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심을 받는 이에게 필요한 조건 중 아주 중요한 덕목은 바로 올바른 '자기인식'입니다. 부르심을 받고 하느님을 체험하거나 하느님의 놀라운 손길을 체험하게 되면 나오는 첫번째 반응은 자신이 부당한 죄인이라는 깨달음입니다. 앞서 우리는 더러운 영들이 돼지떼 속으로 들어가 물에 빠져죽은 놀라운 일을 목도한 게라사인들에게서도 본 바가 있습니다. 그들도 "저희에게서 떠나달라."고 하였었지요.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이 보여주신 놀라운 기적 앞에 베드로도 이렇게 말합니다. "주님, 저에게서 떠나 주십시오. 저는 죄 많은 사람입니다."(루카 5,8) 베드로가 정말로 주님께 떠나달라고 한 걸까요? 진심으로 그랬다기보다 그만큼 죄와 흠 투성이인 자기 모습이 주님께 누가 될만큼 어울리지 않다는 걸 깨달았기에 나온 말이겠지요.
"큰일 났구나! 나는 이제 망했다. 나는 입술이 더러운 사람 ... 주님을 내 눈으로 뵙다니!"(이사 6,5) 환시로 주님을 뵈온 이사야 예언자의 탄식입니다. 엄위와 영광이 가득한 성전 어좌 앞에서 그는 먼저 자기의 죄와 비천함을 떠올리며 당황하지요.
"사실 나는 사도들 가운데 가장 보잘것없는 자로서 사도라고 불릴 자격조차 없는 몸입니다. "(1코린 15,9) 바오로 사도 역시 자신의 소명을 이야기하면서 자기의 자격없음을 솔직히 토로합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어떤 성소나 직분, 소명에로 부르실 때 그 앞에서 자신의 부족함과 부당함을 떠올리는 건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하느님의 현존 앞에 서게 되면 이렇게 인간은 누구나 한없이 보잘것없는 자신을 보게 되고, 죄인임과 부당함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놀라지 마십시오. 여기에 반전이 있습니다. 이런 부당함의 고백이 합당함으로 변하게 된다는 엄청난 사실입니다. 하느님은 우리의 부당함에도 불구하고 아니, 바로 그 부당함을 진솔하게 고백하기 때문에 우리를 합당한 사람으로 만들어 주십니다. 그래서 이사야를 대예언자로, 사울을 바오로 사도로, 베드로를 고기잡는 어부에서 사람낚는 참어부로 만드십니다.
이사야는 제단에서 타는 숯을 입에 대어 준 사랍에 의해 "너의 죄는 없어지고 너의 죄악은 사라졌다."(이사 6,7)는 정화의 선언을 받고 새로운 존재로 변모합니다.
바오로 사도는 "복음으로 구원을 받는다."(1코린 15,2)고 말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구원에 대해 "하느님의 은총"(1코린 15,10)이 하신 업적임을 반복해 강조하지요. "하느님의 은총으로 지금의 내가 되었다."는 말로써 지금의 자신이 예수 그리스도와의 만남과 은총으로 새롭게 되었음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기적 앞에서 몹시 놀라며 두려움에 사로잡혀 엎드린 베드로는 예수님의 말씀으로 새 존재가 됩니다. "두려워하지 마라. 이제부터 너는 사람을 낚을 것이다."(루카 5,10)
이렇게 구약 예언자인 이사야에게는 하느님의 뜻을 전하는 사랍을 통해, 베드로는 예수님의 입에서 나오는 말씀을 통해, 예수님 사후에 등장한 바오로 사도에게는 은총을 통해 부르심에 합당한 이로 변모됩니다.
사실 인간 중 어느 누가 스스로 주님께 합당하다고 자신할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요한 사도는 "만일 우리가 죄 없다고 말한다면 우리는 자신을 속이는 것이고 우리 안에는 진리가 없는 것입니다."(1요한 1,8)라고 말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지금 이 순간에도 지상에서 귀양살이 하며 순례여정을 걷고 있는 우리를 당신의 협력자로 부르십니다. 죄인인 우리가 그에 합당한 존재로 살기 위해서는 나날이 새로워지지 않으면 안되겠지요. 그래서 교회는 성사를 통해 정화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제도가 위임한 사죄권을 통해 감사하게도 나약한 죄인인 우리가 부르심에 합당하게 살아가도록 도와주고 은총으로 변모되기를 기다려 줍니다.
우리를 정화시키는 또 다른 힘이 있습니다. 바로 '말씀'입니다. 사랍이 부집게로 집어온 "타는 숯"은 그 자체로 이글이글 타는 불덩이로서 "살아 있고 힘이 있으며 어떤 쌍날칼보다도 날카롭고 사람 속을 꿰찔러 혼과 영을 가르고 관절과 골수를 갈라 마음과 생각과 속셈을 가려내는"(히브 4,12) 말씀을 떠올리게 합니다. 몸의 다른 부위가 아니라 바로 입에 대었다는 것도, 하느님의 말씀을 전할 소명을 위해 먼저 입을 정화함으로써 준비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뜨거운 불길이 입에 닿음으로써 예언자는 말씀과 입맞춤한 것입니다. 또 '불과 같은 사랑'(아가 8,6-7 참조)과도 입맞춤한 것입니다.
사랑하는 벗님 여러분, 주님께서는 말씀과 성사를 통해 나날이 우리를 새롭게 해 주십니다. 부르시는 분도, 부르심에 응답할 자격을 갖춰 주시는 분도 주님이시니, 죄인인 우리가 감히 그분 곁에 머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우리의 능력과 자질 부족, 우리의 죄와 허물 때문에 실망하거나 좌절할 필요는 없습니다.
정치에 뛰어드는 사람들이 자기가 합당하다고 믿어달라 호소한다면 그 사람은 부당한 사람입니다. 자기가 부당함을 깊이 아는 사람만이 겸손하게 백성을 섬길 줄 아는 사람이고 하느님께서 그를 합당한 사람으로 만들어 주실 겁니다.
바로 벗님이 그 사람이십니다. 그래서 벗님을 축복합니다. 부디 내 능력에 의존하지 않고 주님께서 던지라고 하는 곳에 그물을 던지는 베드로처럼, 주님께서 말씀하시는 대로 '예'함으로써 많은 영혼들을 하느님께로 인도하는 '사람낚는 어부'가 되십시오. 그분이 누구를 보낼까 고민하실 때, 손들고 "저요? 제가 있지 않습니까? 저를 보내십시오!" 하고 이사야처럼 말하시는 여러분 되시길 축원합니다. 아멘.
'오상선(바오로) 신부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연중 제 5주간 화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02.08 |
---|---|
~ 연중 제 5주간 월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02.07 |
~ 연중 제 4주간 토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02.05 |
~ 연중 제 4주간 금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02.04 |
~ 연중 제 4주간 목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2.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