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6일 연중 제3주일 (하느님의 말씀 주일, 해외 원조 주일)
제1독서
<레위인들은 율법서를 설명하면서 읽어 주었다.>
▥ 느헤미야기의 말씀입니다.8,2-4ㄱ.5-6.8-10
그 무렵 2 에즈라 사제는 남자와 여자,
그리고 말귀를 알아들을 수 있는 모든 이로 이루어진 회중 앞에
율법서를 가져왔다. 때는 일곱째 달 초하룻날이었다.
3 그는 ‘물 문’ 앞 광장에서, 해 뜰 때부터 한낮이 되기까지
남자와 여자와 알아들을 수 있는 이들에게 그것을 읽어 주었다.
백성은 모두 율법서의 말씀에 귀를 기울였다.
4 율법 학자 에즈라는 이 일에 쓰려고 만든 나무 단 위에 섰다.
5 에즈라는 온 백성보다 높은 곳에 자리를 잡았으므로,
그들이 모두 보는 앞에서 책을 폈다.
그가 책을 펴자 온 백성이 일어섰다.
6 에즈라가 위대하신 주 하느님을 찬양하자,
온 백성은 손을 쳐들고 “아멘, 아멘!” 하고 응답하였다.
그런 다음에 무릎을 꿇고 땅에 엎드려 주님께 경배하였다.
레위인들은 8 그 책, 곧 하느님의 율법을 번역하고 설명하면서 읽어 주었다.
그래서 백성은 읽어 준 것을 알아들을 수 있었다.
9 느헤미야 총독과 율법 학자며 사제인 에즈라와
백성을 가르치던 레위인들이 온 백성에게 타일렀다.
“오늘은 주 여러분의 하느님께 거룩한 날이니,
슬퍼하지도 울지도 마십시오.”
율법의 말씀을 들으면서 온 백성이 울었기 때문이다.
10 에즈라가 다시 그들에게 말하였다.
“가서 맛있는 음식을 먹고 단 술을 마시십시오.
오늘은 우리 주님께 거룩한 날이니,
미처 마련하지 못한 이에게는 그의 몫을 보내 주십시오.
주님께서 베푸시는 기쁨이 바로 여러분의 힘이니,
서러워하지들 마십시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몸이고 한 사람 한 사람이 그 지체입니다.>
▥ 사도 바오로의 코린토 1서 말씀입니다.12,12-30
형제 여러분, 12 몸은 하나이지만 많은 지체를 가지고 있고
몸의 지체는 많지만 모두 한 몸인 것처럼,
그리스도께서도 그러하십니다.
13 우리는 유다인이든 그리스인이든 종이든 자유인이든 모두 한 성령 안에서
세례를 받아 한 몸이 되었습니다. 또 모두 한 성령을 받아 마셨습니다.
14 몸은 한 지체가 아니라 많은 지체로 되어 있습니다.
15 발이 “나는 손이 아니니 몸에 속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해서,
몸에 속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16 또 귀가 “나는 눈이 아니니 몸에 속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해서,
몸에 속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17 온몸이 눈이라면 듣는 일은 어디에서 하겠습니까?
온몸이 듣는 것뿐이면 냄새 맡는 일은 어디에서 하겠습니까?
18 사실은 하느님께서 당신이 원하시는 대로
각각의 지체들을 그 몸에 만들어 놓으셨습니다.
19 모두 한 지체로 되어 있다면 몸은 어디에 있겠습니까?
20 사실 지체는 많지만 몸은 하나입니다.
21 눈이 손에게 “나는 네가 필요 없다.”할 수도 없고,
또 머리가 두 발에게 “나는 너희가 필요 없다.”할 수도 없습니다.
22 몸의 지체 가운데에서 약하다고 여겨지는 것들이 오히려 더 요긴합니다.
23 우리는 몸의 지체 가운데에서 덜 소중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특별히 소중하게 감쌉니다.
또 우리의 점잖지 못한 지체들이 아주 점잖게 다루어집니다.
24 그러나 우리의 점잖은 지체들은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하느님께서는 모자란 지체에 더 큰 영예를 주시는 방식으로
사람 몸을 짜 맞추셨습니다.
25 그래서 몸에 분열이 생기지 않고
지체들이 서로 똑같이 돌보게 하셨습니다.
26 한 지체가 고통을 겪으면 모든 지체가 함께 고통을 겪습니다.
한 지체가 영광을 받으면 모든 지체가 함께 기뻐합니다.
27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몸이고 한 사람 한 사람이 그 지체입니다.
28 하느님께서 교회 안에 세우신 이들은,
첫째가 사도들이고 둘째가 예언자들이며 셋째가 교사들입니다.
