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3월 3일 목요일 묵상과 기도
<성무일도> 1열왕 8,51-53a 참조
주여, 우리는 당신의 백성이고 당신의 유산입니다. 당신께 간구하는 이 종과 당신의 백성 이스라엘에게서 결코 눈을 떼지 말아 주시고, 이 백성이 부르짖는 소리를 언제나 들어주소서. 당신은 땅 위의 모든 백성들 가운데서 우리를 따로 택하시어 당신의 유산으로 삼으셨습니다.
응송
◎ 사냥꾼의 올무에서 * 주께서 너를 구하여 주시리라.
○ 모진 괴질에서
<청원기도>
우리로 하여금 성실한 회개로 주님과의 우정을 더욱 깊게 하도록 하시어,
― 주님의 지혜와 선하심을 거슬러 범한 죄를 속죄하게 하소서.
◎ 주여, 당신의 말씀을 우리 발길에 등불이 되게 하소서.
<오늘의 복음 말씀> 루카 11,17-19
예수님께서는 그들의 생각을 아시고 이렇게 말씀하셨다. “어느 나라든지 서로 갈라서면 망하고 집들도 무너진다. 사탄도 서로 갈라서면 그의 나라가 어떻게 버티어 내겠느냐? 그런데도 너희는 내가 베엘제불의 힘을 빌려 마귀들을 쫓아낸다고 말한다. 내가 만일 베엘제불의 힘을 빌려 마귀들을 쫓아낸다면, 너희의 아들들은 누구의 힘을 빌려 마귀들을 쫓아낸다는 말이냐?
<영적 독서> 성경말씀을 통해 부정적 감정극복하기/두려움, 조이스마이어지음, ’문종원 옮김
1. 두려움에 맞서서
‘두려워하지 마라’는 것은 ‘도망가지 마라’는 뜻이다. 두려워하지 마라. 움직이지 말고 오늘 야훼께서 너희를 어떻게 구원하시는가 보아라(출애 14,13).
나는 “두려워하지 마라’는 말을 하느님의 말씀으로부터 ‘도망가지 마라’는 말로 단순하게 받아들였다.
그렇다면 두려움의 해결책은 역시 단순해진다. 두려움에 직면했을 때 그것에 사로잡혀 주눅이 들기보다는 그것에 대항하여 굳건히 서서 두려워하는 일을 용기있게 수행하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바라시는 것이다.
다리가 휘청거리고 입이 마르고 쓰러지기 바로 직전이라도, 우리는 계속해서 “주님, 저에게 힘을 주십시오.
이것이 당신께서 저에게 하라고 분부하신 일이고 제게 드러내신 뜻이기에 당신의 도움으로 저는 이 소명을 이룰 것입니다. 저는 두려움에 억눌리지 않고 당신의 말에 힘입어 살아갈 것을 다짐합니다’라고 되뇌어야 한다.(630)
사진: 이태리 스페코디나르니(성프란치스코 은둔소)
Photo: Italy Speco di Narni San Francesco
-------------------------------------------------------------------
<1분 목요 강좌>
가톨릭 교의 강좌
공의회 문헌
교회헌장
41. 단일한 성덕의 다양한 실천
온갖 생활과 직무에서 모든 사람은 하나의 성덕을 닦고 있다. 하느님의 성령께서 이끄시는 대로 하느님 아버지의 목소리를 따르고 영과 진리 안에서 하느님 아버지를 흠숭하며, 가난하고 겸손하신 그리스도, 십자가를 지고 가시는 그리스도를 따르며, 그분의 영광에 참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각기 고유한 은혜와 임무에 따라, 희망을 불러일으키고 사랑으로 움직이는 살아 있는 신앙의 길로 주저 없이 나아가야 한다.
그리스도의 양 떼를 돌보는 목자들은 먼저 우리 영혼들의 목자이시며 주교이신 영원한 대사제 그리스도의 모습을 따라 자신의 봉사 직무를 거룩하고 기쁘게 겸손하고 용기 있게 수행하여야 하며, 그러한 직무 수행은 그들 자신을 위해서도 성화의 뛰어난 수단이 될 것이다. 충만한 사제직에 뽑힌 목자들은 성사의 은총을 받아, 기도하고 희생 제사를 드리고 설교하며 주교로서 하는 온갖 형태의 배려와 봉사를 통하여 목자다운 완전한 사랑의 임무를 수행하여야 하며,5) 양들을 위하여 자기 목숨을 내놓는 것도 두려워하지 않고 양 떼의 표양이 되어(1베드 5,3 참조) 자신의 모범으로 교회를 날로 더욱 큰 성덕으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
주교들의 영적 화관을 이루는 신부들도6) 영원하시고 유일하신 중개자 그리스도를 통하여 주교 임무의 은총을 나누어 받고 있으므로, 주교 품계와 비슷하게 날마다 자기 직무의 수행으로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 안에서 자라나야 하고, 사제적 친교의 유대를 보존하고 온갖 영적 보화로 풍요로워져 모든 사람에게 하느님의 산 증거를 보여 주어야 하며,7) 여러 세기를 내려오며 가끔 드러나지 않은 비천한 봉사로 성덕의 뛰어난 표양을 남긴 사제들과 어깨를 겨루어야 한다. 하느님의 교회가 그들을 찬미하고 있다. 신부들은 직무상 하느님 백성 전체와 자기 백성을 위하여 기도하고 희생 제사를 봉헌하며, 자신이 거행하는 것을 알고 실천하여,8) 사도적 염려와 위험과 노고에 얽매이지 않고 이를 통하여 오히려 더 높은 성덕으로 오르고, 풍부한 관상으로 자신의 활동을 살찌우고 북돋아 하느님의 온 교회에 위안을 주어야 한다. 모든 신부, 특별히 그 고유한 성품 명의로 교구 사제라 불리는 신부들은 자기 주교와 이루는 충실한 결합과 적극적인 협력이 자기 성화를 위하여 얼마나 많은 도움이 되는지를 명심하여야 한다.
