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러 신부님들의 강론

(11943)
~ 연중 제 5주간 토요일 / 반영억 신부님 ~ 2월 15일 연중 제5주간 토요일(마르 8,1-10)복음✠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8,1-101 그 무렵 많은 군중이 모여 있었는데 먹을 것이 없었다.예수님께서 제자들을 가까이 불러 말씀하셨다.2 “저 군중이 가엾구나.벌써 사흘 동안이나 내 곁에 머물렀는데 먹을 것이 없으니 말이다.3 내가 저들을 굶겨서 집으로 돌려보내면 길에서 쓰러질 것이다.더구나 저들 가운데에는 먼 데서 온 사람들도 있다.”4 그러자 제자들이 “이 광야에서 누가 어디서 빵을 구해저 사람들을 배불릴 수 있겠습니까?” 하고 대답하였다.5 예수님께서 “너희에게 빵이 몇 개나 있느냐?” 하고 물으시자,그들이 “일곱 개 있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6 예수님께서는 군중에게 땅에 앉으라고 분부하셨다.그리고 빵 일곱 개를 손에 들고 감사..
~ 연중 제 5주간 토요일 / 송영진 신부님 ~ (2025. 2. 15. 토)(마르 8,1-10) 복음✠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8,1-101 그 무렵 많은 군중이 모여 있었는데 먹을 것이 없었다.예수님께서 제자들을 가까이 불러 말씀하셨다.2 “저 군중이 가엾구나.벌써 사흘 동안이나 내 곁에 머물렀는데 먹을 것이 없으니 말이다.3 내가 저들을 굶겨서 집으로 돌려보내면 길에서 쓰러질 것이다.더구나 저들 가운데에는 먼 데서 온 사람들도 있다.”4 그러자 제자들이 “이 광야에서 누가 어디서 빵을 구해저 사람들을 배불릴 수 있겠습니까?” 하고 대답하였다.5 예수님께서 “너희에게 빵이 몇 개나 있느냐?” 하고 물으시자,그들이 “일곱 개 있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6 예수님께서는 군중에게 땅에 앉으라고 분부하셨다.그리고 빵 일곱 개를 손에 들고 감사를..
~ 연중 제 5주간 토요일 / 정인준 신부님 ~ 2월 15일  연중 제5주간 토요일 제1독서▥ 창세기의 말씀입니다.3,9-249 주 하느님께서 사람을 부르시며, “너 어디 있느냐?” 하고 물으셨다.10 그가 대답하였다.“동산에서 당신의 소리를 듣고 제가 알몸이기 때문에 두려워 숨었습니다.”11 그분께서 “네가 알몸이라고 누가 일러 주더냐?내가 너에게 따 먹지 말라고 명령한 그 나무 열매를 네가 따 먹었느냐?” 하고물으시자, 12 사람이 대답하였다.“당신께서 저와 함께 살라고 주신 여자가그 나무 열매를 저에게 주기에 제가 먹었습니다.”13 주 하느님께서 여자에게 “너는 어찌하여 이런 일을 저질렀느냐?” 하고 물으시자,여자가 대답하였다. “뱀이 저를 꾀어서 제가 따 먹었습니다.”14 주 하느님께서 뱀에게 말씀하셨다. “네가 이런 일을 저질렀으니너는 모든 ..
~ 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 한상우 신부님 ~ 02.14.금.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그에게 "에파타!" 곧 "열려라!" 하고 말씀하셨다.'(마르 7, 34)예수님과의인격적인접촉으로우리는건강한소통을다시 배웁니다.막혀있는접촉을예수님께서열어주십니다.소통하지 못한우리의 아픔을치유자이신예수님께내어드립니다.인격은존중입니다.존중은막힘 없이잘 흐르게하는 것입니다.이것이에파타이며이것이열림입니다.진정한 열림은판단과 평가가아닌 진정한공감으로한 사람을치유합니다.소통은소통의 과정을지나갑니다.소통의 과정은진정성과소중함의과정입니다.소중함의과정은우리 삶의현장에서드러나는가장가치있는나눔입니다.예수님이따로 있고소통이따로 있지않습니다.예수님께서바로우리 삶의진정한소통이 되십니다.우리의귀가 열리고우리의묶인 혀가풀려서우리들 또한건강한 소통건강한 인격으로살아가는열린 오..