그다음은 기적을 일으키는 사람들, 그다음은 병을 고치는 은사,
도와주는 은사, 지도하는 은사,
여러 가지 신령한 언어를 말하는 은사를 받은 사람들입니다.
29 모두 사도일 수야 없지 않습니까? 모두 예언자일 수야 없지 않습니까?
모두 교사일 수야 없지 않습니까?
모두 기적을 일으킬 수야 없지 않습니까?
30 모두 병을 고치는 은사를 가질 수야 없지 않습니까?
모두 신령한 언어로 말할 수야 없지 않습니까?
모두 신령한 언어를 해석할 수야 없지 않습니까?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오늘 이 성경 말씀이 이루어졌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의 시작입니다.1,1-4; 4,14-21
1 우리 가운데에서 이루어진 일들에 관한 이야기를 엮는 작업에
많은 이가 손을 대었습니다.
2 처음부터 목격자로서 말씀의 종이 된 이들이
우리에게 전해 준 것을 그대로 엮은 것입니다.
3 존귀하신 테오필로스 님,
이 모든 일을 처음부터 자세히 살펴본 저도
귀하께 순서대로 적어 드리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4 이는 귀하께서 배우신 것들이 진실임을 알게 해 드리려는 것입니다.
그때에 4,14 예수님께서 성령의 힘을 지니고 갈릴래아로 돌아가시니,
그분의 소문이 그 주변 모든 지방에 퍼졌다.
15 예수님께서는 그곳의 여러 회당에서 가르치시며
모든 사람에게 칭송을 받으셨다.
16 예수님께서는 당신이 자라신 나자렛으로 가시어,
안식일에 늘 하시던 대로 회당에 들어가셨다.
그리고 성경을 봉독하려고 일어서시자,
17 이사야 예언자의 두루마리가 그분께 건네졌다.
그분께서는 두루마리를 펴시고
이러한 말씀이 기록된 부분을 찾으셨다.
18 “주님께서 나에게 기름을 부어 주시니 주님의 영이 내 위에 내리셨다.
주님께서 나를 보내시어 가난한 이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고
잡혀간 이들에게 해방을 선포하며 눈먼 이들을 다시 보게 하고
억압받는 이들을 해방시켜 내보내며
19 주님의 은혜로운 해를 선포하게 하셨다.”
20 예수님께서 두루마리를 말아 시중드는 이에게 돌려주시고 자리에 앉으시니,
회당에 있던 모든 사람의 눈이 예수님을 주시하였다.
21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기 시작하셨다.
“오늘 이 성경 말씀이 너희가 듣는 가운데에서 이루어졌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알라반의 말씀사랑
오늘 복음 내용은, 루카복음의 첫 도입부(1,1-4)와, 예수님께서 말씀 안에서 당신의 사명을 찾아 선포하신 4장의 유명한 부분(4,14-21)을 이어서 편집해 놓았습니다. 앞 부분 없이 4장의 이야기만으로도 나무랄 데 없이 훌륭한 독립된 이야기인데 굳이 앞 부분을 결합시킨 이유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전 사실 미사의 독서와 복음을 너무 인위적으로 발췌, 생략하는 편집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편집 의도를 참작해 나름 타당성을 찾아보게 됩니다.
루카 복음 도입부에 그냥 스쳐 지나가기 쉬운 말씀이 있습니다. 오늘 유난히 그 말씀이 눈에 들어오면서, "아! 바로 이것이구나. 이것 때문이구나!" 깨닫게 된 말씀입니다.
"말씀의 종이 된 이들"(루카 1,2).
루카는 자신의 복음이 자신의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목격자로서 말씀의 종이 된 이들이 전해 준 것을 그대로 엮은 것"이라고 고백합니다.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시각에서 바라볼 때, 종은 "자유와 주체성을 빼앗긴 채 주인에게 종속되어 자기 의지와 상관없이 부려지는 비천하고 비참한 존재"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런데 그 종이 '주님의 종', '말씀의 종'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이러한 종의 특징은 "스스로 사랑 때문에 종임을 자처하는 자발성"이 아닐까 합니다. 이미 수많은 그리스도인이 그러했고 지금도 많은 이들을 매혹시켜 스스로를 종의 굴레에 묶게 만드는 신비라 할까요.
바로 이 "말씀의 종이 된 이들"이 4장과 결합된 결정적인 이유일 겁니다. 누가 짜집기 한 것인지는 몰라도 참 기가 막힙니다.
