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나의 구원이 땅끝까지 다다르도록 나는 너를 민족들의 빛으로 세운다(‘주님의 종’의 둘째 노래).> ▥ 이사야서의 말씀입니다.49,1-6 1 섬들아, 내 말을 들어라. 먼 곳에 사는 민족들아, 귀를 기울여라. 주님께서 나를 모태에서부터 부르시고 어머니 배 속에서부터 내 이름을 지어 주셨다. 2 그분께서 내 입을 날카로운 칼처럼 만드시고 당신의 손 그늘에 나를 숨겨 주셨다. 나를 날카로운 화살처럼 만드시어 당신의 화살 통 속에 감추셨다. 3 그분께서 나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나의 종이다. 이스라엘아, 너에게서 내 영광이 드러나리라.” 4 그러나 나는 말하였다. “나는 쓸데없이 고생만 하였다. 허무하고 허망한 것에 내 힘을 다 써 버렸다. 그러나 내 권리는 나의 주님께 있고 내 보상은 나의 하느님께 있다.” 5 이제 주님께서 말씀하신다. 그분께서는 야곱을 당신께 돌아오게 하시고 이스라엘이 당신께 모여들게 하시려고 나를 모태에서부터 당신 종으로 빚어 만드셨다. 나는 주님의 눈에 소중하게 여겨졌고 나의 하느님께서 나의 힘이 되어 주셨다. 6 그분께서 말씀하신다. “네가 나의 종이 되어 야곱의 지파들을 다시 일으키고 이스라엘의 생존자들을 돌아오게 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나의 구원이 땅끝까지 다다르도록 나는 너를 민족들의 빛으로 세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너희 가운데 한 사람이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 …… 너는 닭이 울기 전에 세 번이나 나를 모른다고 할 것이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3,21ㄴ-33.36-38 그때에 제자들과 함께 식탁에 앉으신 예수님께서는 21 마음이 산란하시어 드러내 놓고 말씀하셨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 가운데 한 사람이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 22 제자들은 누구를 두고 하시는 말씀인지 몰라 어리둥절하여 서로 바라보기만 하였다. 23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이 예수님 품에 기대어 앉아 있었는데, 그는 예수님께서 사랑하시는 제자였다. 24 그래서 시몬 베드로가 그에게 고갯짓을 하여,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사람이 누구인지 여쭈어 보게 하였다. 25 그 제자가 예수님께 더 다가가, “주님, 그가 누구입니까?” 하고 물었다. 26 예수님께서는 “내가 빵을 적셔서 주는 자가 바로 그 사람이다.” 하고 대답하셨다. 그리고 빵을 적신 다음 그것을 들어 시몬 이스카리옷의 아들 유다에게 주셨다. 27 유다가 그 빵을 받자 사탄이 그에게 들어갔다. 그때에 예수님께서 유다에게 말씀하셨다. “네가 하려는 일을 어서 하여라.” 28 식탁에 함께 앉은 이들은 예수님께서 그에게 왜 그런 말씀을 하셨는지 아무도 몰랐다. 29 어떤 이들은 유다가 돈주머니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예수님께서 그에게 축제에 필요한 것을 사라고 하셨거나, 또는 가난한 이들에게 무엇을 주라고 말씀하신 것이려니 생각하였다. 30 유다는 빵을 받고 바로 밖으로 나갔다. 때는 밤이었다. 31 유다가 나간 뒤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제 사람의 아들이 영광스럽게 되었고, 또 사람의 아들을 통하여 하느님께서도 영광스럽게 되셨다. 32 하느님께서 사람의 아들을 통하여 영광스럽게 되셨으면, 하느님께서도 몸소 사람의 아들을 영광스럽게 하실 것이다. 이제 곧 그를 영광스럽게 하실 것이다. 33 얘들아, 내가 너희와 함께 있는 것도 잠시뿐이다. 너희는 나를 찾을 터인데, 내가 유다인들에게 말한 것처럼 이제 너희에게도 말한다. ‘내가 가는 곳에 너희는 올 수 없다.’” 36 시몬 베드로가 예수님께 “주님, 어디로 가십니까?” 하고 물었다. 예수님께서는 그에게, “내가 가는 곳에 네가 지금은 따라올 수 없다. 그러나 나중에는 따라오게 될 것이다.” 하고 대답하셨다. 37 베드로가 다시 “주님, 어찌하여 지금은 주님을 따라갈 수 없습니까? 주님을 위해서라면 저는 목숨까지 내놓겠습니다.” 하자, 38 예수님께서 대답하셨다. “나를 위하여 목숨을 내놓겠다는 말이냐?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에게 말한다. 닭이 울기 전에 너는 세 번이나 나를 모른다고 할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찬미예수님 사도회, 목수회 형제님들과 작업을 했습니다. 작업 내용은 성당 에어컨 필터 교체와 나무 심기였습니다. 성당 옥상에는 에어컨을 가동하는 설비가 있습니다. 81개의 필터를 교체했습니다. 1년에 2번 교체해야 합니다. 작년 8월에 교체했는데, 이번에 보니 필터가 모두 검게 변했습니다. 6개월 동안 역할을 다했습니다. 눈처럼 하얀 새 필터를 갈아 주니 마음도 상쾌했습니다. 필터를 갈면서 판공성사가 생각났습니다. 우리는 1년에 2번 판공성사를 통해서 마음의 필터를 교체해 줍니다. 