~ 연중 제 5주간 금요일/ 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 함승수 신부님 ~ [연중 제5주간 금요일, 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 마르 7,31-37 “하늘을 우러러 한숨을 내쉬신 다음, 그에게 ‘에파타!’곧 ‘열려라!’ 하고 말씀하셨다.“우리가 믿는 그리스도교는 혼자 도를 닦아서 깨달음에 이르는 종교가 아니라,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받아들이며 그 말씀에 따라 사는 종교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구원의 진리가 우리를 죄의 속박에서 자유롭게 하여 하느님의 섭리 안에서 참된 자유를 누리게 되는 것이지요. 그렇기에 귀와 입은, 즉 제대로 듣고 말하는 것은 그리스도교 신앙을 형성하는 기본이자 필수적인 조건이 됩니다. 오늘 복음에서 말하는 ‘귀 먹은 이’란 단지 물리적인 소리를 듣지 못하는 이가 아니라 귀가 있어도 편견과 고집 때문에 하느님 말씀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이..
~ 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 이수철 신부님 ~ 성 치릴로 수도지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이수철 프란치스코 신부님.어느 자리에서나 최선을 다하는 삶“예수님과 성인들”   오늘 옛 현자들의 가르침이 평생 배움의 자세로 살아갈 용기를 줍니다. 참으로 예수님의 제자다운 삶이요 성인들이 그러했습니다.   “배움은 입에서 입으로가 아니라 삶에서 삶으로 전해지는 것이다. 배우는 자와 가르치는 자가 함께 성장하는 것이다.”파스카 예수님과 우리의 관계가 그러합니다. 우리의 일상의 삶 모두를 포괄하는 말씀입니다.“배우기를 널리 하고, 뜻을 돈독히 하며, 절실하게 묻고, 가까운 것부터 생각한다면 인(仁)은 그 가운데 있다.”매사 겸손히, 부지런히, 절실히 배움의 자세로 살아갈 때 공자 말씀대로 주님의 제자다운 어진 인(仁)의 사람이겠습니다.   바로 오늘 기념하는..
~ 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 반영억 신부님 ~ 성 치릴로 수도지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반영억 라파엘 신부님.귀를 열어 주시고 혀를 풀어주십시오   귀가 있어도 하느님의 말씀을 듣지 못한다면 그는 귀머거리입니다. 입이 있어도 하느님에 관해 말할 수 없다면 그는 벙어리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므로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은 큰 복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그분을 생각하고 그분의 현존을 깨닫기도 전에 먼저 나를 생각하고 찾으셨습니다. 먼저 믿고 그분의 말씀에 귀 기울일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믿음은 들음에서 오고 들음은 그리스도의 말씀으로”(로마10.17)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 “에파타!” 곧 “열려라!” 하시며 귀먹고 말 더듬는 이를 고쳐 주셨듯이 우리의 귀와 입을 열어 주시길 기도합니다. 사회적으로는 공부도 많..
~ 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 이영근 신부님 ~ 성 치릴로 수도지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이영근 아오스딩 신부님.   오늘 에서, 예수님께서는 이방인 지역인 티로와 시돈을 거쳐 데카폴리스지역을 지나 다시 갈릴래아로 오셨습니다. “그러자 사람들이 귀먹고 말더듬는 이를 예수님께 데리고 와서, 그에게 손을 얹어 주십사고 청하였습니다.”(마르 7,31) 사실, 우리가 믿는 그리스도교는 혼자 깨달음에 이르는 종교가 아니라,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받아들여 그 ‘말씀’에 따라 사는 종교입니다. 그러니 우리에게 ‘귀’와 ‘입’은 신앙을 형성하는 조건에 해당합니다. ‘귀먹은 이’란 단지 듣지 못하는 이가 아니라, 곧 귀가 있어도 말씀을 받아들이지 않는 이입니다. 또한 ‘말 더듬는 이’란 입이 있어도 혀가 굳어져 말씀을 삼키지 않는 이입니다. 그러니, ‘귀먹고..