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그는 외치지도 않으며 그 소리가 거리에서 들리게 하지도 않으리라(‘주님의 종’의 첫째 노래).> ▥ 이사야서의 말씀입니다.42,1-7 1 여기에 나의 종이 있다. 그는 내가 붙들어 주는 이, 내가 선택한 이, 내 마음에 드는 이다. 내가 그에게 나의 영을 주었으니 그는 민족들에게 공정을 펴리라. 2 그는 외치지도 않고 목소리를 높이지도 않으며 그 소리가 거리에서 들리게 하지도 않으리라. 3 그는 부러진 갈대를 꺾지 않고 꺼져 가는 심지를 끄지 않으리라. 그는 성실하게 공정을 펴리라. 4 그는 지치지 않고 기가 꺾이는 일 없이 마침내 세상에 공정을 세우리니 섬들도 그의 가르침을 고대하리라. 5 하늘을 창조하시고 그것을 펼치신 분 땅과 거기에서 자라는 온갖 것들을 펴신 분 그곳에 사는 백성에게 목숨을, 그 위를 걸어 다니는 사람들에게 숨을 넣어 주신 분 주 하느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6 “주님인 내가 의로움으로 너를 부르고 네 손을 붙잡아 주었다. 내가 너를 빚어 만들어 백성을 위한 계약이 되고 민족들의 빛이 되게 하였으니 7 보지 못하는 눈을 뜨게 하고 갇힌 이들을 감옥에서, 어둠 속에 앉아 있는 이들을 감방에서 풀어 주기 위함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이 여자를 그냥 놔두어라. 그리하여 내 장례 날을 위하여 이 기름을 간직하게 하여라.>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2,1-11 1 예수님께서는 파스카 축제 엿새 전에 베타니아로 가셨다. 그곳에는 예수님께서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다시 일으키신 라자로가 살고 있었다. 2 거기에서 예수님을 위한 잔치가 베풀어졌는데, 마르타는 시중을 들고 라자로는 예수님과 더불어 식탁에 앉은 이들 가운데 끼여 있었다. 3 그런데 마리아가 비싼 순 나르드 향유 한 리트라를 가져와서, 예수님의 발에 붓고 자기 머리카락으로 그 발을 닦아 드렸다. 그러자 온 집 안에 향유 냄새가 가득하였다. 4 제자들 가운데 하나로서 나중에 예수님을 팔아넘길 유다 이스카리옷이 말하였다. 5 “어찌하여 저 향유를 삼백 데나리온에 팔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주지 않는가?” 6 그가 이렇게 말한 것은, 가난한 이들에게 관심이 있어서가 아니라 도둑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돈주머니를 맡고 있으면서 거기에 든 돈을 가로채곤 하였다. 7 예수님께서 이르셨다. “이 여자를 그냥 놔두어라. 그리하여 내 장례 날을 위하여 이 기름을 간직하게 하여라. 8 사실 가난한 이들은 늘 너희 곁에 있지만, 나는 늘 너희 곁에 있지는 않을 것이다.” 9 예수님께서 그곳에 계시다는 것을 알고 많은 유다인들의 무리가 몰려왔다. 예수님 때문만이 아니라, 그분께서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다시 일으키신 라자로도 보려는 것이었다. 10 그리하여 수석 사제들은 라자로도 죽이기로 결의하였다. 11 라자로 때문에 많은 유다인이 떨어져 나가 예수님을 믿었기 때문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찬미예수님 오늘, 우리 삶에서 참으로 중요한 질문 하나를 함께 나눠보려 합니다. 바로 이것입니다. “진실이냐, 질서냐?” 여러분, 진실은 언제나 좋은 걸까요? 네, 좋은 것이죠. 그런데 진실이 드러날 때 항상 평화롭지만은 않습니다. 오히려 큰 혼란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우리가 그동안 유지해 오던 질서가 무너집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진실보다는 질서가 중요하다.” “조용히 넘어가자” 이렇게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정말 그렇게 살아도 될까요? 역사를 보면 이 질문이 얼마나 무겁고 깊은지 알 수 있습니다. 기원전 399년, 소크라테스는 젊은이들을 타락시킨다는 이유로 사형을 당했습니다. 그의 죄는 단 하나, 진실을 말한 것이었습니다. 그는 그 시대의 질서를 흔드는 말을 했기 때문에, 아테네는 그를 죽였습니다. 예수님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당시 율법과 전통, 종교적 권위가 유지하고 있던 질서 앞에서, 예수님은 말씀하셨습니다. “사람이 안식일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안식일이 사람을 위해 있다.” 예수님은 하느님의 진리를 말씀하셨지만, 그 진리가 당시의 종교적 질서를 흔들었습니다. 당시 지도자였던 가야파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러분은 아무것도 모르는군요. 