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상선(바오로) 신부님

~ 연중 제 32주간 토요일 / 오상선 신부님 ~


오늘 미사의 말씀은 기도의 자세와 내용에 대해 이야기하십니다.

"낙심하지 말고 끊임없이 기도해야 한다."(루카 18,1)
예수님께서 포기하지 말고 끊임없이 기도하라고 이르십니다. 기도에 요구되는 자세입니다. 많은 경우 기도한 내용에 대해 즉각적으로 응답을 받지 못하면 실망해서 기도를 중단하거나 분노하며 다른 신(?)을 찾아가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지지요. 하지만 기도는 '비가 올 때까지 기우제를 지낸다'는 어느 부족의 기도 성공 비결처럼, 이루어질 때까지 지치지 않고 줄곧 드려야 하는 겁니다.   


"저와 저의 적대자 사이에 올바른 판결을 내려 주십시오."(루카 18,3)
비유 속 과부가 오만하고 무심한 재판관을 줄곧 찾아가 졸라댑니다. 누군가와 분쟁에 휘말린 듯한 그녀가 간절히 바라는 것은 "올바른 판결"입니다.


대개 재판이 벌어지면 사람들은 자기 쪽에 유리한 판결이 내려지길 바라지만 그녀는 다릅니다. 올바른 판결의 수혜자가 자신이 될 것이라는 자신감이 있어서일지 모르지만 재판이란 모름지기 끝까지 가슴 졸이며 기다리게 되기 마련이지요.

"올바른 판결"이 우리가 바치는 기도의 내용이어야 합니다. 우리가 어떤 내용으로 기도를 드려도 하느님은 "올바른 판결"을 내려 주시는 분이시니까요. 우리의 바람이 신앙과 사랑, 공동선에 합치되고 또 하느님께서 부여하신 우리 각자의 소명과도 일치한다면 그 기도에는 반드시 올바른 응답이 주어집니다.

"하느님께서 당신께 선택된 이들이 밤낮으로 부르짖는데 그들에게 올바른 판결을 내려 주시지 않으신 채, 그들을 두고 미적거리시겠느냐?"(루카 18,7)
하물며 사람도 인내와 끈기로 청하면 귀찮아서라도 마음이 움직이는데 하느님은 어떠시겠느냐고 예수님께서 반문하십니다. 아버지는 절박한 처지에서 부르짖는 이들에게 귀를 기울이시며 마음을 다해 도와주는 분이심을 강조하시는 겁니다.


제1독서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의 신앙적 구심점인 파스카의 밤이 언급됩니다.

"당신의 전능한 말씀이 하늘의 왕좌에서, 사나운 전사처럼 멸망의 땅 한가운데로 뛰어내렸습니다."(지혜 18,15)
이스라엘의 하느님께서 오랜 침묵을 깨시고 역사에 개입하신 장면이 펼쳐집니다. 일찌기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 그와 맺으신 계약에 따라 이스라엘은 야훼 하느님의 백성이었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자손들은 고역에 짓눌려 탄식하며 부르짖었다. 그러다 고역에 짓눌려 도움을 청하는 그들의 소리가 하느님께 올라갔다. 하느님께서 그들의 신음 소리를 들으시고, 아브라함과 이사악과 야곱과 맺으신 당신의 계약을 기억하셨다. 하느님께서는 이스라엘 자손들을 살펴보시고 그 처지를 알게 되셨다."(탈출 2,23-25)
이 내용이 바로 오늘 지혜서 대목이 있게 된 배경이고, 아울러 복음에서 말씀하신 기도의 응답에 관한 확실한 증거이기도 합니다. 이스라엘은 자기네 신앙 역사의 원천이고 정점인 파스카가 그들의 간절한 기도의 응답이라는 사실에 무한한 자긍심을 가지며 이 믿음을 통해 정체성을 다집니다.


"그들은 ... 주님, 자기들을 구해 내신 당신을 찬양하였습니다."(지혜 18,9)
이스라엘 백성이 기도의 응답으로 얻은 하느님의 올바른 판결에 기뻐 뛰며 그분을 찬양합니다. 파스카를 겪으면서 진심으로 주님께 기도할 수 있는 이는 가장 절박하고 처절했던 순간에 자신이 주님께 올려드렸던 울부짖음의 내용을 기억하는 사람이지요. 자기가 기도하는 내용을 제대로 알면서 지치지 않고 기도하는 사람만이 자기 기도가 응답을 받았음을 인식하고 감사와 찬미를 드립니다.


사랑하는 벗님! 우리가 기도하는 바가 무엇이며, 기다리는 응답은 또 무엇인지 살피는 오늘 되시길 기원합니다. 당장은 하느님게서 우리를 잊으신 듯 더딘 응답에 갈망만 깊어가고 있다면, 우리의 신앙의 원체험이 된 각자의 파스카 순간을 기억하며 희망을 가지고 끊임없이 기도하면 좋겠지요. 인내와 끈기로 주님만을 향하고 살아가는 여러분을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