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상선(바오로) 신부님

~ 연중 제 3주간 토요일 / 오상선 신부님 ~

2월 1일  연중 제3주간 토요일

 

제1독서

<아브라함은 하느님께서 설계하시고 건축하신 도성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 히브리서의 말씀입니다.11,1-2.8-19
형제 여러분, 1 믿음은 우리가 바라는 것들의 보증이며
보이지 않는 실체들의 확증입니다.
2 사실 옛사람들은 믿음으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8 믿음으로써, 아브라함은 장차 상속 재산으로 받을 곳을 향하여
떠나라는 부르심을 받고 그대로 순종하였습니다.
그는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떠난 것입니다.
9 믿음으로써, 그는 같은 약속의 공동 상속자인 이사악과 야곱과 함께
천막을 치고 머무르면서,
약속받은 땅인데도 남의 땅인 것처럼 이방인으로 살았습니다.
10 하느님께서 설계자이시며 건축가로서
튼튼한 기초를 갖추어 주신 도성을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11 믿음으로써, 사라는 아이를 가지지 못하는 여인인 데다
나이까지 지났는데도 임신할 능력을 얻었습니다.
약속해 주신 분을 성실하신 분으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12 그리하여 한 사람에게서, 그것도 죽은 것이나 다름없는 사람에게서
하늘의 별처럼 수가 많고 바닷가의 모래처럼 셀 수 없는 후손이 태어났습니다.
13 이들은 모두 믿음 속에 죽어 갔습니다.
약속된 것을 받지는 못하였지만 멀리서 그것을 보고 반겼습니다.
그리고 자기들은 이 세상에서 이방인이며 나그네일 따름이라고 고백하였습니다.
14 그들은 이렇게 말함으로써 자기들이 본향을 찾고 있음을 분명히 드러냈습니다.
15 만일 그들이 떠나온 곳을 생각하고 있었다면, 돌아갈 기회가 있었을 것입니다.
16 그러나 실상 그들은 더 나은 곳, 바로 하늘 본향을 갈망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하느님께서는 그들의 하느님이라고 불리시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으시고,
그들에게 도성을 마련해 주셨습니다.
17 믿음으로써, 아브라함은 시험을 받을 때에 이사악을 바쳤습니다.
약속을 받은 아브라함이 외아들을 바치려고 하였습니다.
18 그 외아들을 두고 하느님께서는 일찍이,
“이사악을 통하여 후손들이 너의 이름을 물려받을 것이다.” 하고
말씀하셨습니다.
19 아브라함은 하느님께서 죽은 사람까지 일으키실 수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이사악을 하나의 상징으로 돌려받은 것입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도대체 이분이 누구시기에 바람과 호수까지 복종하는가?>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4,35-41
35 그날 저녁이 되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호수 저쪽으로 건너가자.” 하고 말씀하셨다.
36 그래서 그들이 군중을 남겨 둔 채,
배에 타고 계신 예수님을 그대로 모시고 갔는데,
다른 배들도 그분을 뒤따랐다.
37 그때에 거센 돌풍이 일어 물결이 배 안으로 들이쳐서,
물이 배에 거의 가득 차게 되었다.
38 그런데도 예수님께서는 고물에서 베개를 베고 주무시고 계셨다.
제자들이 예수님을 깨우며,
“스승님, 저희가 죽게 되었는데도 걱정되지 않으십니까?” 하고 말하였다.
39 그러자 예수님께서 깨어나시어 바람을 꾸짖으시고 호수더러,
“잠잠해져라. 조용히 하여라!” 하시니 바람이 멎고 아주 고요해졌다.
40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왜 겁을 내느냐? 아직도 믿음이 없느냐?” 하고 말씀하셨다.
41 그들은 큰 두려움에 사로잡혀 서로 말하였다.
“도대체 이분이 누구시기에 바람과 호수까지 복종하는가?”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알라반의  말씀사랑

 

 오늘 미사의 말씀은 믿음을 촉구하십니다.

"그런데도 예수님께서는 고물에서 베개를 베고 주무시고 계셨다."(마르 4,38)

예수님과 제자들이 호수 한가운데에서 함께 배 안에 있을 때, 돌풍이 일어 물이 배 안까지 거의 가득 들어차는 위급한 상황이 닥칩니다. 제자들 중에 물일에 익숙한 뱃사람들도 끼어 있었지만, 다들 혼비백산 한 것 같습니다.