온 민족이 멸망하는 것보다 한 사람이 백성을 위하여 죽는 것이 여러분에게 더 낫다는 사실을 여러분은 헤아리지 못하고 있소.” 그리고 또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 사람을 가만두면 로마가 오히려 우리를 무너뜨릴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았습니다. 진실은 질서를 흔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진실을 숨기려 합니다. 현대의 역사에서도 이런 일은 반복되었습니다. 20세기에도 똑같은 일이 있었습니다. 히틀러의 독재 아래에서, 독일의 교회와 시민들은 대부분 침묵했습니다. 그런데 그 침묵 속에서 일어난 건 무엇이었습니까? 강제 수용소, 유대인 학살, 참혹한 전쟁이었습니다. 이 와중에 한 신학자가 진실을 말했습니다. 디트리히 본회퍼는 말합니다. “그리스도인은 진실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질서를 지키기 위해 눈을 감는 순간, 교회는 교회가 아니다.” 결국 그는 히틀러 암살에 연루되었다는 이유로 교수형에 처했습니다. 질서를 넘어서 진실을 따랐던 사람, 그의 순교는 오늘날 우리에게 큰 울림을 줍니다. 또 다른 한 사람, 철학자 한나 아렌트는 나치 전범 재판을 보며 이런 말을 남깁니다. “악은 거대한 괴물이 아니라, 생각 없이 명령에 복종하는 평범한 사람들에 의해 자라난다.” 그녀는 이걸 ‘악의 평범함(Banality of Evil)’이라고 불렀습니다. 우리가 질서라는 이름 아래, 아무 생각 없이 침묵하고 따를 때, 그 속에서 악이 자라고 있다는 것입니다.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기억합니다. 그 진실은 오랜 시간 숨겨졌고 왜곡되었습니다. 그 당시 권력은 말했습니다. “질서를 위해서 진실은 묻어두자.”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진실이 드러났고, 우리는 더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질서’를 위한 삶이 아닙니다. 우리는 ‘진실’을 따르는 사람들입니다. 그리고 그 진실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에게 말씀하십니다.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때로는 그 진리가 우리 삶의 안정을 깨뜨릴 수 있습니다. 때로는 그 진리가 우리를 불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진실을 외면한 질서는 언젠가 무너지고 맙니다. 그러나 진실 위에 세워진 질서는 흔들리지 않습니다. 그것이 바로 하느님 나라의 질서입니다. 우리 각자에게 물어보면 좋겠습니다. 나는 지금 내 삶 속에서 진실을 따라 살고 있는가? 혹은 눈감고 진실을 외면하고 있지는 않는가? 때로는 나 자신에게 솔직하지 못하고, 가족에게, 공동체 안에서, 불편한 진실을 애써 외면하고 있지는 않는가?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침묵’이 아니라, 사랑 안에서 말하는 진실입니다. 그 진실은 아프지만, 그 진실이 우리를 살리고, 그 진실이 하느님의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갑니다. 이제 우리 모두, 진실 앞에 서서, 두려워하지 말고, 사랑으로 말하고, 믿음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진실은 아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진실이 우리를 살립니다. 그리고 우리를 자유롭게 합니다. 우리 모두 진리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며, 그분의 진실로 새 질서를 세우는 하느님 나라의 백성이 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의 길을 걸어가야 합니다. “수석 사제들은 라자로도 죽이기로 결의하였다. 라자로 때문에 많은 유다인이 떨어져 나가 예수님을 믿었기 때문이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조재형 신부님 - |
'여러 신부님들의 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성 주간 월요일 / 이영근 신부님 ~ (0) | 2025.04.14 |
---|---|
~ 성 주간 월요일 / 호명환 가를로 신부님 ~ (0) | 2025.04.14 |
~ 성 주간 월요일 / 반영억 신부님 ~ (0) | 2025.04.14 |
~ 성 주간 월요일 / 송영진 신부님 ~ (0) | 2025.04.14 |
~ 성 주간 월요일 / 정인준 신부님 ~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