느님께서 만드신 모든 들짐승 가운데에서 가장 간교하였다.
그 뱀이 여자에게 물었다.
“하느님께서 ‘너희는 동산의 어떤 나무에서든지
열매를 따 먹어서는 안 된다.’고 말씀하셨다는데 정말이냐?”
2 여자가 뱀에게 대답하였다.
“우리는 동산에 있는 나무 열매를 먹어도 된다.
3 그러나 동산 한가운데에 있는 나무 열매만은,
‘너희가 죽지 않으려거든 먹지도 만지지도 마라.’ 하고
하느님께서 말씀하셨다.”
4 그러자 뱀이 여자에게 말하였다. “너희는 결코 죽지 않는다.
5 너희가 그것을 먹는 날, 너희 눈이 열려 하느님처럼 되어서
선과 악을 알게 될 줄을 하느님께서 아시고 그렇게 말씀하신 것이다.”
6 여자가 쳐다보니 그 나무 열매는 먹음직하고 소담스러워 보였다.
그뿐만 아니라 그것은 슬기롭게 해 줄 것처럼 탐스러웠다.
그래서 여자가 열매 하나를 따서 먹고
자기와 함께 있는 남편에게도 주자, 그도 그것을 먹었다.
7 그러자 그 둘은 눈이 열려 자기들이 알몸인 것을 알고,
무화과나무 잎을 엮어서 두렁이를 만들어 입었다.
8 그들은 주 하느님께서 저녁 산들바람 속에 동산을 거니시는 소리를 들었다.
사람과 그 아내는 주 하느님 앞을 피하여 동산 나무 사이에 숨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예수님께서 귀먹은 이들은 듣게 하시고 말못하는 이들은 말하게 하셨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7,31-37
그때에 31 예수님께서 티로 지역을 떠나 시돈을 거쳐,
데카폴리스 지역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갈릴래아 호수로 돌아오셨다.
32 그러자 사람들이 귀먹고 말 더듬는 이를 예수님께 데리고 와서,
그에게 손을 얹어 주십사고 청하였다.
33 예수님께서는 그를 군중에게서 따로 데리고 나가셔서,
당신 손가락을 그의 두 귀에 넣으셨다가 침을 발라 그의 혀에 손을 대셨다.
34 그러고 나서 하늘을 우러러 한숨을 내쉬신 다음,
그에게 “에파타!”곧 “열려라!” 하고 말씀하셨다.
35 그러자 곧바로 그의 귀가 열리고 묶인 혀가 풀려서 말을 제대로 하게 되었다.
36 예수님께서는 이 일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그들에게 분부하셨다.
그러나 그렇게 분부하실수록 그들은 더욱더 널리 알렸다.
37 사람들은 더할 나위 없이 놀라서 말하였다.
“저분이 하신 일은 모두 훌륭하다.
귀먹은 이들은 듣게 하시고 말못하는 이들은 말하게 하시는구나.”
주님의 말씀입니다.
조재형 가브리엘 신부의 매일 묵상 체험
일주일에 한 번씩 부주임 신부님과 ‘운동치료’를 받으러 다닙니다. 부주임 신부님은 몇 개월 다니면서 몸이 많이 유연해졌습니다. 아직은 젊고, 운동신경이 좋아서입니다. 저는 같이 다니고 있지만 부주임 신부님은 할 수 있는 동작을 따라 할 수 없었습니다. 이제 나이도 들고, 운동신경이 그리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돌아오는 길에 신부님은 신용카드 이야기를 했습니다. 미국에서 신용카드를 만들려는데 그리 쉽지 않다고 합니다. 저는 제가 아는 방법을 알려 주었습니다.
저는 6년 전에 신용카드를 만들었습니다. 신문사에 있었기에 어렵지 않게 만들었습니다. 미국에서 살아온 시간과 연륜이 있기에 제게는 가능한 것이 신부님에게는 어려울 수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신부님과 이야기하면서 문득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이 떠올랐습니다. “내가 올 때까지 그가 살아 있기를 내가 바란다고 할지라도, 그것이 너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너는 나를 따라라.” 우리는 시간을 거꾸로 되돌릴 수 없습니다. 젊은 날에는 열정과 패기로 앞으로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나이가 들어 늙어감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나뭇잎이 떨어져야 봄이 온다는 것도 받아들여야 합니다.
