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러 신부님들의 강론

~ 연중 제 7주간 월요일 / 반영억 신부님 ~

 연중 제 7주간 월요일. 반영억 라파엘 신부님.

열매를 맺는 기도

 

 

 

어느 날, “신부님은 기도를 많이 하십니까?” 하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얼른 대답하지 못했습니다. 실은 기도를 소홀히 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남에게는 기도하라고 하면서도 정작 본인은 기도를 소홀히 하였으니 속을 보인 것 같아 부끄러웠습니다. 실은 누가 기도를 부탁하면 “예, 기도해 드리죠.” 대답하고는 잊어버린 때도 있었습니다. 오늘은 죄송한 마음으로 그 잊었던 이들을 위해 기도합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기도를 합니다. 그러나 기왕 기도할 바에야 효과 있는 기도, 응답받는 기도를 해야 합니다. 그저 입으로 하는 기도가 아니라 ‘되는 기도'를 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너희가 기도하며 청하는 것이 무엇이든 그것을 이미 받은 줄로 믿어라. 그러면 너희에게 그대로 이루어질 것이다”(마르11,24). 하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응답받지 못하였다는 것은 믿음으로 기도하지 않았다는 말이 됩니다. 하느님의 능력을 확신하지 못하고 그저 반신반의하는 태도로는 기도의 결실을 얻을 수 없습니다.

 

 

 

“우리가 그분에 대하여 가지는 확신은 이것입니다. 우리가 무엇이든지 그분의 뜻에 따라 청하면 그분께서 우리의 청을 들어주신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그분께서 들어주신다는 것을 알면, 우리가 그분께 청한 것을 받는다는 것도 압니다”(1요한5,15). 그러므로 “기도할 때 온 마음을 기울여 기도에 집중하고 정신을 차려야 합니다. 기도의 대상인 하느님 외에는 아무것에도 기웃거리거나 마음을 빼앗겨서는 안 됩니다”(성 치쁘리아노). 따라서 기도 하려거든 믿음으로 해야 합니다. 믿고 바라고, 믿고 감사하고, 믿고 기뻐하고, 믿고 사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예수님께서 더러운 영을 쫓아내시고 집에 들어가셨을 때 제자들이 그분께 “어째서 저희는 그 영을 쫓아내지 못하였습니까?”하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예수님께서는 “그러한 것은 기도가 아니면 다른 어떤 방법으로도 나가게 할 수 없다”(마르9,28-29).대답하셨습니다. 더러운 영을 쫓아내는 가장 효과적인 힘은 바로 기도에서 나오는데 기도란 무엇보다도 모든 것을 가능케 하시는 하느님께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합니다. 더러운 영을 쫓아내는 능력은 하느님에게서 오는 것입니다. 기도는 하느님의 뜻을 찾는 것이기도 하지만 하느님께 의탁하는 것이고 내어 맡기는 것입니다. 우리들 마음 안에 파고드는 더러운 영의 세력, 즉 누군가를 향한 시기, 질투, 분노, 미움, 증오, 적개심, 탐욕, 교만 등이 느껴질 때 더욱 기도할 줄 알아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들의 믿음은 복음에 바탕을 둔 믿음이 아니라 기복적인 믿음, 또는 신심 위주, 활동 중심의 믿음에 끌려다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경 말씀을 믿고 받아들이고 실천하는 믿음으로 거듭나야 합니다.

 

 

 

우리는 기도를 통하여 하느님과의 관계를 맺고 그 관계 안에서 하느님의 힘과 능력을 받게 됩니다. 그러나 기도를 소홀히 하기 시작하면 하느님을 멀리하게 되고, 그분의 도움을 필요하지 않게 되며 뿐만 아니라 하느님의 존재를 의식하지 않게 되고 내 멋대로 살아가게 됩니다. 결국, 하느님의 힘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기도는 하느님의 능력이 우리에게 이르는 통로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기도해야 합니다. “비록 잘못에 떨어졌다 할지라도 기도하기를 그쳐서는 절대 안 됩니다. 그 잘못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는 유일한 힘은 꾸준히 계속되는 기도를 통해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예수의 성녀 데레사).

 

 

 

하루를 기도로 시작하고 기도로 끝맺음하는 가운데 기쁨을 차지하시길 바랍니다. 기도할 때 비로소 하느님의 능력이 우리를 통해 다른 이들에게 전해질 수 있습니다. 무엇인가 성공했다 하더라도 기도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우리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무던히 참아주시는 하느님을 생각하며 다시 그분에게로 돌아서야 하겠습니다. 더 큰 사랑을 담아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