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러 신부님들의 강론

~ 연중 제 3주간 화요일 / 정인준 신부님 ~

1월 28일 연중 제3주간 화요일


제1독서
<보십시오, 하느님! 저는 당신의 뜻을 이루러 왔습니다.>
▥ 히브리서의 말씀입니다. 10,1-10
형제 여러분, 1 율법은 장차 일어날 좋은 것들의 그림자만 지니고 있을 뿐 바로 그 실체의 모습은 지니고 있지 않으므로, 해마다 계속해서 바치는 같은 제물로는 하느님께 나아가는 이들을 완전하게 할 수 없습니다. 2 만일 완전하게 할 수 있었다면, 예배하는 이들이 한 번 깨끗해진 다음에는 더 이상 죄의식을 가지지 않아 제물을 바치는 일도 중단되지 않았겠습니까? 3 그러한 제물로는 해마다 죄를 기억하게 될 뿐입니다. 4 황소와 염소의 피가 죄를 없애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5 그러한 까닭에 그리스도께서는 세상에 오실 때에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당신께서는 제물과 예물을 원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저에게 몸을 마련해 주셨습니다. 6 번제물과 속죄 제물을 당신께서는 기꺼워하지 않으셨습니다. 7 그리하여 제가 아뢰었습니다. ‘보십시오, 하느님! 두루마리에 저에 관하여 기록된 대로 저는 당신의 뜻을 이루러 왔습니다.’”
8 그리스도께서는 먼저 “제물과 예물을”, 또 “번제물과 속죄 제물을 당신께서는 원하지도 기꺼워하지도 않으셨습니다.” 하고 말씀하시는데, 이것들은 율법에 따라 바치는 것입니다. 9 그다음에는 “보십시오, 저는 당신의 뜻을 이루러 왔습니다.” 하고 말씀하십니다. 두 번째 것을 세우시려고 그리스도께서 첫 번째 것을 치우신 것입니다. 10 이 “뜻”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 단 한 번 바쳐짐으로써 우리가 거룩하게 되었습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바로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3,31-35
31그때에 예수님의 어머니와 형제들이 왔다. 그들은 밖에 서서 사람을 보내어 예수님을 불렀다. 32 그분 둘레에는 군중이 앉아 있었는데, 사람들이 예수님께 “보십시오, 스승님의 어머님과 형제들과 누이들이 밖에서 스승님을 찾고 계십니다.” 하고 말하였다.
33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누가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냐?” 하고 반문하셨다. 34 그리고 당신 주위에 앉은 사람들을 둘러보시며 이르셨다. “이들이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다. 35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바로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정인준 파트리치오 신부의 강론말씀


내 형제, 내 어머니”


신앙인의 관계는 특별한 것은 사실입니다.
주님께서 어머니와 형제들이 찾아 왔다는 기별을 받고 하신 말씀입니다.


“‘누가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냐?’ 하고 반문하셨다.
그리고 당신 주위에 앉은 사람들을 둘러보시며 이르셨다.
‘이들이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다.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바로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다.’”(마르 3,33-34)


리의 정서대로라면 머니와 형제들에게 잠깐 기다리라는 사람들을 시켜 전했을
것입니다. 지금은 시간의 여유가 없으니 잠깐 후에 만나겠다는 기별이라도 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느닷없이 ‘내 형제, 내 어머니가 바로 이들이다.’라고 대답하신다면
우리 자신도 사실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주님의 말씀은 동양의 ‘화두 話頭’와 같다고 하겠습니다. 어떤 진리를 얻기 위해 던지는
질문이라고 할까요? 얼핏보면 전혀 상관 없는 것 같지만 사실은 그 질문의 의도가
진리를 얻기 위한 것이라 데에는 뜻을 같이 하는 것입니다.


주님께서 ‘누가 내 형제 어머니이냐?’는 질문은 주님을 찾아 나선 어머니와 형제들에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당신을 따르는 제자들이나 군중이 가족만큼이나 소중하다는
것을 가르치시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니까 자신의 형제나 어머니를 소홀히 대한다기
보다는 현재 하느님의 말씀을 실천하는 사람들에게 초점을 두고 있는 것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주님의 이름으로 교우, 수도자, 사제가 된 사람들은 믿음의 공동체의
신비를 이루고 있고 일치의 삶을 살 수가 있는 것입니다.


‘먼 친척보다 가까운 이웃이 더 낫다.’라는 우리의 말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본당을
중심으로 또 수도 공동체나, 교구 공동체를 중심으로 모인 이들이 일치를 우리는
매일 체험하고 있는 것입니다.


로마에서 제일 실감있게 체험하는 것은 몇 백명의 사제들 기숙사에서 이름도 모르는
나라의 사제들까지도 미사 중에 공동기도 중에 일치를 이루는 것은 오늘 복음이 매일의
 생활에서 현실화되는 것임을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주님의 이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성체에서부터 서로 다른 사람들에게 이르기까지
일치의 모습은 매일의 기적이기도 합니다.


내 형제, 내 어머니가 바로 하느님 말씀을 믿고 따르는 진리임을 우리는 가슴에 새기며
하느님 나라를 위해서 오늘도 함께 기도하며 주님의 뜻을 실천하도록 합시다.

-정인준 신부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