4장의 본론으로 들어가서, 회당에 들어가신 예수님의 행동을 주목해보면, "가시어... 늘 하시던대로... 일어서시자 ... 두루마리가 그분께 건네졌다 ... 펴시고 ... 찾으셨다."(4,16-17)고 전하는데, 오늘 예수님의 행동은 전혀 어색하지 않고 물흐르듯 자연스럽게 느껴집니다. 예수님은 주체적이고 의지적으로 일어서시고, 건네진 예언서 두루마리를 받아 당신께 다가오신 말씀 내용을 손수 찾으셨습니다. 그리고 '말씀이신 분'이 당신의 사명을 '말씀'에서 찾으시고, '말씀의 종'이 되어 이를 선포하십니다. 기가 막히지 않습니까?
그리고나서 "주님께서 나에게 기름을 부어 주시니 ... 주님께서 나를 보내시어 ... 하게 하셨다."(루카 4,18-19)고 전합니다.
말씀을 찾아 봉독하기까지는 예수님께서 주도하셨는데, 이제 봉독된 내용 안에서는 주체가 바뀌어 이사야 예언자가 "주님"이라 부른 하느님, 곧 예수님을 파견하신 성부께서 주체가 되십니다. 이는 사명을 받고 선포하는 데 있어서 예수님은 주체적이고 의지적인 당신 힘을 다 빼시고, 온전히 보내어진 이, 파견받은 이로서의 당신 존재를 받아들이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힘의 전이가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느껴집니다.
그리고 예수님의 다음 말씀으로 마무리됩니다. "오늘 이 성경 말씀이 너희가 듣는 가운데에서 이루어졌다."(루카 4,21)
'발설되신 말씀'께서 '말씀으로 오신 분'을 받아 선포하는 그 자리에서 말씀의 내용이 완성됩니다. 인간의 눈으로는 언제일런지, 어떤 식으로일지 보이지 않지만, 어쩌면 '완성'이란 모든 것이 완결되어 마지막 방점을 찍는 한 순간이나 찰나가 아니라,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순간부터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예수님께서 당신 사명을 찾아 선포하신 이 순간, 이 자리에서부터 완성의 영역은 무한대로 열려 펼쳐질 것이니까요.
"말씀의 종!"
사랑하는 벗님 여러분, 성체와 말씀의 두 축으로 지탱되어 이곳 아름다운 하느님 정원에서 사는 우리에게, "말씀의 종"이란 표현은 참으로 신선하면서도 그만큼 친숙하게 다가옵니다. 주님의 종, 말씀의 종은 자신의 의지가 꺾이거나 억압당하지 않고 기꺼이 말씀께 길을 묻고 사랑으로 순명하는 사람입니다. 우리는 이 길로 초대받은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말씀을 찾고 듣고 사랑하고 품고 머물고 따라 살 때, "주님께서 베푸시는 기쁨이 바로 우리의 힘"(느헤 8,10)이라는 걸 절절히 체험하게 됩니다.
또한 말씀의 종으로 사는 이들은 하느님의 뜻을 따르기 위해 위협받고 고난받다가 죽음까지 당했던 수많은 의인이나 예언자, 그리고 스승이신 예수님처럼, 세속적 견지에서는 말씀 때문에 약하나, 신앙의 영역에서는 말씀 때문에 강한 이들입니다.
오늘 제2독서에서 사도 바오로가 이야기하는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이루는 많은 지체들 중에서, 드러나거나 주목받거나 힘을 행사하는 은사가 아니어도, "약하다고 여겨지는 것들이 오히려 더 요긴하고, 덜 소중하는 것들을 특별히 소중하게 감싸지는"(1코린 12,22-23) 그런 지체들이 바로 이들일 겁니다. 어쩌면 '말씀의 종'인 이들이 교회와 세상을 등짐 지고 떠받치고 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말씀의 종들인 벗님 여러분을 축복합니다. 오늘 에즈라의 율법 낭독과 그 하느님의 말씀을 알아듣고 말씀의 종이 된 온 이스라엘은 회한과 감사에 벅찬 눈물을 흘립니다. 그런 백성들에게 느헤미아와 에즈라와 레위인들이 이렇게 축복합니다.
<"오늘은 주 여러분의 하느님께 거룩한 날이니, 슬퍼하지도 울지도 마십시오.” “가서 맛있는 음식을 먹고 단 술을 마시십시오. 오늘은 우리 주님께 거룩한 날이니, 미처 마련하지 못한 이에게는 그의 몫을 보내 주십시오. 주님께서 베푸시는 기쁨이 바로 여러분의 힘이니, 서러워하지들 마십시오.”>(느헤 8,9-10)
이 축복의 말씀이 오늘 이 자리에서 여러분에게 이루어졌습니다. 아멘.
▶작은형제회 오 상선 바오로 신부
'오상선(바오로) 신부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연중 제 3주간 화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5.01.28 |
---|---|
~ 연중 제 3주간 월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5.01.27 |
~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축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5.01.25 |
~ 연중 제 2주간 목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5.01.23 |
~ 연중 제 2주간 화요일 / 오상선 신부님 ~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