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영성이야기

~ 영성 ~

1. 평상심의 영성


독서자가 큰 소리로 / 책 읽는 소리를 들으며 밥을 먹는데
식탁 위의 반찬도 / 숟가락 젓가락도
나보다 먼저 엎디어 / 기도를 바치고 있네
침묵 속에 감사하며 / 엄숙하게 먹는 밥도 수십 년이 되었건만
나는 왜 좀 더 거룩해지지 못할까 / 밥에게도 미안하네
멀리 바다가 보이고 / 창가에선 고운 새가 노래하고
나는 환히 웃으며 / 일상의 순례를 시작하네

- 이해인의 시 <수도원의 아침식탁> -


  프란치스코

교황이 남긴 트위터(2013.12.13)에

 ‘거룩함은 특별한 것을 행함을 뜻하지 않고,

사랑과 신앙으로 평범한 것을 행함을 뜻합니다.’라고 써 있습니다.

나는

그 말씀의 묵상 끝에

 

 “주님,

저의 평범한 일상이

 사랑의 지향과 행동 안에서

 아름답고 비범한 꽃으로 피어나게 하소서.” 라고 기도해 보았습니다.

  우리 글방에는

신영복 선생님이

 써주신 평상심이라는 글씨가 걸려있고,

 

성녀 소화 데레사의 자서전에

나오는 평범한 비범함에 대한 글귀들,

 

 논어에서 발췌한

수기안인(修己安人) 글씨로 만든 족자 등,

 오며 가며 볼 수 있는 좋은 글귀들이 많이 있습니다.

 

누가 내게 별도의

종이에 사인을 해 달라고 하면

 ‘늘 푸른 평상심으로 오늘도 새롭게!’ 라고 써주기도 합니다.

 

수도원에서

어느덧 반세기를 살아왔어도

 

이 평범한

비범함에 깃든

 영성을 겸손하고 인내롭게,

 

 더구나 사랑을 넣어서

살아내기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밥 먹고 청소하고

빨래하고 설거지하는 일,

 

 책을 읽고

글을 쓰고 사람을 만나는 일 등

 

 모든 것을

 다 기도하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할 때 오는 행복은

 단지 거기서만 머무르지 않고,

 

 세상의

아픔에 귀 기울이고

 이웃을 배려하고 봉사하는 일을

 가능하게 하는 단단한 기초가 되어줍니다.

  신앙의 여정에서도

 좀 더 특별한 것을 체험하고 싶고,

 

 인간관계 안에서도

 좀 더 특별한 대우를 받고 싶고,

 

문학의

 길에서도 좀 더 멋지고

특별하고 싶은 욕심과 허영심이

슬며시 고개를 들어 나를 괴롭힐 적이 있습니다.

 

 

먼저 평범하지 않고서는

 특별한 것도 있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그날이

 그날 같은 평범한 일상이

 때로는 지루한 사막처럼 여겨지기도 할 테지만,

 

나를 시간 속에

 길들이고 성숙하게 하는 것은

바로 평범함을 견디고 충실하게 사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날을

 돌아보면 평범한 길에서

멀리 있어 눈물 흘린 날들도 많았지만

 평범함의 행복을 다시 살고 또 노래할 수 있어 행복한 날들입니다.

 

한결같은 마음,

평소와 같은 마음이

 낳아 주는 수수하고도

순수한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의

 주인공이 되도록 제가 사랑하는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주님 오늘도

 제가 평범한 지루함을

견딜 수 있는 은총을 허락해 주십시오.

 

 일상에 대한 충실함이

성화의 첫걸음임을 잊지 않게 해 주소서.”하고

 기도하는데 하늘의 흰 구름이 예쁘게 손 흔들며 웃어 줍니다.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 이해인 클라우디아 수녀

 

 

2. 누가 그 음식을 먹겠느냐?

매사에

불만을 터뜨리며

남을 비방만 하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그를 보면 슬슬 피해 다녔습니다.

이런 소문은 들은

스승이 어느날 그를 불러, 이렇게 물었습니다.

“네가 맛있는 음식을

 장만해 놓고 손님을 초대했다.

 

 그런데

초대된 손님이

 음식을 먹지 않고

그대로 돌아간다면

그 음식을 어떻게 하겠는냐?”

 

“그야

 당연히 저와 집안

 식구들이 다 먹어야지요.”

“그래,

 그것과 마찬가지다.

네가 아무리 남을 헐뜯고 비방해도

 

 상대방이

 그것을 먹지 않는다면

너와 네 가족이 고스란히 먹게 되느니라.”

김영희 /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