오늘 우리는 창세기의 선악과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단순한 옛날이야기가 아니라, 오늘날 우리의 삶 속에서 여전히 반복되는 인간의 본성과 하느님과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에덴동산에서 하느님께서는 인간에게 자유 의지를 주시고,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는 명령을 주셨습니다. 그런데 왜 하느님께서는 이러한 선택의 가능성을 주셨을까요? 이것은 우리에게 깊은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단순히 로봇처럼 명령에만 따르는 존재로 창조하지 않으셨습니다.
오히려 하느님은 우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존재로 창조하셨습니다. 자유 의지는 하느님 사랑의 큰 표현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자유에는 항상 책임이 따릅니다. 아담과 하와는 그 선택의 결과로 에덴동산을 떠나야 했습니다. 오늘날 우리도 크고 작은 선택의 순간들을 마주합니다. 직장에서, 가정에서, 그리고 신앙 안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선택해야 합니다. 우리의 선택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공동체와 하느님께 영향을 미칩니다.
에덴동산에서 뱀은 하와를 유혹하며 하느님의 말씀을 왜곡했습니다. "너희가 절대로 죽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너희 눈이 밝아져 하느님처럼 될 것이다"라는 말은 인간의 마음 깊숙한 욕망을 건드렸습니다. 금지된 것을 탐하려는 본성은 오늘날에도 우리 안에 존재합니다. 우리 각자는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형태의 유혹을 마주합니다. 금지된 것에 대한 욕망, 물질적 성공에 대한 갈망, 그리고 하느님과 멀어지게 하는 선택들입니다.
이를 ‘판도라의 상자’에서 알 수 있습니다. 판도라는 상자를 열지 말라는 말을 들었지만, 너무 궁금했습니다. 결국 판도라는 상자를 열었습니다. 그러자 상자 안에서는 인간을 파멸로 이끄는 것들이 나왔습니다. 질병, 슬픔, 죽음, 가난 등 인간의 삶에 불행과 고통을 가져오는 모든 형태의 어려움이 상자에서 퍼져 나왔습니다. 이는 인간이 처음으로 완벽했던 삶(에덴동산과 유사한 평화)을 잃고, 고통과 투쟁을 겪게 되는 이야기를 상징합니다.
그러나 상자에 남아 있던 마지막 요소는 바로 희망(엘피스, Ἐλπίς)이었습니다. 이는 인간이 모든 재앙과 고난 속에서도 앞으로 나아가고, 극복할 가능성과 위안을 상징합니다. 이러한 유혹을 직면할 때 우리는 하느님의 말씀과 기도를 통해 극복할 수 있습니다.
선악과 이야기는 단지 인간의 실패로 끝나지 않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아담과 하와를 벌하시지만, 동시에 가죽옷을 만들어 주시며 보호하셨습니다. 이처럼 하느님은 우리의 약함과 실패 속에서도 우리를 사랑하시며, 구원의 길을 열어주십니다. 이 이야기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됩니다. 아담의 불순종으로 시작된 죄는 예수님의 순종으로 극복되었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를 통해 새로운 생명을 얻고, 하느님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선악과 이야기는 우리의 삶 속에서 매일 반복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자유로운 선택의 순간마다 하느님의 뜻을 따를지, 아니면 우리의 욕망을 따를지 결정해야 합니다. 그러나 기억하십시오, 하느님은 언제나 우리를 사랑하시며, 우리가 잘못된 선택을 했을 때도 돌아올 길을 열어주십니다. 우리의 선택이 하느님과의 관계를 더 깊게 하고, 공동체를 사랑으로 이끌어가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그에게 ‘에파타!’곧 ‘열려라!’ 하고 말씀하셨다. 그러자 곧바로 그의 귀가 열리고 묶인 혀가 풀려서 말을 제대로 하게 되었다. 저분이 하신 일은 모두 훌륭하다. 귀먹은 이들은 듣게 하시고 말 못 하는 이들은 말하게 하시는구나.”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여러 신부님들의 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 반영억 신부님 ~ (0) | 2025.02.14 |
---|---|
~ 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 이영근 신부님 ~ (0) | 2025.02.14 |
~ 연중 제 5주간 금요일 /성 치릴로 수도자와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 송영진 신부님 ~ (0) | 2025.02.14 |
~ 연중 제 5주간 금요일 - 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 정인준 신부님 ~ (0) | 2025.02.14 |
~ 연중 제 5주간 목요일 / 이수철 신부님 ~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