주무시는 예수님의 모습을 관상합니다. 제자들이 외부에서 일어나는 돌풍과 파도 이상으로 내면과 영혼까지 출렁이며 뒤집어질 때, 예수님의 내면은 고요와 평화 그 자체십니다. 아무리 하느님의 아드님이시지만 인간 육신의 모든 조건을 지니셨기에 천재지변이 아무 위협도 되지 않을 수 없을 텐데 그러십니다.

"'잠잠해져라, 조용히 하여라!' 하시니 바람이 멎고 아주 고요해졌다."(마르 4,39)

제자들의 간청에 예수님께서 일어나 바람을 꾸짖으십니다. 그리고 이 한 말씀으로 방금 전까지 사납게 날뛰던 바람이 바로 복종하지요.

"왜 겁을 내느냐? 아직도 믿음이 없느냐?"(마르 4,40)

문제는 믿음이었습니다. 제자들 입장에서는 자기들을 뒤흔든 두려움과 혼돈이 거센 바람과 들이치는 물 등 외부적 상황 때문이라고 여겼겠지만, 예수님께서 보실 때는 사실 불신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어느 삶도 완벽히 무탈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견딜 수 있을 만큼의 크고 작은 진동과 돌풍 속에서 적당히 흔들리며 힘껏 중심을 잡고 나아가는 중이지요. 그러다 때때로 우리 존재와 그간 이뤄놓은 삶의 터전을 집어삼킬듯 범람하며 우리를 위협하는 고통을 맞닥뜨리기도 합니다.

아이러니 같지만, 믿음이 발휘되는 건 그런 순간입니다. 믿음은 평온하고 안정적이며 아쉬울 것 없는 삶에서가 아니라 추락과 침몰, 해체와 죽음의 돌풍 앞에서 증명되는 진실이니까요.

제1독서에서 히브리서 저자는 신앙 선조들의 믿음을 반복해 강조합니다.  

"믿음으로써"(히브 11,8.9.11.17)

아브라함은 "믿음으로써" 길을 떠났고, "믿음으로써" 영원한 도성을 기다리는 이방인으로 남았으며, "믿음으로써" 이사악을 바쳤습니다. 사라도 "믿음으로써" 이사악을 잉태하였지요.   

"믿음은 우리가 바라는 것들의 보증이며 보이지 않는 실체들의 확증입니다."(히브 11,1)

믿음은 결과가 눈에 보이거나 보이지 않거나, 손에 쥐어지거나 쥐어지지 않거나 관계없이 존재 깊숙이 자리하는 확신입니다. 믿는 바대로 그 결과는 이미 완성이 됩니다. 믿음 자체가 보증이고 확증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믿음을 발휘해야 하는 순간은 오늘 범람과 침몰의 위기 앞에 허둥대는 제자들의 상황처럼, 그리 만만히 다가오지 않습니다. 주일미사 때 습관적으로  읊는 신앙고백문이 진짜 삶으로 옮겨질 때는 거센 현실의 파도 앞에서 나름의 포기와 결단과 선택이 따라야 하기 때문이지요.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순교의 증거까지 요구하지 않는다 해도, 믿음을 증거해야 하는 순간은 삶의 아주 작은 디테일에 속속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달갑지 않고 반갑지 않은 천재지변, 질병과 사고, 사람과 관계의 파도 앞에서 예수님처럼 고요히 침잠할 수 있는 힘이 곧 믿음입니다.

돌풍 앞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습니다. 예수님처럼 바람을 꾸짖어 멈추는 힘은 우리 영역이 아니니까요. 하지만 믿음은 가능합니다. 믿는다면, 외부의 돌풍이 아무리 나를 뒤흔들어도 고요히 주님 안에 쉴 수 있습니다.

사랑하는 벗님! 각박한 세상, 녹록치 않은 삶을 지고 가면서 믿음을 부여잡고 살아가는 여러분 모두를 응원하고 축복합니다. 복잡하고 버거운 세상 일을 잠시 내려놓고, 아버지에 대한 믿음으로 주무시는 예수님 곁에서 평안히 쉬는 오늘 되시길 기원합니다.

 

▶ 작은형제회 오상선 바오로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