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월 22일 금요일 묵상과 기도
<성무일도> 에페 2,13-16
여러분이 전에는 하느님과 멀리 떨어져 있었지만 이제는 그리스도께서 피를 흘리심으로써 그리스도 예수로 말미암아 하느님과 가까워졌습니다. 그리스도야말로 우리의 평화이십니다. 그분은 자신의 몸을 바쳐서 유다인과 이방인이 서로 원수가 되어 갈리게 했던 담을 헐어 버리시고 그들을 화해시켜 하나로 만드시고 율법 조문과 규정을 모두 폐지하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을 희생하여 유다인과 이방인을 하나의 새 민족으로 만들어 평화를 이룩하시고 또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써 둘을 한 몸으로 만드셔서 하느님과 화해시키시고 원수 되었던 모든 요소를 없이하셨습니다.
응송
◎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께, * 나를 위하시는 하느님께 부르짖나이다.
○ 하늘에서 보내시어 나를 살려 주소서.
<청원기도>
만물을 창조하시고 섭리하심으로 보존하시는 주님,
― 그 속에서 영구히 사라지지 않는 당신의 발자취를 알아 뵈올 수 있게 하소서.
◎ 주여, 당신의 뜻 안에 저희의 평화가 있나이다.
<오늘의 복음 말씀> 마르 3,13-15
그때에 예수님께서 산에 올라가시어, 당신께서 원하시는 이들을 가까이 부르시니 그들이 그분께 나아왔다. 그분께서는 열둘을 세우시고 그들을 사도라 이름하셨다. 그들을 당신과 함께 지내게 하시고, 그들을 파견하시어 복음을 선포하게 하시며, 마귀들을 쫓아내는 권한을 가지게 하시려는 것이었다.
<영적 독서> 내적 침묵으로 향하는 길, 에디트 슈타인, 이연행 옮김
하느님의 은총에 자리를 내어 드리려면 하루를 어떻게 계획해야 하나?
3. 더욱 말이 없는이 대화후에 나는 다음 번 과업으로 내 앞에 보이는 것을 시도합니다. 이 아침 예식 후에, 일로 가득찬 하루를 시작할 때, 내 안에는 예식에서 오는 침묵이 았습니다. 그리고 나의 영혼은, 나 자신을 공격하고 짓누르는 것은 비워 벼리고 반대로 성스러운 기쁨과 용기와 힘으로 채워질 것입니다.
나의 영혼은 스스로에게서 탈피하여 하느님의 삶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크고 깊어졌습니다. 그 안에서 고요한 불길이 주님이 켜주신 사랑을 불태우기 때문에, 주님은 내 영혼이 이 사랑을 증언하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이 사랑에 불을 켜도록 부추기십니다. 그리고 영혼은 자기 앞에서 다음에 갈 길의 작은 끄트머리를 분명히 봅니다. 아주 멀리까지 보이지는 않지만 지평선이
길을 막는 곳에 도착하면 이제 또 새로운 전망이 주어질 것을 압니다.
사진: 이태리 스페코디나르니(성프란치스코 은둔소)
Photo: Italy Speco di Narni San Francesco
-------------------------------------------------------------------
<1분 금요 강좌>
신학 강좌
제3절 종교개혁시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시기
2. 성공회와 로마-가톨릭 신학 안에서의 각성
옥스퍼드 운동이 19세기의 성공회 신학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John Keble, +1886, Edward Pusey, +1882, John Henry Newman, +1890). 이들은 교부들을 다시 읽음으로써 그리스도교와 교회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사색을 하고자 하였다. 실제로 이 운동이 로마-가톨릭의 영성과 전례에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9세기의 로마-가톨릭 신학 안에서도 낭만주의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적 기후가 낭만주의를 통해서 로마-가톨릭 교회와 신학에 좀 더 긍정적으로 발전하였다. 중요한 흐름으로는 가톨릭 튀빙엔 학파(Johann Sebastian Drey, +1853, Johann Adam Mδhler, +1838)와 역사와 신스콜라 신학에 대한 관심 등을 들 수 있다. 신스콜라신학자들은(예를 들어 Joseph Kleutgen, +1893) 계몽주의를 반대하여 스롤콜신학의 전통에 합류하고자 하였다. 이들은 스콜라신학을 철학과 신학의 로마-가톨릭적 형식으로 간주하였던 것이다. 신스콜라신학 내부에서 신토미즘이 주된 흐름이 되었다. 신토미즘은 소위 토마스-회칙 “Aetemi Patris” (1879)를 통해 발전하였다. 교황 레오 13세는 이 회칙 안에서 토마스의 사상을 신학의 기준으로 추천하였다. 신토미즘(Neothomism)이란 개념이 흔히 오래된 개념인 신스콜라신학의 유사어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신토미즘 학파 안에는 오히려 프란치스코 수아례즈 혹은 요한 둔스 스코투스를 따르는 저자들이 었었다. 이 세기의 가장 유명한 로마-가톨릭 교의신학자로는 Matthias Joseph Schee hen(+1888)을 들 수 있다.
'Dominic Ko 신부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16년 1월 24일 연중 제3주일 묵상과 기도 / 고 도미니코 신부님 ~ (0) | 2016.01.24 |
---|---|
~ 2016년 1월 23일 연중 제2주간 토요일 묵상과 기도 / 고 도미니코 신부님 ~ (0) | 2016.01.23 |
~ 2016. 1월 21일 목요일 묵상과 기도 / 고 도미니코 신부님 ~ (0) | 2016.01.21 |
~ 2016. 1월 20일 수요일 묵상과 기도 / 고 도미니코 신부님 ~ (0) | 2016.01.20 |
~ 2016년 1월 19일 화요일 묵상과 기도 / 고 도미니코 신부님 ~ (0) | 2016.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