더 낮은 품계의 교역자들도 최고 사제의 사명과 은총에 특수한 모양으로 참여한다. 특히 그리스도와 교회의 신비에 봉사하는 부제들은9) 온갖 허물에서 자신을 깨끗이 지키며 하느님의 마음에 들어야 하고 사람들 앞에 온갖 좋은 것을 마련하여야 한다(1티모 3,8-10.12-13 참조). 주님께 불려 주님의 몫으로 뽑혀 목자들의 감독을 받으며 봉사 직무를 준비하는 성직자들은 자기 정신과 마음을 이 고귀한 선택에 맞갖게 닦아야 한다. 끊임없는 기도와 불타는 사랑 안에서 참되고 옳고 명예로운 것들을 생각하며 하느님의 영광과 영예를 위하여 모든 일을 하여야 한다. 성직자들과 함께 하느님의 선택을 받는 평신도들도 있다. 그들은 전적으로 사도직 활동에 헌신하도록 주교에게 부름을 받아 주님의 밭에서 일하며 많은 열매를 맺고 있다.10)
그리스도인 부부와 부모는 고유한 길을 따라 충실한 사랑으로 평생 동안 은총 안에서 서로 도와야 하며, 하느님께 받은 사랑스러운 자녀들을 그리스도의 교리와 복음적 덕행으로 교육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여 실제로 지칠 줄 모르는 너그러운 사랑의 모범을 모든 사람에게 보여 주며, 사랑의 형제 관계를 이룩하고, 어머니인 교회의 풍요성의 증인이 되고 그 협력자가 되어, 그리스도께서 당신 신부를 사랑하시고 그를 위하여 당신 자신을 바치신 저 사랑에 참여하고 그 사랑의 표지가 된다.11) 이와 비슷한 모범은 짝 잃은 이들과 미혼자들에게서도 다른 모양으로 드러나는데, 그들도 교회의 성덕과 활동에 적지 않게 이바지할 수 있다. 그리고 흔히 힘든 노동을 하는 이들은 인간다운 노동으로 자기 자신을 완성하고, 동포들을 도와주며, 온 사회와 창조계를 더 나은 상태로 진보시켜야 한다. 또한 손수 목수 일을 하시며 언제나 하느님 아버지와 함께 모든 사람의 구원을 위하여 일하시는 그리스도를 행동하는 사랑으로 본받고 희망으로 기뻐하며 서로 다른 사람의 짐을 져 주어야 하고, 날마다 자신의 노동 그 자체로 더 높은 성덕, 사도적 성덕에 이르러야 한다.
가난, 쇠약, 질병, 온갖 고통에 짓눌리는 사람들, 또는 옳은 일을 하다가 박해를 받는 사람들은 세상의 구원을 위하여 수난하시는 그리스도와 자기가 특별하게 결합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주님께서는 복음에서 그러한 사람들이 행복하다고 선언하셨다. “모든 은총의 하느님,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당신의 영원한 영광으로 불러 주신 하느님께서는 잠깐 고난을 받은 그들을 친히 온전하게 하시고 굳세게 하시며 든든하게 세워 주실 것이다”(1베드 5,10 참조).
그러므로 모든 것을 천상 아버지의 손에서 믿음으로 받아들이고 하느님의 뜻에 협력하며 하느님께서 세상을 사랑하신 그 사랑을 바로 현세적 봉사 안에서 모든 사람에게 보여 준다면, 모든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생활 조건과 직무와 환경 속에서 또 그 모든 것을 통하여 날로 더욱 거룩해질 것이다.
'Dominic Ko 신부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16년 3월 5일 토요일 묵상과 기도 / 고 도미니코 신부님 ~ (0) | 2016.03.05 |
---|---|
~ 2016년 3월 4일 금요일 묵상과 기도 / 고 도미니코 신부님 ~ (0) | 2016.03.04 |
~ 2016년 3월 2일 수요일 묵상과 기도 / 고 도미니코 신부님 ~ (0) | 2016.03.02 |
~ 2016 년 2월 29일 사순 제3주간 월요일 묵상과 기도 / 고 도미니코 신부님 ~ (0) | 2016.02.28 |
~ 2016년 2월 28일 사순제 3주일 묵상과 기도 / 고 도미니코 신부님 ~ (0) | 2016.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