하느님의 은총과 하느님의 자비로 우리의 마음을 깨끗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에어컨 필터를 교체하면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고, 전기 사용료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판공성사를 보면 주님의 탄생과 부활을 기쁘게 맞이할 수 있고, 죄를 용서받는 은총을 받으니 좋습니다. 이제 곧 성삼일이 시작됩니다. 아직도 바쁘다는 이유로, 다음에 하지라는 이유로 마음의 필터를 바꾸지 않았다면, 판공성사를 통해서 주님의 부활을 기쁘게 맞이하면 좋겠습니다. 형제님들과 4그루의 나무를 심었습니다. 나무를 심기 위해서 먼저 땅을 팠습니다. 적당한 크기의 땅을 판 후에는 물을 담았습니다. 물이 어느 정도 빠지면, 나무를 심고, 거름을 주었습니다. 아직 어린나무이기에 버팀목을 해 주었습니다. 나무를 심으면서 사순시기에 우리가 해야 하는 교회의 가르침을 살펴보았습니다. 지난 재의 수요일부터 우리는 주님의 수난과 고통에 함께하는 사순시기를 지내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4가지를 강조하셨습니다. 첫째는 기도입니다. 기도는 하느님을 만나는 통로입니다. 기도는 고난을 이겨내는 힘입니다. 둘째는 단식입니다. 단식은 단순히 음식을 절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 굶주리고, 지금 가난하고, 지금 헐벗은 이웃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입니다. 셋째는 희생입니다. 나를 위해서 십자가를 기꺼이 지고 가시는 예수님의 사랑을 따르는 것이 희생입니다. 화려하게 피는 꽃에는 땅속 깊이 양분을 찾아내는 뿌리가 있기 마련입니다. 넷째는 자선입니다.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남이 너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대로 해 주어라.” 그렇습니다.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더 행복하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사순시기에 우리는 기도의 땅을 파고, 단식의 물을 주고, 희생의 거름을 주고, 자선의 버팀목을 세워야 합니다. 오늘 독서에서 이사야 예언자는 이렇게 이야기하였습니다. “네가 나의 종이 되어 야곱의 지파들을 다시 일으키고 이스라엘의 생존자들을 돌아오게 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나의 구원이 땅 끝까지 다다르도록 나는 너를 민족들의 빛으로 세운다.” 누가 민족들의 빛이 될 수 있을까요? 욕심 때문에 예수님을 은전 서른 닢에 팔아넘긴 유다는 민족들의 빛이 될 수 없었습니다. 예수님을 위해서라면 목숨까지 바칠 수 있다고 했지만 두려움 때문에 예수님을 3번이나 모른다고 했던 베드로는 민족들의 빛이 될 수 없었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를 대신 지고 갔던 키레네 사람 시몬이 있습니다. 예수님 얼굴에 흐르는 피와 땀을 닦아드린 베로니카가 있습니다. 주님의 무덤을 찾아갔던 막달레나가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주님께서 가신 그 길을 충실하게 따라갔던 이들이 민족들의 빛이 될 수 있었습니다. 오늘 예수님께서는 유다와 베드로의 배반을 이야기하셨습니다. 우리는 베드로와 유다의 삶이 전혀 달라졌음을 알게 됩니다. 유다는 예수님을 배반하였으며 또한 희망을 버렸습니다. 희망을 버렸던 유다는 용서받을 기회를 잃어버렸습니다. 유다는 쓸쓸하게 자신의 삶을 마감하였습니다. 그러나 베드로는 유다와는 다른 삶을 살게 되었습니다. 베드로도 예수님을 배반하였지만, 베드로는 절망을 버렸습니다. 마음 안에 희망을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예수님을 배반한 자신의 죄를 뉘우쳤고, 회개의 눈물을 흘렸습니다. 이제 베드로는 부활하신 예수님께 용서를 받았고, 새로운 삶을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신앙의 신비입니다. 우리는 이 세상에 살면서 완벽하게, 깨끗하게 살 수만은 없습니다. 우리는 잘못과 허물에서 벗어날 수는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와 같은 잘못과 허물을 인정하고, 그것들을 정화해 주시는 하느님께로 우리들의 마음을 돌리는 것입니다. 절망을 버리고 희망을 간직하는 사람은 용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 또한 민족들의 빛이 될 수 있습니다. 그것이 신앙의 신비입니다. “나의 구원이 땅끝까지 다다르도록 나는 너를 민족들의 빛으로 세운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조재형 신부님 - |
'여러 신부님들의 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성주간 수요일 / 송영진 신부님 ~ (0) | 2025.04.16 |
---|---|
~ 성주간 수요일 / 정인준 신부님 ~ (0) | 2025.04.16 |
~ 성 주간 화요일 / 반영억 신부님 ~ (0) | 2025.04.15 |
~ 성 주간 화요일 / 송영진 신부님 ~ (0) | 2025.04.15 |
~ 성 주간 화요일 / 정인준 신부님 ~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